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주관하는 제18대 대선 후보 첫 법정토론이 4일 오후 8시부터 열린다. 대선을 불과 15일 앞둔 상황에서 민주통합당이 새누리당에 줄곧 요구한 양자토론의 성사 여부가 불투명해진 가운데, 이번 토론은 민주통합당 문재인, 새누리당 박근혜, 통합진보당 이정희 대선 후보의 3자구도로 진행된다.

법정토론, 어떻게 진행되나

▲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대통령후보자 토론회 국민질문 공모' 페이지 캡쳐 화면.

세 후보는 먼저 각 2분씩 기조연설과 리더십 부분에 대한 공통질문을 한 뒤 △정치쇄신 △권력형 비리근절 △대북정책 △주변국 외교정책 등 네 가지 주제로 토론을 시작한다.

첫 번째 주제인 ‘정치쇄신’과 관련해서는, 선관위가 국민으로부터 모집한 공통질문을 사회자가 던지면 세 후보가 각각 1분 30초씩 답변한다. 이후 세 후보는 이정희-문재인, 문재인-박근혜, 박근혜-이정희의 세트로 자유토론을 진행한다. 한 세트 당 주어진 시간은 6분으로, 각 후보는 자신에게 주어진 3분 동안 발언을 하거나 질문·답변을 할 수 있다.

나머지 세 주제는 각 후보가 사회자의 공통질문을 받은 뒤, 세 후보 간 1분 질문과 1분 30초 답변이 이어져 한 주제 당 6번의 문답이 있을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세 후보가 각각 1분씩 맺음말을 하면서 총 100분 동안의 토론이 막을 내린다.

민주당 “법정토론, 박근혜에게 질문 몰리는 것 막는다”

▲ 새누리당 박근혜, 민주통합당 문재인 대선 후보.ⓒ뉴스1

이번 법정토론의 형식에 대해 민주통합당은 “상대 후보의 대통령 후보로서의 자질과 능력을 검증할 수 없는 토론 방식”이라며 비판하고 나섰다.

박광온 대변인은 4일 오전 영등포 민주당 당사 기자실에서 브리핑을 갖고 “TV토론은 돈은 묶고 입은 푸는 가장 착한 선거운동 방식”이라며 “하지만 선관위 법정토론 방식은 후보 간 토론이 제약을 받은 ‘맞선 토론’으로, 후보를 비교평가하기 매우 어려운 방식”이라고 비판했다.

신경민 미디어단장 또한 지난 3일 브리핑을 통해 “이번 토론은 엄마아빠 손에 강제로 끌려 나온 맞선자리와 비슷한 것”이라며 “기껏해야 후보 당 30분도 안 되는 시간 동안 4가지 주제를 놓고 토론하기 때문에 한 주제에 대해 몇 분도 이야기하지 못한다”고 꼬집었다.

문재인 캠프의 김현미 소통2본부장은 지난 11월 30일 영등포 민주당 당사 기자실에서 브리핑을 갖고 “이미 공개된 소주제에 대해 1번씩 묻고 답하는 것으로 끝이고, 상대후보의 질문이 문제가 있거나 생각이 다르거나 잘못됐다고 재질문할 수 없다”며 “이래서는 상대 후보가 맞는 얘기를 했는지 상대 후보의 생각이 내 생각과 다른지 의견을 피력할 수 있는 기회가 봉쇄된다”고 지적했다.

김현미 본부장은 “이는 박근혜 후보에게 질문이 몰리는 것을 막기 위해 나눠진 구조”라며 “누가 암기를 잘했는지, 또 누가 잘 보고 읽었는지 겨루는 경연대회”라고 비판했다.

이어 김 본부장은 “이와 같은 토론회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려면 박근혜·문재인 후보 간의 양자토론이 필요하다”며 “묻고 답하고 재질문하고 다시 반박하는 활발한 상호토론과정을 통해 누가 더 대통령의 자질이 있는지, 정책에 대한 준비가 되었는지, 미래비전에 대해 꼼꼼하게 대비했는지 국민 앞에서 검증할 수 있는 형식이 갖춰진 토론회가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