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일 오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온라인 뉴스 유통 서비스의 현황과 쟁점' 토론회가 열렸다. ⓒ뉴스1

네이버가 ‘뉴스스탠드’ 체제를 도입한 이후 언론사들이 스스로 매체 환경을 ‘공유지의 비극’으로 만들어가고 있단 평가가 나왔다. 뉴스스탠드 체제 이후 트래픽과 페이지뷰가 현격하게 감소한 매체들이 한 목소리로 뉴스스탠드의 실패를 얘기하고 있는 가운데 네이버 관계자는 오히려 편집권을 갖게 된 이후 더 선정적으로 변모해가고 있는 언론의 모습을 비판했다.

한국언론정보학회 주최로 열린 ‘온라인 뉴스 유통 서비스의 현황과 쟁점’ 토론회에 참가한 유봉석 네이버 미디어서비스 실장은 작심한듯 언론사의 행태를 비판했다. 유 실장은 ‘공유지의 비극’을 언급하며 "뉴스스탠드 실시 이후 언론사들이 줄어든 뉴스 트래픽을 늘리기 위해 더 선정적으로 편집을 하고 있다“며 뉴스 스탠드 체제에 대한 이용자들의 불만이 높아진 책임의 상당 부분이 언론사들의 선정성 경쟁에 있다고 말했다.

유 실장은 “선정성 경쟁으로 개별 언론사의 조회수는 높아졌을지 모르지만, 이용자의 불만은 쌓여가고 있다”며 뉴스캐스트 체제에서나 뉴스스탠드 체제에서나 언론의 자성이 없는 한 매체 환경의 도약은 불가능함을 역설했다. 유 실장은 뉴스스탠드가 뉴스캐스트에 비해 뉴스 가독성이 줄어들었단 점을 인정하면서도 이를 “사기업인 네이버가 해결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유 실장은 “공유지의 비극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목초지를 아예 사유화하거나 정부 규제를 도입해야 하지만, 네이버는 사기업”이라며 “언론사를 네이버가 규제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자치 관리 외엔 방법이 없다. 저널리즘의 가치가 살아나는 것이 해법”이라고 말했다. 뉴스스탠드 체제에 대한 언론의 비판이 거세지만 네이버는 앞으로도 “뉴스스탠드 공간을 활성화해 더 나은 저널리즘 공간으로 만들겠다”며 현행 시스템을 유지할 뜻을 밝혔다.

▲ 7월 1일 저녁, 뉴스스탠드 메인 화면 캡처. 뉴스스탠드에서 언론이 어떤 방식으로 기사를 유통시키고 있는지 잘 알 수 있다.

발제를 맡은 이들도 뉴스스탠드 체제가 실패한 시스템이라는 진단에 대체로 합의하면서도 그러나 어떤 개선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뚜렷한 해법을 제시하지 못했다. 온라인 뉴스 유통 서비스 현황을 개괄한 이주원 닐슨코리안클릭 클라이언트서비스팀 팀장은 뉴스스탠드 체제 이후 뉴스 사이트 방문자 수 감소와 뉴스 페이지뷰와 소비량 감소의 수치를 제시하며 뉴스스탠드 체제가 “뉴스캐스트 이전 수준으로 회귀했다”고 진단했다. 하지만 동시에 “뉴미디어 환경 조성에 따라 뉴스 콘텐츠 태널 다변화로 인한 모바일 증가 현상”을 진단하며 “인터넷 뉴스의 트래픽 변화는 피할 수 없는 현상”이라고 진단했다.

‘온라인 뉴스 유통 서비스의 쟁점 및 개선과제’의 발제를 맡은 김경환 상지대 교수 역시 ‘이용자 만족도 저하’와 ‘뉴스 편집권 주체 논란’ 등을 근거로 “뉴스 스탠드는 실패한 체제”라고 규정하면서도 “중소언론사들이 심각한 경영 위기를 초래하고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는 진단과 함께 “네이버가 직접 뉴스를 편집하는 방식과 이용자에게 완전한 뉴스 선택권을 부여하는 방식의 절충점에서 해결 방식을 찾는 게 바람직하다”며 애매한 타협을 강조하는 모습이었다.

결국, 뉴스스탠드 체제가 “실패했고, 새판을 짜야 한다”는 것에 모두가 동의했지만 네이버는 체제의 실패는 결국 그 안에 속해있는 주체(언론)들의 각성이 없다면 백약이 무효하단 입장을 밝힌 셈이고 언론 쪽 입장에 선 이들은 어찌되었건 ‘원래 갖고 있던 것을 회복해야 한다’는 구역 논리 이상의 명분을 제시하지는 못하는 모습이었다. 국내 인터넷 뉴스 소비의 현실적 구조 속에서 ‘포털이 일정한 사회적 책임을 해야 한다’는 당위의 선명함은 ‘선정성 경쟁으로 조회수 경쟁이나 하려는 언론을 어떻게 사회적으로 견인할 수 있느냐’는 항변에 무력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