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송창한 기자] 이재명 정부가 연 1조 원 규모의 정부광고 시스템을 '대전환'하겠다고 예고했다. 핵심 키워드는 '디지털 전환'이다. 정부광고의 65%를 디지털 광고로 집행하는 해외 사례가 국무회의에서 거론됐다.
그동안 인쇄매체 정부광고의 경우, 보수·경제지에 집중됐으며 '판갈이' 의혹이 발생하기도 했다.

18일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 브리핑에 따르면,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비공개 국무회의에서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최휘영)로부터 '정부 홍보 효율화 방안'을 보고 받았다. 이 대통령은 지난달 29일 문체부에 정부광고 대상 매체의 효율성을 제고하라고 지시한 바 있다.
강 대변인은 "문체부가 마련한 방안은 정책홍보를 강화하고 정부광고 효과를 높이기 위해 부처와 장·차관의 SNS를 활성화하는 등 디지털 중심으로 정부 홍보 기조를 대전환하고 범정부 차원의 홍보지원시스템을 혁신하는 것"이라며 "디지털 소외계층에 특화된 홍보를 추진하는 등 정부 홍보의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방안이 담겼다"고 설명했다.
문체부 보고 후 국무위원 자유토론에서 조현 외교부 장관은 캐나다·영국 등의 국가에서 정부광고 중 디지털 광고 비중이 65%에 달하고 있으며 제3의 기관이 정부광고 집행의 투명성을 검증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홍보실적 평가 기준을 재검해야 한다며 각 정부부처에 자체 홍보수단·운영실태를 파악해 보고하라고 지시했다. 이 대통령은 정부정책을 홍보할 때 돈을 써 미디어를 통해 하는 것도 좋지만 직접 국민들을 만나 경청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정책 수용자인 국민의 입장에서 더 나은 홍보 대안을 마련해달라고 당부했다.
강 대변인은 '디지털 광고 비율에 대한 얘기는 유튜브 광고 집행을 늘린다는 의미인가'라는 기자 질문에 "제가 말을 추상화한 게 아니라 그냥 '디지털' 이렇게 얘기가 나왔다"며 "구체적인 매체명·플랫폼명이 나온 게 아니라 '디지털 중심으로 정부 홍보 기조 대전환' 이런 워딩으로 나왔다"고 답했다.

정부광고는 인쇄·방송·인터넷·옥외·해외 매체에 집행된다. 한국언론진흥재단에 따르면 지난해 매체별 정부광고 집행액은 인쇄 2737억 원(21.7%), 방송 3332억 원(26.4%), 인터넷 3714억 원(29.4%), 옥외 2512억 원(19.9%), 해외 317억 원(2.5%) 순이다.
미디어스가 2024년 정부광고 집행내역을 분석한 결과, 신문 정부광고 10위 안에 진보 성향 언론은 한 곳도 없었다. 중도 성향 언론 1개를 제외한 9개 언론 모두 보수·경제지로 나타났다.
1·2·3위는 동아·중앙·조선일보다. 동아일보 98억 2500만 원, 중앙일보 86억 9200만 원, 조선일보 82억 8500만 원이다. 4위는 매일신문으로 66억 5200만 원, 5위는 문화일보로 62억 4200억 원이다. 6위부터 10위까지는 한국경제(58억 2400만 원), 매일경제(55억 1100만 원), 서울신문(53억 1900만 원), 한국일보(49억 4000만 원), 세계일보(49억 2400만 원) 순이다. (관련기사▶[단독] 매일신문·문화일보, 윤석열 정부광고 신문 4·5위 기염)
4위 매일신문은 윤석열 전 대통령 비상계엄·탄핵 정국에서 '내란 옹호'로 이름을 널리 알렸다. 지난 2월 28일 매일신문은 <尹 대통령 복귀가 국익(國益)이다!>라는 제목의 석민 선임논설위원 칼럼을 실었다. 석 논설위원은 칼럼에서 윤 전 대통령 측이 주장하는 '계몽령'을 치켜 세우며 이를 비판하는 기성 언론을 향해 "부패하고 썩어 문드러져 악취가 진동한다"고 했다. 당시 민주당 대표였던 이 대통령은 해당 매일신문 칼럼을 SNS에 공유하고 "실제 신문이다"라고 썼다. 매일신문은 해당 칼럼을 삭제 조치했다. 매일신문 기자들은 자사 간부들을 '윤석열 첨병'이라고 지칭했다.

신문 정부광고에 대해 검증이 이뤄지지 않는 대표적 사례로 '정부광고 판갈이' 의혹을 들 수 있다. 미디어스는 지난 2022년 1월 정부·공공기관이 조선일보에 의뢰한 정부광고 중 일부가 실제 지면에서 확인되지 않는다고 보도했다. 실제 2018년~2021년 조선일보의 정부광고 내역을 확인한 결과, 4건의 정부광고를 지면에서 찾아볼 수 없었다. 문체부 산하 한국언론진흥재단은 당시 조선일보가 제출한 정부광고 증빙자료만 확인했을뿐 실제 광고가 이뤄졌는지에 대해 교차검증하지 않았다. 언론재단은 2022년 2월 정부광고 판갈이 의혹 전수조사를 실시했으나 결과를 공개하지 않았다.
한편, 조 장관은 해외에서는 허위·조작 보도에 대해 엄하게 단속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이 대통령은 허위조작보도는 플랫폼·미디어 변화에 관계없이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이며 고의적인 왜곡·허위 정보는 신속하게 수정되어야 하고 반드시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한다. 강 대변인은 '이 대통령이 언론중재법 개정 필요성을 언급한 건가'라는 질문에 "법안이나 그런 얘기는 없었다"고 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관련기사
- 이 대통령, 문체부 보고에 "정부광고 대상 매체 효율성 제고하라"
- 언론재단 정부광고 독점대행, 정말 문제없나
- 지역방송협의회 "국정 5개년 계획 유감...대선 공약 이행하라"
- 최민희 "언론재단·김효재는 개혁 대상"
- 국정기획위, 허위정보 대응-정부광고 구조 개선 등 7대 과제 접수
- 지역민방노조 "언론재단 정부광고 독점 대행 구조 해체해야"
- 신문협회, 이재명 정부에 "포털뉴스 전재료 기준 마련" 제안
- "정부광고, 암묵적 '보도 거래' 수단 …명확한 집행 규정 만들어야"
- [단독] 매일신문·문화일보, 윤석열 정부광고 신문 4·5위 기염
- 방송협회, "정부광고 대행 독점 개선" 공약 이행 건의
- 이재명, 대선 공약집에 '공영방송 재원 구조 개편' 명시
- 정부광고 수수료, 새 정부의 지역방송 재정난 타개책 될까
- 최민희 "정부광고 대행 '미디어진흥재단' 신설 구상"
- 정부광고, 세금 안 내는 유튜브에 세금 지원 형국
- 언론재단, 지역·중소언론 공익광고 50억 집행 추진
- 기재부 정부광고 편향 작렬…종편 몰아주고 지상파는 0원
- 김교흥 "언론재단 정부광고 수수료 값어치하나…이럴거면 폐쇄해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