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 장자연씨 사건과 관련해 조선일보의 횡포가 극에 달하고 있다.

조선일보는 민주당 이종걸 의원, 민주노동당 이정희 의원, 서프라이즈 신상철 대표를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한 데 이어, 언론소비자주권국민캠페인(언소주) 김성균 대표, 민주언론시민연합(민언련) 박석운 공동대표, 진보신당 나영정 대외협력실 국장까지 고소했다. 그리고 최근 16일에는 KBS와 MBC의 보도 내용까지 문제삼아 35억의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다.

▲ 서울 중구 조선일보 사옥. ⓒ미디어스
조선일보는 이들이 자사와 ‘특정 임원’의 ‘명예를 훼손’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은 ‘장자연 리스트’에 이름이 언급된 언론사 대표 등이 장씨에게 부적절한 접대를 받았다고는 단정하지 않았다. 단지 문건에 나온 언론사 대표의 이름을 밝히며 경찰의 철저한 수사를 촉구했을 뿐이다. 민주당 이종걸 의원은 ‘장자연 리스트’에 이름이 언급된 언론사의 실명과 대표의 성씨를 거론하며 경찰의 철저한 수사를 촉구했다. 김성균 대표 등에 대해 조선일보가 문제 삼은 3월31일 기자회견과 4월8일 기자회견 역시 ‘장자연 리스트’와 관련해 언론에 진실보도, 경찰에는 철저한 수사를 촉구하는 자리였다. 조선일보가 KBS와 MBC를 고소한 것은 황당하기까지 하다. 이들 방송사는 조선일보 ‘임원’의 이름을 언급조차 한 적이 없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조선일보는 자사와 자사 ‘특정 임원’의 ‘명예’를 내세워 언론의 입을 막고 시민들의 언론자유를 철저하게 유린하는 횡포를 부리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도, 언론은 이런 조선일보의 횡포에 대해 제대로 보도하지 않고 있다. 주요 방송사와 신문은 말할 것도 없고, 한겨레와 경향신문조차도 조선일보의 횡포를 적극적으로 보도하지 않고 있다.

이런 언론의 무관심 속에서 결국 시민들이 나섰다.

지난 4월24일 언소주의 김성균 대표는 조선일보의 횡포에 대항해 다음 아고라에 ‘나를 고소하라’라는 인터넷 청원사이트를 개설했다. 고 장자연씨에 대한 경찰의 철저한 수사를 촉구하는 내용이었다. 이 사이트는 개설 4시간 만에 1000명이 넘게 서명에 참여했지만, 곧 블라인드 처리됐다. 현재 이 사이트는 사이버 망명으로 계속 누리꾼들의 서명을 받고 있다(www.exilekorea.net/71193). 그러나 김성균 대표의 인터넷 청원사이트 개설 소식은 일부 인터넷 매체들만 보도하는 데 그쳤다.

민생민주국민회의(준)는 ‘고 장자연 특검제 도입’을 촉구하는 국민청원운동을 벌이고 있다. 19일 민주당 이종걸 의원과 민주노동당 이정희 의원이 이 내용을 갖고 ‘장자연 특검 도입’을 대표발의 할 것이다. 고 장자연 특검제 도입을 촉구하는 국민청원운동을 언론사들이 얼마나 어떻게 보도할지 두고 볼 일이다.

언론의 무관심 속에서 언론권력으로 온갖 횡포를 부리고 있는 조선일보에 맞선 시민들의 모습은 ‘다윗과 골리앗’의 싸움을 연상시킨다. 언론사들은 이제라도 침묵을 깨고 언론권력에 맞서는 시민들의 모습이라도 적극적으로 보도해 주길 바란다. 그마저 외면한다면 언론의 역할을 포기하는 것이나 다름없다.

민주언론시민연합은 70, 80년대 해직언론인과 진보적 출판인이 1984년 창립한 언론운동단체입니다. 대항매체가 전무하던 시절, 기관지 <말>을 통해 사회문제를 고발하고 진실을 알리는 데 앞장섰으며 6월 항쟁 이후 <한겨레신문> 창간을 이끌었습니다. 1991년 언론학교 개설을 시작으로 일반 시민들이 참여하는 시민운동 단체로 전환, 신문·방송 감시활동, 언론관련 법제 개선운동 및 수용자가 주도하는 언론운동의 새 지평을 열었습니다. 또 시민들에게 올바른 언론관을 심어주고, 시민저널리즘을 확산하기 위한 ‘언론학교’, ‘대학언론강좌’, ‘시민기자 양성을 위한 글쓰기강좌’, ‘사진강좌’ 등의 다양한 시민 미디어 교육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