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동아일보> 13일치 오피니언(A27)면 홍찬식 칼럼 ‘막장 방송’을 읽고, 동아닷컴에서 해당 글을 찾아 복사한 뒤 필요한 대목만 바꿔쓴 것임을 밝힙니다. 글을 완성하는 데는 30분이 채 걸리지 않았습니다.

▲ 동아일보 3월13일 A27면 홍찬식 칼럼
‘막장’이라는 표현을 자제해 달라고 호소한 대한석탄공사 사장님께는 죄송한 일이지만 요즘 동아일보의 사설과 칼럼에 대해서는 ‘갈 데까지 갔다’는 의미에서 ‘막장 신문’이라고 부를 수밖에 없다.

네티즌 사이에 익숙한 단어가 되어버린 ‘막장 신문’은 음모 왜곡 사실조작 같은 온갖 지독한 내용들을 거리낌 없이 토해놓고 있다. 그것도 신문에서 가장 중요한 오피니언에. 동아일보가 불경기 속에서 물불 가리지 않고 방송에 진출해보려는 몸부림이다. 그래놓고 ‘1970년대 신문이 겸영했던 동아방송(DBS)은 KBS와 MBC보다 훨씬 공공성 높은 방송’이라고 둘러댄다.

악취 속에 공허한 미디어법 논쟁

동아일보를 보면, 조선 중앙이 먼저 보도했던 것을 다음 날 내보내는 재탕이 지난해 가을 미디어악법 논란 이후 크게 늘었다. 사설은 삼탕으로 거의 채워지고 있다. 동아일보는 재탕을 내보내면 추가 고민이 들지 않는다. 노력 안 하고 지면을 때우는 전략이다. 그러나 독자들은 본 걸 또 볼 수밖에 없고 재탕, 삼탕 보도를 위해 동아일보 윤전기가 빨아들이는 종이와 잉크 낭비도 국가적으로 상당하다.

피의자의 얼굴부터 까고보는 무개념 기사는 ‘광고가 많이 붙는다’는 이유로 확대된 반면에 ‘용산 참사’ 같은 중요한 사회적 현안은 ‘정권이 보도를 싫어한다’는 논리로 사정없이 왜곡 됐다. 무능한 정권에 손대지 않고, 이슈를 왜곡해 신문의 품질을 떨어뜨리고, 방송 진출 하나로 신문의 목숨을 결정하려는 동아일보의 위기가 심각하다.

오늘부터 미디어 관계법 개정을 둘러싼 ‘전쟁’이 다시 시작된다.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문방위) 산하에 설치된 ‘미디어발전위원회’가 본격 활동에 들어간다. 미디어법을 놓고 여론을 수렴하기 위한 ‘사회적 논의기구’로서 여야 추천으로 각계 인사 20명이 참여하고 있다.

미디어법 개정을 찬성해 온 진영에서는 ‘경제성’이란 단어를 부쩍 자주 입에 올린다. 신문 방송의 겸영이 허용되고 대기업이 방송에 참여하면 경제발전 이뤄진다는 논리로 공격에 나서고 있다. 이들이 만든 기구의 명칭과 구호에는 ‘경제성’이라는 단어가 빠지지 않는다. 이번 ‘사회적 논의’에서 ‘경제성’을 이슈로 내세워 승리를 거두겠다는 계산이다.

여기에는 자신들은 ‘선(善)’이고 상대편은 ‘악(惡)’이라는 인식이 깔려 있다. 자신들이 방송까지 독점해야 이익이 커지며 공영 방송이 계속되면 경제성은 무너진다는 것이다. 그러나 신문 방송의 겸영이 허용되던 시절인 1970년대 신문이 겸영했던 동아방송(DBS)이 KBS와 MBC에 비해 미디어 발전에 기여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들 신방 겸영 방송이 오히려 권력의 하수인 노릇을 했던 사실은 더는 거론할 필요조차 느끼지 않는다.

그럼에도 이번 논쟁은 거창한 말의 성찬으로 진행될 공산이 크다. 미디어 발전이 어떻고 방송의 여론 독점이 어떻고 하는 식으로 말이다. 그러나 이것이 탁상공론에 불과하다는 사실은 당장이라도 동아일보를 펴보 ‘막장 칼럼’을 읽어 보면 알 수 있다. 실제 칼럼에서는 악취가 풀풀 나고 있는데 하늘 위에 앉아서 이미 해봤던 법과 제도에 대해 결과가 다를 거라며 씨름하는 꼴이다. 시장 논리를 떠받드는 일부 언론에서 ‘막장 동아일보’에 대해서는 왜 가만히 있는지 모르겠다.

품질 향상 역행하는 신문은 자격 없다

우파 방송의 대명사인 미국의 폭스TV는 CNN에 대항하는 새로운 매체를 만들겠다면서 솔직히 ‘시장의 균형’이 목표임을 고백했다. 일본 보수우익 장기집권의 버팀목이 되어주고 있는 NHK는 국회가 예산 승인권을 갖고 있다. 차라리 우리도 폭스TV처럼 이념적으로 편향된 프로그램을 만들고 싶다고 고백하거나, 방송만 할 수 있다면 예산 승인권이라도 내놓겠다는 결심이 더 현실적이고 솔직하다. 신문을 이 지경으로 추락시킨 책임이 있는 동아일보는 미디어 발전과 경제성을 말할 자격이 없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