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출범 이후, 정부광고가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문화일보> 등 보수 특정 언론매체에 몰리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19일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전재희, 이하 문방위) 문화체육부 국정감사에 앞서 김재윤 민주당 의원은 보도자료를 통해, 이명박 정부 3년 7개월 동안 조선·중앙·동아·문화일보가 10대 일간지에 의뢰된 정부광고의 59.1%를 수주했다고 밝혔다. 반면 진보성향의 <경향신문>과 <한겨레>의 정부광고 점유율은 12.9%에 그쳤다.

이는 한국언론진흥재단으로부터 제출받은 ‘2008년 이후 10대 일간지에 의뢰한 부처별 정부광고 내역’을 분석한 결과로, 부처별 정부광고 내역이 분석된 것은 처음이라는 게 김재윤 의원의 주장이다.

▲ ⓒ김재윤 의원실
김재윤 의원의 분석결과, 정부부처 중 가장 큰 편차를 보인 곳은 여성가족부로 나타났다. 여성부는 조선·중앙·동아·문화일보에 무려 87.1%를 준 반면 경향·한겨레에는 겨우 1.4%만 내줬다.

조선·중앙·동아·문화일보가 각 정부부처의 광고를 수주 받은 비율을 보면 고용노동부가 65.3%(경향·한겨레 12.5%), 국토해양부 63.9%(경향·한겨레 14.4%), 교육과학기술부 61.7%(경향·한겨레 6.5%), 기획재정부 60%(경향·한겨레 11.7%), 통일부 59.5%(경향·한겨레 11.76%), 문화부 59.1%(경향·한겨레 12.6%)로 그 뒤를 이었다.

한편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정부광고를 가장 많이 받은 신문사는 <동아일보>로 총 21억 8000만 원, 17.6%를 기록했다. <조선일보>는 20억 6000만 원으로 16.7%, <중앙일보> 18억 9000만 원 15.3%, <문화일보>가 11억 8000만 원으로 9.6%를 나타냈다.

이와 관련해 김재윤 의원은 “이명박 정부가 광고를 통해 언론을 통제하려 한다는 의혹이 사실로 확인됐다”며 “정부가 언론의 다양성을 인정하지 않을 경우 민주주의가 후퇴하고 결국에는 정부에 치명적인 부메랑이 될 수 있다”고 비판했다.

김재윤 의원은 “정부광고는 상업광고와 달리 효율성의 잣대로만 집행돼선 안 된다”고 지적, “국민 세금으로 집행되는 정부광고는 다양한 계층이 접할 수 있어야 하고 국민의 알권리도 보장해야 하기 때문에 다양한 매체가 골고루 게재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이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정부광고 관련 규정 및 지침 등의 개정 필요성을 제기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