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윤수현 기자]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올해 사업비 예산을 745억 원으로 확정했다. 주요 사업은 기획취재 지원, 해외 장기연수, 미디어교육 지원, 취약계층 신문 지원 등이다.

언론재단은 19일 ‘2021년 온라인 사업설명회’를 개최했다. 언론재단은 민간업계 동반성장 분야에 250억 원, 취재 역량 강화 및 제작 지원 분야에 106억 원, 뉴스 미디어 디지털 혁신 분야에 82억 원, 전 국민 미디어 리터러시 향상 분야에 61억 원을 편성했다. 올해 언론인 금고 규모는 246억 원이다.

‘취재 역량 강화 및 제작 지원 사업’은 기획취재 지원, 인권증진 보도지원, 언론인 해외 장기연수 등으로 이뤄진다. 기획취재 지원은 일반 연재, 디지털 스토리텔링, 실감형 뉴스콘텐츠 부문으로 나뉜다. 지원 규모는 일반 연재 2000만 원, 디지털 보도 4000만 원, 실감형 콘텐츠 5000만 원이다. 지원 사업에 선정된 언론사는 사업비 10%를 부담해야 한다.

(사진=미디어스)

방송·영상 분야 기획취재 지원 규모는 연속보도 4000만 원, 장편 보도 8000만 원이다. 인권증진 보도지원은 인권침해 사례 심층 취재, 인권감수성 향상 보도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지원 규모는 1500만 원이며 대상은 신문, 인터넷신문, 잡지 등이다.

언론재단은 올해 5명 이내의 언론인을 선발해 1년간 해외 대학원 및 연구기관 장기 심층 연수를 지원한다. 지원 규모는 천만 원 이내 학비, 250만 원 이내 항공료, 월 250만 원 내외 체재비다.

지원 대상은 신문협회, 기자협회, 방송협회, 인터넷기자협회 등 언론 직능단체 가입 언론사에서 7년 이상 재직한 언론인이다. 직능단체에 가입하지 않은 언론사는 지원할 수 없다. 언론재단은 “1년간 해외연수 지원이 가능한 규모의 언론사 소속 언론인을 선발하기 위해 해당 기준을 적용했다”고 밝혔다. 언론재단은 “코로나19 국면에서 해외연수를 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 “코로나19 상황에 따라 파견 일정이 달라질 수 있다”고 답했다.

'뉴스 미디어 디지털 혁신 사업'은 통합 CMS 활용지원, 뉴스콘텐츠 디지털화 지원 등이다. 언론재단은 온라인·오프라인 통합 CMS를 구축하는 언론사에 비용을 지원한다. 언론재단은 통합 CMS 구축 3년간 운영비를 전액 지원하고 4년 차부터 지원 비중을 줄여나갈 방침이다. 소요 예산은 26억 5000만 원이다. ‘뉴스콘텐츠 디지털화 지원’은 1990년 이전 종이신문을 디지털화하는 것이다. 지원 대상은 빅카인즈 뉴스콘텐츠 협약 신문사다.

'미디어 리터러시 향상 사업'은 미디어교육 운영학교 지원, 소외계층 구독료 지원, 신문 우송비 지원 등이다. 언론재단은 학교에 미디어교육 강사를 파견하고 수업용 신문을 지원할 계획이다. 지원 대상은 전국 유치원, 초·중·고등학교 450교 내외다.

언론재단은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사회복지시설 등 정보 취약계층에게 신문을 지원한다. 언론재단은 신문 구독료 60%를 지원하고 신문사가 40%를 자부담한다. 지원 대상은 자본금 30억 이상, 발행 부수 5만 부 이상의 종합일간지다. 또한 언론재단은 신문 배달이 어려운 오지·벽지 지역 우송료를 지원할 계획이다.

'민간업계 동반성장 사업'은 뉴스 스타트업 지원, 지역 크리에이터 양성 등이다. 언론재단은 뉴스 콘텐츠 관련 스타트업을 선정해 회사당 2500만 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선정사는 지원 사업 종료 후 제품을 출시해야 한다. 언론재단은 언론사에 소속되지 않은 크리에이터를 대상으로 지역 관련 콘텐츠 제작비를 지원할 방침이다.

올해 언론인 금고 규모는 246억 원이다. 지원 대상자는 언론인금고 회원사 소속 정규직·무기계약직·비정규직 근로자다. 지원 규모는 생활자금 최대 1500만 원, 주택자금 최대 6000만 원, 특별 생활자금 최대 500만 원이다. 이자는 1%~2.25% 사이다.

한편 언론재단은 취재 역량 강화 및 제작 지원 사업에 ‘언론중재위원회 정정보도’라는 감점 사항을 추가했다. 법원의 정정보도 판결이 아닌 언론중재위 조정을 감점 사항으로 둔 점은 논란이 예상된다. 언론사가 언론중재위 조정을 따르지 않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언론중재위 정정보도 감점은 5점으로 청소년 유해광고 게재, 공직선거법 위반 이력 감점(각 1점)보다 높다.

실제 강화군은 지난해 지역신문발전지원조례를 통과시키면서 ‘3년 이내 사실 왜곡, 허위, 과장, 편파 보도 등으로 언론중재위원회에서 조정성립 또는 직권조정을 통해 정정보도 또는 손해배상 등의 결정이나 이와 관련하여 벌금 이상의 형을 선고받은 경우’를 지원 대상에서 제외하기로 해 비판을 받은 바 있다. 당시 인천시민사회단체연대는 성명에서 “‘언론중재위 정정보도’를 지원 대상에서 제외하는 기준으로 삼은 것은 비판적인 언론에 재갈을 물리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언론재단은 ABC협회 가입사에 가점 1점을 주기로 했다. 인쇄 매체가 인터넷신문보다 더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우려에 대해 언론재단은 “당장 답변하기 곤란하다”며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