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파 3사가 집행한 연간 광고 중 대기업이 차지하는 비율이 약 40%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별로는 삼성, LG, 현대, SK, KT 순이다.

26일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전재희, 이하 문방위) 국정감사에 한국방송광고공사가 제출한 자료 <방송사별 10대 광고주 현황>을 보면 2011년(1월~6월) KBS 2TV 광고는 삼성전자의 광고가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LG전자, 현대자동차, 한국지엠, SK텔레콤, KT가 뒤를 이었다.

MBC 역시 삼성전자가 1위를 차지했다. 뒤로는 LG전자, KT, SK텔레콤, 현대자동차가 이었다. SBS도 1위는 삼성전자로 나타났으며 LG전자, 현대자동차, SK텔레콤, KT 순이었다. 2009년, 2010년에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김재윤 민주당 의원에 따르면 상위 10대 기업만 놓고 보면 전체 방송광고의 20%를 상회하는 수치라는 것이다. 2009년에는 22.0%, 2010년에는 20.8%로 줄어들었으나 2011년 다시 21.5%(6월까지)를 기록하고 있다.

김재윤 의원은 “삼성, LG, 현대, SK, KT 등 재벌들이 방송사의 최대 광고주로서 방송에 미치는 영향력이 막대하다”면서 “그만큼 방송사가 직접 광고영업을 하게 되면 방송사가 재벌의 눈치를 보지 않을 수 없게 된다는 얘기”라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재벌이 광고를 매개로 방송의 논조와 편성·제작에까지 영향을 끼치게 돼 재벌에 우호적인 기사나 프로그램이 쏟아지는 대신 비판 기사는 사라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방송사 스스로 재벌 관련 기사에 대한 자기 검열을 작동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재윤 의원은 “이를 차단하고 방송의 공공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면서 “방송광고가 미디어렙에 의무 위탁해야 하는 이유”라고 주장했다. 이어 “방통위가 8월 말 법률사무소 3곳에 자문을 받은 결과도 종편을 미디어렙에 포함할 필요가 있다고 명쾌하게 정리해줬다”고 강조했다.

해당 보도자료를 통해 김재윤 의원은 종편의 미디어렙 포함 여부에 대한 법률사무소 자문결과를 요약하여 첨부했다.

△방송의 공공성·공익적 성격과 시청권을 보호하기 위해 방송광고에 대한 정부의 개입과 규제는 정당하다.
△방송사가 광고를 유치하기 위해 광고주에게 압력을 행사하거나, 반대로 자본가인 광고주가 광고를 빌미로 방송사에게 영향을 끼치는 것을 막기 위해 미디어렙이 필요하다.
△종편·보도PP의 경우 지상파방송과 마찬가지로 방송법상의 사업자로서 방송의 공공성, 공익성, 다양성 등 방송법상의 가치를 추구하고 이를 실현해야 할 공적 책임을 부담해야 한다.
△종편·보도PP는 그 송출이 시청률 등의 시장원리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유선방송사업자 및 위성방송사업자의 설비를 통하여 시청자의 의사와 관계없이 모든 유료방송의 가입자들에게 방송이 송출되기 때문에 방송의 공정과 독립성을 유지할 의무가 있다.
△종편·보도PP가 향후 방송내용이나 형식에 따라서는 시청자 또는 광고주에 대한 영향력이 지상파방송에 상응할 정도로 높고 종합유선방송사업자 등에 비하여 클 것으로 예상되므로 규제의 필요성이 더 높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