[미디어스=송창한 기자] TBS 양대노조가 서울시의회에 'TBS 민영화 전면 백지화'를 요구했다. TBS 민영화는 실현 불가능한 과제였다는 점이 정태익 대표의 중도 사퇴로 증명됐다는 지적이다. TBS 구성원들은 서울시 출연금이 중단되면 '폐국'의 길로 접어들게 된다며 생존을 호소하고 있다.  

TBS 양대노조(TBS노동조합·전국언론노동조합 TBS지부)는 28일 서울시의회 앞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허울뿐인 민영화로 34년 지역 공영방송사 TBS가 공중분해되는 상황을 더 이상 좌시할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TBS 양대노조가 28일 서울시의회 의원회관 앞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민영화 전면 백지화'를 촉구하고 있다 (사진=전국언론노동조합 TBS지부)
TBS 양대노조가 28일 서울시의회 의원회관 앞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민영화 전면 백지화'를 촉구하고 있다 (사진=전국언론노동조합 TBS지부)

TBS는 서울시 지원 조례 폐지와 민영화·구조조정 압박에 대표와 경영본부장이 자진사퇴하는 등 경영진이 붕괴된 상황이다. TBS는 오는 6월부터 전체 예산의 70%에 달하는 서울시 출연금을 지원받지 못한다. 

TBS 양대노조는 정태익 대표의 사퇴로 민영화는 불가능한 과제였다는 점이 증명됐다는 입장이다. TBS 양대노조는 "정 대표의 민영화 선언은 애초부터 실현 불가능한 과업이었다. 민영화 선언을 한 지 두 달이 다 되어가도록 민영화를 위한 어떠한 작업도 이뤄지지 않았다"며 "1월 24일이 되어서야 비상대책TF가 정식 출범했지만, 지금까지 사측이 내놓은 보고서는 단 한 차례에 그쳤다. 정 대표는 사측이 민간 투자처를 찾는 입찰공고를 낸 지 단 5일 만에 사직서를 제출했다"고 비판했다. 

이어 TBS 양대노조는 TBS는 민영화를 위한 제반 조건도 갖춰져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지역 공영방송 TBS는 상업광고가 허용되지 않는 데다 수익사업을 진행하는 것에도 제한이 있다. 다른 공영방송사처럼 부동산 자산을 보유하고 있지도 않고, '미디어재단 TBS' 체제로 전환하면서 100만 원 자본금으로 출발한 회사다. TBS 양대노조는 "이는 1990년 TBS가 세워질 때부터 공공성을 위해 만들어졌기 때문"이라며 "민영화는 기본적으로 상업성과 수익성을 담보로 해야 한다. 누가 현재의 TBS를 매수할 것인가"라고 짚었다. 

TBS 양대노조가 28일 서울시의회 의원회관 앞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민영화 전면 백지화'를 촉구하고 있다 (사진=전국언론노동조합 TBS지부)
TBS 양대노조가 28일 서울시의회 의원회관 앞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민영화 전면 백지화'를 촉구하고 있다 (사진=전국언론노동조합 TBS지부)

이 밖에 TBS 양대노조는 ▲서울시의회가 TBS 가치평가를 위한 용역 예산조차 삭감해버린 점 ▲TBS FM과 eFM은 서울시 지원을 전제로 허가받은 라디오 주파수라는 점 등을 거론하며 "결국 민영화는 TBS 방송 노동자와 34년 간 지켜온 서울시민의 공적 자산이 공중분해되는 수순"이라고 했다. 

TBS 양대노조는 "무엇보다 시간이 없다. 서울시 출자·출연 기관에서 해제되는 6월부터 TBS 이사회는 빠르게 해산절차에 들어갈 가능성이 높다"며 "TBS 구성원들은 사측의 혁신안도 사업계획서도 민영화 선언도 내부 논의 없이, 언론 보도를 통해 벙어리 냉가슴으로 지켜봤다. 더 이상은 민영화를 가장한 서울시민의 공적 자산의 처분과 그에 따른 방송노동자의 대량 실직 사태를 지켜볼 수 없다"고 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