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송창한 기자] JTBC가 구조조정을 전제로 한 희망퇴직을 실시한 이후 80명에 달하는 직원들이 회사를 떠난 것으로 집계됐다. JTBC가 희망퇴직 서명을 받으면서 유·무형의 압박을 가하고, 서명에 응하지 않은 직원들을 업무에서 배제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중앙일보·JTBC 노조는 지난달 30일 발간한 노보에서 "50일. JTBC가 전례 없는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강행하면서 80명(조합 추산) 가까운 구성원들을 내보내는 데 걸린 시간"이라고 말문을 열었다. 

JTBC 경영진은 지난 10월 10일 계열사를 포함해 100명 수준의 희망퇴직을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JTBC는 희망퇴직이 목표치에 미달할 경우 권고사직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JTBC 경영진은 대규모 부채와 적자를 이번 구조조정의 이유로 들었다. 경영진이 경영 부진의 책임을 구성원에게 떠넘기고 있다는 내부 비판이 제기된다. 

서울 상암동 JTBC 사옥 (사진=연합뉴스)
서울 상암동 JTBC 사옥 (사진=연합뉴스)

중앙일보·JTBC 노조는 이번 희망퇴직이 '희망한' 사람들에게 이뤄지는 퇴직절차가 아니었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중앙일보·JTBC 노조는 "회사는 희망퇴직 과정이 '해고 회피 노력의 일환'이라는 점을 누차 강조해 왔다. 그러나 이 절차를 밟은 임직원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사측이 일부 직원들에게 '희망퇴직 절차에 응하는 게 좋지 않겠냐'며 무형, 유형의 압박을 가해왔다"며 "이 절차에 응하지 않으면 현실적으로 어떤 식의 불이익이 발생할지 설명하고 절차에 임하기를 종용한 경우가 많았다"고 했다. 

한 기자는 중앙일보·JTBC 노조에 "인사팀에서 연락 와서 취재와 무관한 계열사로 발령 날 가능성 등을 언급하니 심적으로 위축될 수밖에 없었다"며 "퇴사를 고려하지 않고 있다가 급작스럽게 서명하게 됐다. 절차의 투명성, 신뢰성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앞으로 회사가 이 같은 절차를 보도국, 편집국에서 다시 시행하면 그때는 또 어떻게 하나 걱정된다"고 말했다. 

해당 과정을 지켜본 조합원 A 씨는 "회사가 희망퇴직 절차를 작심하고 일부 기자들을 저성과자로 만들었다는 의구심이 든다"고 했다. A 씨는 "모바일국 소속 선임기자들은 본인 자리에서 시도할 수 있는 취재와 코너 제작 등을 꾸준히 건의했지만 대부분 '킬'됐다"며 "이런 과정을 겪은 많은 선배들이 희망퇴직을 신청하게 됐는데 당사자들은 그간의 일들이 결국 본인들을 내보내기 위한 밑그림이었다는 사실에 분개한다"고 전했다. 

노조에 따르면 JTBC는 지난달 21일자로 'C-TF'를 신설해 희망퇴직 권유에 응하지 않은 직원들을 이곳으로 발령냈다고 한다. 해당 TF로 발령난 한 기자 조합원은 '기자 업무를 행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보도시스템과 보도국 공간 접근이 불가능해졌다. 노조 노무사는 "기자는 특정 요건을 기반으로 채용하는 직군인 만큼 근로계약서상 업무의 일방적 변경에 대한 다툼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JTBC 경영진은 "합법적인 절차"라는 입장이다.

이번 희망퇴직으로 JTBC 보도국 기자 11명이 회사를 떠났다. 올해 JTBC 보도부문에서 기자 18명이 감소했다고 한다. JTBC 경영진은 보도부문에 '30명 희망퇴직' 목표를 세웠다. 이런 가운데 JTBC 경영진은 보도국과 모바일국을 통합한 '뉴스콘텐츠국' 개편을 진행 중이다. 

중앙일보·JTBC 노조는 "스무 명 가까운 인원이 줄어든 상황에서 남아있는 구성원들은 새로운 결의 고품질 콘텐트를 만들어야 하는 압박을 받게 된 셈"이라고 했다. 

조합원 B 씨는 노조에 "지상파와 JTBC의 콘텐츠 생산량을 계속 비교하는데 그럼 지상파 수준의 인력과 인프라 구축이 선제조건 아닌가"라며 "인력은 감축하면서 콘텐츠 생산량은 늘려야 한다고 하니 이번 개편이 더없이 어렵게 느껴진다"고 말했다. 조합원 C 씨는 "결과물의 관점 말고 우리 기자들의 워크플로우, 일하는 방식이 어떻게 바뀌는 것인지에 대한 설명과 이에 대한 구성원들의 공감이 필요한 것 같다"고 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