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언론사보다 시민들에게 더 큰 영향력을 미치는 포털사이트 네이버와 다음이 조중동과 결합(?)하면 최악의 '언론통제'가 가능할 수도 있다?

시사IN이 이번 주에 발행된 제36호 커버스토리 <이명박 정부의 포털사이트 길들이기?> 에서 총 9면의 지면을 할애해 정부의 '포털 통제' 의혹, 네이버와 다음의 사례, 네티즌의 문제제기 등을 집중 보도했다.

시사IN "정부가 작심하고 네이버·다음 끌어들이면 여론 통제 매우 쉬워"

▲ '시사IN' 홈페이지

시사IN은 <이명박 정부 포털사이트 길들이기?>에서 "네이버는 지난 대선 당시 BBK 논란이 한창인데도 관련 뉴스가 메인 화면에 나타나지 않았고, 광우병 관련 뉴스 역시 다른 포털과 달리 전면에 내세우는 경우가 드물어 이미 이명박 쪽으로 기울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며 "'좌익포털'로 의심받는 다음도 아고라에서 이명박 탄핵 서명에 참가한 이가 100만명을 넘어섰는데도 이명박 탄핵 청원을 베스트 코너에 넣거나 '하이라이트'를 준 적이 단 한번도 없어 정부의 눈치를 보는 것 아니냐는 의혹을 받고 있다"고 전했다.

시사IN에 의하면, 정부가 국내 포털 뉴스 시장의 점유율 70% 이상을 차지하는 네이버와 다음을 작심하고 한 패로 끌어들이면 인터넷 여론을 통제하기란 너무도 쉽다고 한다. 한국 인터넷은 포털 의존도가 매우 심해 인터넷 여론이 포털에서 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블로그 사이트인 미디어몹의 이승철 대표는 시사IN과의 인터뷰에서 "광우병과 관련해 포털이 조중동 기사만 메인 화면에 깔아놓는다고 생각해보라. 아마 국민 대다수는 미국 쇠고기 수입 문제가 심각하지 않다고 받아들일 수 있다"며 "포털도 기업이기 때문에 정부가 기침 한 번만 하면 설설 길 수밖에 없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라도 대형 포털 중심의 인터넷 시장 구도를 개편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네이버, 다음 등 포털 사이트가 이미 권력 쪽으로 기울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네이버와 다음, 이미 권력 쪽으로 기울어"

하지만 이에 대해 네이버와 다음, 정부 측은 '부인'하고 있는 양상이다.

해당 보도에서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지금은) 통제가 가능한 시대가 아니다"라고 주장했으며, 네이버와 다음도 각각 "뉴스 유통만 하는 우리가 어떻게 정치적 편향성을 가질 수 있겠느냐" "이명박 탄핵 청원에 '하이라이트'를 주지 않은 것은 다양한 스펙트럼의 사용자에 대한 책임감 때문"이라고 해명했다.

경희사이버대학교 NGO학과 민경배 교수는 시사IN 보도에서 "네이버가 이런 의혹에서 벗어나려면 뉴스 편집의 알고리듬을 공개해야 한다"며 "네이버는 지금까지 뉴스 편집 알고리듬은 공개하지 않으면서 편의적 해석만 내놓았기 때문에 네티즌의 비난을 사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편집에 자의적 판단이 개입되지 않는다'는 포털사이트의 주장에 대해 시사IN은 "온라인 여론을 좌지우지하는 양대 포털의 첫 화면은 에디터 10여 명에 달려 있다"며 "(네이버의 경우) 110개 매체로부터 기사를 넘겨받으므로 결국에는 소수 에디터의 판단이 크게 작용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네티즌, '정부의 포털통제 의혹' 지적

하지만 이 같은 포털사이트와 정부의 '부인'에도 불구하고 네티즌의 '정부의 포털사이트 장악' 의혹은 여전하다. 최근 방통위 직원이 다음 측에 광우병 관련 댓글 삭제요청한 사실이 밝혀졌으며, 일부 네티즌들이 포털사이트에 올린 광우병 관련 글이 삭제됐다며 여론 조작 의혹을 제기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민경배 경희사이버대 교수는 기고에서 "문화체육관광부는 지난 9일 포털 등 뉴스를 다루는 인터넷 사이트를 언론중재법 대상에 포함시키도록 법 개정을 추진하겠다고 했고, 방송통신위원회는 12일 인터넷 실명제 전면 확대를 검토 중이라고 했다"며 "네티즌을 중심으로 현 정부에 대한 반대 여론이 들끓는 시점에서 인터넷 규제 방안이 줄줄이 발표되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