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윤수현 기자] 기자들이 생각하는 ‘언론자유의 최대 적’은 광고주였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언론인 201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 응답자 10명 중 6명은 ‘언론자유를 제한하는 요인’으로 광고주로 꼽았다. 디지털 뉴스 유통에서 가장 중요한 플랫폼은 포털로 조사됐다.

23일 발표된 ‘한국의 언론인 2021’ 조사결과에 따르면 응답자 62.4%(중복응답)는 “광고주가 언론자유를 직간접적으로 제한하고 있다”고 답했다. 2019년 조사보다 6%p 낮아졌다. 이어 편집국·보도국 간부 47%, 사주·사장 43.4%, 정부·정치권 32.4%, 언론관련 법·제도 30.3%, 기자의 자기검열 26.7%, 독자·시청자·네티즌 21.9%, 이익단체 21.8%, 시민단체 12.2% 순이다.

(사진=한국언론진흥재단)

언론 전반에 대한 인식을 5점 척도로 조사한 결과 ‘영향력’은 3.68점, ‘자유도’는 3.44점이었다. 자유도는 박근혜 정부 시기인 2017년 2.85점이었지만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취재 활동 시 어느 정도 자유롭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기자들 65.8%(대체로 자유롭다 56.5%, 매우 자유롭다 9.3%)는 “자유롭다”고 답했다. “보통이다”는 25.4%, “자유롭지 않다”는 8.8%(별로 자유롭지 않다 7.8%, 전혀 자유롭지 않다 1.0%)다.

기자들이 꼽은 주요 디지털 뉴스 유통 플랫폼은 포털이었다. 응답자 70.2%는 포털을, 10.7%는 유튜브와 같은 ‘동영상 플랫폼’을 꼽았다. 뒤이어 SNS 9.8%, 자사 뉴스 웹사이트 및 뉴스 앱 7.1%, 메신저 서비스 1.6%, 기타 0.6% 순이다.

뉴스 관련 문제점을 조사한 결과, 응답자 82.8%는 “낚시성 기사의 문제가 심각하다”고 답했다. 이어 어뷰징 기사 82.1%, SNS 인용기사 80.8%, 편파적 기사 70.5%, 가짜뉴스 65.2%, 광고·홍보성 기사 64.5%, 지라시 정보 61.6% 순이다. ‘언론사의 오보’를 심각하다고 느끼는 기자는 58.5%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허위조작정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언론사의 정확한 정보 제공(4.33점), 플랫폼 사업자의 사회적 책무성 강화(4.23점), 팩트체킹·가짜뉴스 검증 시스템 등에 대한 지원(4.07점) 등이 제시됐다. ‘민형사상 처벌과 법적 규제 강화’는 3.40점으로 가장 낮았다.

지난 1년간 취재보도로 괴롭힘을 당했다는 응답률은 31.4%였다. 이 중 73.1%는 전화, 문자, 메신저, 이메일 등을 통해 괴롭힘을 당했다. 취재·보도 트라우마나 괴롭힘에 대한 대응책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기자는 75.4%였다. “언론 전반에 성평등이 갖춰졌는가”라는 질문에 32.5%는 “그렇지 않다”고, 30.2%는 “그렇다”고 답했다.

한국 기자의 일주일 평균 근무일수는 5.2일, 하루 평균 근무 시간은 8시간 55분이었다. 평균 근무 시간은 2013년 10.6시간에서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다. 주 52시간 근무제와 최저 임금제를 적용받고 있다는 기자는 각각 87.2%, 77.5%다.

이번 조사는 메가리서치가 7월 19일부터 10월 5일까지 기자 2014명을 대상으로 대면 면접조사·온라인 설문조사 방식으로 진행됐다. 95% 신뢰수준에서 표본오차는 ±2.0p다. 자세한 조사 결과는 12월 31일 공개된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