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송창한 기자] 뉴스통신진흥회(이사장 강기석)가 연 330억 원 가량의 연합뉴스 정부 구독료 산정과 연동되는 '공적기능 평가모델' 개정안을 채택·의결했다. 이번 개정안에는 '이용자 만족도' 항목이 신설됐다. 또 기존 '공적기능 평가'라는 명칭을 '국가기간뉴스통신사 기능평가'로 변경하는 작업이 추진될 전망이다.

11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뉴스통신진흥회 정기이사회에서는 연합뉴스 공적기능 평가모델 개정안이 최종 채택·의결됐다. 진흥회는 지난해 11월부터 담당 TF를 꾸려 개정 작업에 착수, 연합뉴스의 공적기능과 정부 구독료에 대한 내·외부 조사를 진행해 '이용자 만족도' 항목이 추가된 개정안을 도출했다. 지난 3년 간 시범적으로 운영되어 온 공적기능 평가는 올해부터 정부 구독료와 연동된다.

개정안 평가항목과 배점은 ▲해외뉴스 강화(300점) ▲외국어뉴스 서비스 강화(200점) ▲통일/북한관련 뉴스 취재 강화(100점) ▲지역뉴스 강화(100점) ▲재난재해 뉴스강화 (100점) ▲이용자 만족도(150점) ▲뉴스통신산업 진흥 및 언론생태계 발전 기여(50점) 등 7가지 항목 총점 1000점이다.

서울 종로구 연합뉴스 사옥 (사진=연합뉴스)

이날 회의에는 전국언론노조 연합뉴스지부(지부장 홍제성)가 참여해 개정안에 대한 의견을 제시했다. 남광식 연합뉴스지부 정책기획실장은 크게 ▲'공적기능 평가'라는 명칭을 '국가기간뉴스통신사 평가'로 수정할 것 ▲평가 항목에서 '국익'이라는 표현을 삭제할 것 ▲'이용자 만족도' 조사 대상에서 공무원 및 대기업 홍보 담당자들을 제외하고, 시민의견을 반영할 것 등을 진흥회에 제안했다.

'공적기능'이라는 표현의 의미가 모호하고, 국익이라는 표현과 공무원 및 대기업 홍보 담당자의 평가는 독립성을 훼손할 수 있으며, 포털 구독자가 100만 명이 넘는 연합뉴스를 평가함에 있어 시민의견을 반영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진흥회는 이 중 평가모델 명칭 변경에 대한 의견을 수용하고, 나머지 제안들은 내년 이후에 다시 논의하기로 결정했다.

'국익'이라는 표현의 경우 '국가기간뉴스통신사'라는 정체성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에 언론의 정치적 독립성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사용되었다는 게 진흥회의 설명이다.

또 '이용자 만족도'의 경우 언론사로서의 연합뉴스를 평가하는 것이 아닌, 연합뉴스의 공적기능을 평가하는 작업인만큼 '시민'을 서비스 주체로 상정하기에 무리가 따른다는 게 진흥회 담당 TF의 결론이다. 통신사인 연합뉴스를 B2B(Business to Business), B2G(Business to Government) 기업으로 보고 공적기능을 평가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다만 진흥회 이사들은 '공적기능 평가'라는 명칭을 '국가기간뉴스통신사 기능평가'로 변경하자는 노조의 의견을 수용해 이를 추진하기로 결정했다. 공적기능을 수행하는 언론일반의 속성상 연합뉴스의 기능만을 공적기능으로 분류해 평가하고, 이를 근거로 세금을 지급하는 것은 모호하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연합뉴스 정부 구독료 산정 기준에 대해 논란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공적기능'이라는 표현을 삭제하는 것은 연합뉴스의 공적 책임을 줄이고, 실효성 문제가 제기되는 '정부 구독료'에 대한 의미를 강화하는 결과로 이어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한편, 지난달 발표된 가안과 달리 최종 의결된 개정안의 이용자 만족도 조사 대상에서는 대기업 홍보담당자가 제외됐다. 이용자 만족도 조사는 연합뉴스를 이용하는 언론인 300명, 전문가 100명 등 총 400명을 대상으로 개별 면접 조사가 실시된다. 개정안에 따라 평가 작업을 진행할 '연합뉴스 공적기능평가단'은 진흥회 이사 2명, 진흥회 감사 1명, 외부위원(언론학자) 4~5명으로 구성된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