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서울시의회와 서울시가 벼르던 TBS 출연기관이 해제됐다. TBS는 방송통신위원회가 정관 변경을 허가하지 않아 기부 등 민간 재원 확보에 난항을 겪고 있다고 한다.
10일 행정안전부는 11일자로 TBS의 출연기관 지정 고시를 해제했다. 출연기관 지위가 해제돼 서울시와 서울시의회의 TBS에 대한 공식적인 지원 근거가 사라졌다.
![서울시 미디어재단 TBS [연합뉴스 자료사진]](https://cdn.mediaus.co.kr/news/photo/202409/309901_215157_4059.jpg)
앞서 행안부는 서울시에 방통위의 TBS 정관 변경 허가 이후 출연기관 지정 해제를 신청하라고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TBS 이사회는 지난달 27일 TBS 정관을 민법상 비영리 법인으로 개정하는 안을 의결하고 방통위에 허가심사를 요청했다. 그러나 행안부가 방통위의 허가를 기다리지 않고 출연기관 지정을 해제한 것이다.
강양구 TBS 경영전략본부장은 10일 미디어스에 “국민의힘의 주도로 서울시의회가 TBS 지원 조례를 폐지하면서 지난 6월 이후로는 서울시로부터 일체 출연금을 확보할 수 없는 구조가 됐다”며 “서울시 틀 안에서 지원 받는 방법을 여러 가지 모색해왔지만, 결과적으로 실패해 이제 민간 기부 등에 기댈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출연기관이 해제된 것”이라고 말했다.
강 본부장은 “문제는 TBS 정관은 여전히 서울시 출연기관이라는 것”이라며 “방통위에서 정관 개정에 대해 허가를 내주지 않고 있다. 방통위가 허가를 해줘야 정상적인 민법상 비영리법인으로서 살길을 모색할 수 있는데, 정관 변경 허가가 나지 않아 기부나 다른 재원을 확보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정관 변경 허가는 방통위원들의 의결 사항이 아닌 팀·국장 전결로 가능한 데 이유 없이 심사가 길어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강 본부장은 ‘민간 재원 확보 논의가 진행되고 있나’라는 질문에 “투자자 발굴용역 연장 선상에서 여러 기업들과 접촉하고 있고, 적극적인 의사를 보이는 곳이 있다”면서 “물밑에서 타진 중이지만, 확실하게 진행된 곳은 없다”고 말했다.
송지연 전국언론노동조합 TBS지부장은 미디어스에 “YTN에 이어 TBS도 사실상 민영화 된 것이기 때문에 매우 씁쓸하다”고 말했다. 송 TBS지부장은 “앞서 TBS가 공영방송사로서 재허가 받을 때 부여받은 책무가 있기 때문에 서울시가 출연기관이 아니더라도 재난방송 등 공영방송으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어떻게든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이대로 내버려 두는 것은 무책임하다”고 비판했다.
송 지부장은 “만약 TBS가 폐국이 된다면 TBS에 할당된 두 개의 주파수가 민간사업자에게 넘어갈 가능성이 높다”며 “서울시의 지원이 완전히 끊겨 TBS가 주파수를 지키기 어려워지는 상황에서 상업광고를 허용하든, 특별법을 만들든 정치권이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관련기사
- 서울시 "TBS, '공영방송 성격' 유지 노력 중" 도돌이표
- TBS 대표 직대도 고개 가로젓는 여권의 '민영화' 꿈
- "윤석열 정부 TBS 민영화 난색"
- TBS 노사비대위, 사측 위원들 불참으로 파행
- 오세훈에게 공 넘어간 'TBS 출연금 지원' 연장
- 'TBS 폐지 조례' 대표발의자 최호정, 서울시의장에
- "TBS는 버틸 수 있는 한 방송을 계속하려고 합니다”
- TBS 엎친 데 덮친 구조조정…"이성구 대표 직대 사퇴하라"
- 야5당, TBS 탄압 책임자로 오세훈·김홍일·김현기 지목
- 존폐 위기 TBS, 오전 0~7시 '라디오 정파' 결정
- 'TBS 폐지 조례' 시행 열흘 앞 "오세훈 시장, 폐국만은 막아달라"
- TBS '공중분해' 거론되는데 손놓은 방통위
- TBS 사장 직무대행에 이성구 이사
- 서울시, 'TBS 지원 폐지' 한달 앞두고 '3개월 유예' 추진
- "TBS 지원 연장돼야" 오세훈, '부당해고' 문제엔 "관여 불가"
- 'TBS 폐지조례' D-40, 오세훈 "제 입장 시의회와 많이 달라"
- '공공기관·지자체 인수' 활로 찾는 TBS
- 서울시, TBS '폐국' 몰아넣고 '헤어질 결심'
- '폐국 위기' TBS, 대표 퇴사에 추가 희망퇴직 권고
- TBS 양대노조가 "민영화 전면 백지화" 요구하는 이유
- 오세훈 "TBS 직원 생계 고민"…민영화 백지화는?
- TBS 대표·경영본부장 사표…경영 리더십 붕괴
- TBS 지원폐지 조례 시행 '5개월' 유예
- "TBS 폐국 위기 주범, 오세훈·서울시의회 석고대죄하라"
- 방통위, '9월 임금 체불' TBS 정관변경 안하나 못하나
- 연합뉴스 사장 지원자, 'TBS 주파수 할당받자' 공염불
- 이성구 TBS 대표 사의 표명…'임금 체불 형사 책임' 탈출구
- 과방위, 국감 증인으로 YTN·KT 사장 부른다
- '폐업하라'는 방통위 'TBS 정관 변경' 반려
- TBS 대량해고 현실화에 "서울시·방통위의 사회적 학살"
- “폐국이 사필귀정? TBS는 무도한 시대의 희생양입니다”
- 방통위, '1인 체제' 핑계로 TBS 정관변경 신청 또 반려
- 드러난 오세훈 서울시의 "TBS 공중분해 안간힘"
- TBS '긴급 호소문'…"서울시·방통위·과방위 도와달라"
- TBS 양대노조가 '출연기관 해제 무효' 소송 나선 이유
- 방통위가 막은 TBS 공익법인화, 기재부가 내줬다
- “‘오세훈 방지법’은 공영방송 TBS를 되찾는 다짐입니다"
- 'TBS 출연기관 해제' 공익감사 청구…"행정의 탈 쓴 폭거"
- 1년째 무급여 TBS 구성원들 "방발기금 지원해야"
- 윤호중 "TBS 정상화 방안 마련하겠다"
- TBS노사, 윤호중 '정상화' 발언에 "환영" 한목소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