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BACO사장공모가 막바지를 향하고 있다. 이제 임추위의 추천자 중 공공기관운영위원회의 심의·의결 후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이 임명하는 절차만이 남아있다. 언론의 공공성을 걱정하는 각계각층의 우려는 아랑곳없이 3명의 최종후보에는 지난 대선당시 이명박후보의 선대위 방송특보단장직을 수행한 소위 “MB맨“이라고 알려진 특정인사가 포함되어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사장선임절차가 채 마무리되기도 전임에도 불구하고 임기가 만료된 전무이사 자리에 이미 자기의 몫인 양 몇몇 인사들의 이름이 심심치 않게 거론되고 있는 상황이다.

당초의 우려대로 언론의 공공성과 다양성 확보의 최후 저지선인 KOBACO 신임사장과 전무가 현 정권의 시장제일주의, 민영화, 경쟁지상주의에 부화뇌동하고 나아가 방송시장 재편의 선봉에 서기위해 투하되는 낙하산 인사여서는 안 된다.

만약 본인 스스로 낙하산임을 부정한다면, 그리고 이러한 우려의 시각과 낙하산이란 평가에서 자유롭기 위해서는 다음 사항을 반드시 명심해야 할 것이다.

첫째, 현 KOBACO 체제는 방송의 편성·제작과 광고영업 분리를 통해 방송의 공익성을 담보해 낼 수 있는 유일한 장치이다. 어설픈 경쟁논리는 그것이 비록 시작은 제한적이라고 하더라도 궁극적으로는 극소수 방송사에게만 혜택이 돌아가는 방송사 개별영업의 수순이 될 수밖에 없으며 이는 결국 자본의 언론개입과 방송의 상업주의 만연으로 귀결될 수밖에 없음을 분명히 인식해야 한다.

둘째, 수많은 지역방송사와 종교방송의 안정적 재원조달을 통해 지역과 소수의 다양한 언로전달을 지원하고 있는 현재의 연계판매정책은 어쩔 수 없는 최선의 방책임을 공유하고, 이를 통해 외부의 소위 “끼워팔기” 논란에 종지부를 찍을 수 있는 배짱이 있어야 한다.

셋째, 영업기능 이외에 공사기능의 다른 주축인 광고교육원, 공익광고, 연수원, 광고회관, 지사운영 등 비용효율성만으로는 그 판단의 잣대를 댈 수 없는 다양한 광고진흥사업을 민영화와 공기업 개혁의 편협한 기준으로만 재단하려는 정부의 정책에 단호한 반대의 목소리를 전달하여야 한다. 특히 KOBACO지사는 지역의 방송사, 광고회사 광고주의 권익보호와 지역 광고산업 발전지원 등의 임무를 수행해 왔고 직접적으로는 가뜩이나 판매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수많은 지역방송사의 경영재원 마련을 위해 반드시 존치해야하는 필수불가결한 조직임을 분명히 알려야 한다.

다짐하거니와 KOBACO신임사장, 임원이 되고자 하는 이는 현재 KOBACO 체제의 정당성과 당위성을 전 직원과 한마음, 한뜻으로 설파하고 체제수호에 헌신할 각오를 해야 할 것이다. 노동조합은 이러한 의지가 없는 자, 정권과의 입맞추기로 일관하는 자는 정권의 나팔수요 불필요한 낙하산으로 간주, KOBACO 경영진으로 절대 인정하지 않을 것이며 전국언론노동조합과의 연대 등 강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사장 퇴진투쟁의 깃발을 높이 치켜 들것이다. <끝>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