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김현옥 칼럼] 아일랜드의 한 도시 전체가 “중학생 전까지 스마트폰 금지” 실험에 나섰다는 기사를 접했다(2023.6.12. SBS 뉴스). 중학생 입학 전까지 학교와 집에서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실험을 시내 8개 초등학교 학부모 협회, 지역 초등학교의 동의로 실시하게 됐다는 것이다.

스마트폰을 소유하지 못한 학생이 받는 소외감과 온라인을 통한 여러 자극적인 콘텐츠 노출 등 부작용의 해결이 취지였다. 또한 학교에서는 ‘아이들이 인스타그램, 왓츠앱, 틱톡 등 자극적인 콘텐츠가 난무하는 소셜미디어의 접근을 감독하기 위한 것으로, 미디어리터러시교육을 통해 아이들이 콘텐츠를 적절히 취사선택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줄 계획’이라고 한다.

이미지 출처=Pixabay.com
이미지 출처=Pixabay.com

나는 이 기사를 보고 아이들의 '미디어 이용'에 대해 지자체와 교육 당국, 학부모가 머리를 맞대고 합의를 이끌어냈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미디어리터러시교육은 가정에서 부모의 책임하에 또는 학교 책임으로 떠넘겨서는 해결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대다수의 초등 저학년 자녀를 둔 부모들은 아이의 스마트폰 이용에 있어 고민이 많다. 자녀에게 언제 스마트폰을 사주어야 할지, SNS 이용시 적절한 콘텐츠의 취사선택 및 채팅 교육을 어떻게 해야 할지 난감하기만 하다. 내 아이에게 미디어 이용 교육을 한다고 해도 친구들과 만나서 놀 때는 집집마다 제각각인 미디어 이용으로 인해 더욱 혼란스럽기만 하다. 게다가 부모들이 아이의 미디어리터러시교육 관련 정보를 받을 수 있는 곳도 쉽게 찾기 어려운 게 우리의 실정이다. 미디어리터러시교육은 사회와 학교, 가정이 함께할 때 아이들이 보다 안전하게 미디어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 수 있다.

그러나 하루 24시간 소통가능한 온라인 세상에서 어떻게 아이들을 미디어의 폐해로부터 차단할 수 있을까?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경계가 갈수록 허물어지고 있는 사회에서 아이들의 스마트폰 사용 차단이 최선은 아닐 것이다. 이런 보호주의가 아이들의 미디어 이용 안전성의 해결책이 되는 것에 동의하기 어렵다.

그리고 그 협의의 테이블에 아이들도 함께했는지 궁금하다. 아이들에게도 디지털 미디어 세상에 접근하고 디지털 미디어의 콘텐츠를 향유할 권리가 있다. 아이들의 미디어 이용에 대한 목소리도 충분히 반영해야 한다. 아직 어리다고 그들의 권리를 어른들이 일방적으로 대신할 수는 없다.

이미지 출처=Pixabay.com
이미지 출처=Pixabay.com

아이들이 디지털 미디어 세상에서도 안전하고 즐겁게 살아갈 수 있는 사회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디지털 미디어 상 자신의 모습도 오프라인의 자신과 다르지 않다는 것을 알고 서로가 지켜야 할 에티켓을 실천할 수 있도록 교육해야 한다.

학부모들이 자녀의 미디어 이용에 대한 걱정과 불안에 대해 논의할 공론장이 활성화 되어야 한다. 여기에 아일랜드의 그레이스톤즈시와 같이 시와 교육 당국이 테이블에 나와서 함께 논의해야 한다. 또한 유해한 콘텐츠가 아이들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IT업계의 책임도 물어야 할 것이다.

아이들에게 온라인이 무섭고 되도록 접근을 차단해야 하는 공간이 아닌, 일상의 공간이 되기 위해서 우리 모두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 물론 당사자인 어린이, 청소년의 목소리가 반영될 수 있도록 귀 기울이는 것도 포함해서 말이다.

* 김현옥 언론인권센터 미디어인권교육본부장칼럼은 사단법인 언론인권센터 '언론인권통신' 제 1006호에 게재됐으며 동의를 구해 미디어스에 싣습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