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12월 16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지상파 방송사 시청자 서비스 강화 공동사업 추진 협약식에서 참석한 지상파 4개사 사장들이 행사를 마친 후 인사를 나누고 있다.(왼쪽부터 SBS 우원길 사장, MBC 김재철 사장, KBS 김인규 사장, EBS 곽덕훈 사장) ⓒ 연합뉴스
지상파 4사가 야심차게 선언했던 수신환경개선 사업에 시범사업이라는 명목으로 2억 원이라는 예산안이 만들어졌다.

지난해 12월 16일 KBS, MBC, EBS, SBS 등 지상파방송 4사 사장단은 ‘시청자 서비스 강화’를 위한 협약식을 개최하며 난시청 해소를 위해 수신환경개선 사업에 나설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를 위해 DTV코리아 산하에 내부에 사업추진TF를 구성한다고 밝혔다. 또한 수신환경개선 사업에 2011년부터 3년간 1,000억 원 이상의 재원이 소요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수신환경개선 사업의 관건은 재원 마련 및 방송사 분담비율이었으며 결국 ‘시범사업 2억 원’이라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지상파방송 4사는 시범사업 실시 후 수신환경개선 사업을 점차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이지만 2억 원이라는 시범사업의 무게는 약한 게 사실이다.

유영주 언론연대 상임정책위원은 “김인규 방송협회장이 말했던 수신환경 개선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의지를 뒷받침하기에는 턱 없이 부족하다”고 비판했다.

방송사가 각출할 시범사업 2억 원은 방송사의 재정 상황과는 상관없어 보인다. 문제는 의지다. 지난해 12월 한겨레는 <수신료 올리려는 KBS '흑자 줄이기' 나섰나>기사에서 "KBS가 24일 현재 14억5000여만원을 들여 13년 만에 전 직원의 의자를 한꺼번에 교체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또한 KBS는 유료방송을 통한 절대적 난시청 해소를 위해 재단까지 설립해 320억 원을 사용할 계획이다. 한 지상파방송사 관계자는 “절대적 난시청 해소가 우선인지, 인위적 난시청 해소가 우선인지, 순서가 없다”면서 “유료방송을 통한 난시청 해소가 지상파직접 수신율을 끌어올리는 것 보다 우선인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또 "수신환경개선 사업은 방송협회장인 김인규사장이 추진하고 있는 수신료 인상의 빌미가 아닌지 의심스럽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KBS는 난시청 해소를 위해 지난해 디지털 지상파TV 중계소(TVR) 설치 등에 모두 359억 원의 예산을 투입했으며, 올해도 460억 원 이상을 들여 수신 환경을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KBS는 또 지난해 말 320억 원을 출연한 디지털시청 100%재단을 통해 앞으로 디지털 방송 시청에 차질이 생기지 않도록 만전을 기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