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로사'라는 말은 더 이상 우리 사회에서 생소한 단어가 아니다. 그런데 7월 8일 방영된 SBS <그것이 알고 싶다>는 거기서 한 발 더 나아가 '과로 자살'을 조명한다. 과로 때문에 자살을 한다고? 그러면 열에 아홉은 이렇게 말하기 쉽다. '그만두면 되지, 뭐 하러 스스로 자신의 목숨을 거두냐'고. 하지만 프로그램은 답한다. 과로사의 한 영역으로 '과로 자살'을 인정해야 한다고.

인간 무한요금제, 과로 자살을 부르다

SBS <그것이 알고 싶다> 인간 '무한요금제'의 진실 - 과로자살의 시대 편

명문 카이스트를 나와 대기업 삼성중공업의 과장으로 일하던 이창헌 씨는 부모님이 사는 아파트에서 몸을 던졌다. 결혼한 지 일 년여, 두 달 된 딸내미를 둔 가장의 결정이라기엔 너무도 참혹하다. 자상한 가장이었던 남편의 죽음을, 성실한 직장인이었던 아들의 죽음을 받아들일 수 없어 가족들은 회사에 항의를 하지만 '개인적 결정'인 자살 앞에 회사나 직장 상사들은 냉담하다.

하지만 삼십대 젊은 나이에도 체력이 딸려 간호사인 아내가 수액을 놔줘야 할 만큼 매일 야근의 연속이었던 그의 일상. 심지어 연구직 출신이지만 사업부로 보직이 변경되어 희망퇴직의 위협에 하루하루를 보내던 그의 마지막 선택은 세상을 버리는 것이었다. 하지만, 회사의 입장대로 이런 선택이 이창헌 씨만의 선택이었다면 '개인적 결정'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중소기업 입사 1년 만에 베트남 지사에 홀로 배치되어 새벽까지 업무를 보던 젊은 사원이나, 실적이 날 때까지 근무하는 '크런치 모드'의 와중에 지난해 한 해에만 4명이 자살한 잘나간다는 게임 업계, 2013년부터 지금까지 사망자 70여 명 중 돌연사 15명에 자살 15명의 집배원 등, 밥 먹듯 하는 야근과 과중한 업무 사이에서 결국 '자살'을 선택하는 것이 현재 대한민국에서 업계를 막론하고 '비일비재'한 일이라는 데 <그것이 알고 싶다>의 문제의식이 있다.

SBS <그것이 알고 싶다> 인간 '무한요금제'의 진실 - 과로자살의 시대 편

정해진 급여에 한도 끝도 없이 부려먹는 직장인의 현실을 '인간 무한요금제'라 자조하는 현실. 특히 1961년 생긴 근로시간 특례 제도 법에는 통신, 의료, 광고, 운수 등 집배원을 포함한 26개 업종의 경우 사업자가 근로자와 합의만 되면 법정근로시간과 상관없이 초과 근무를 시킬 수 있다고 되어 있다. 이런 현실 속에 설사 현재 직장을 떠난다 해도 지금보다 더 나아질 수 없다는 절망감과, 과로로 인한 판단력 상실, 우울증 등이 오늘의 직장인들을 극단적 결정으로 이끈다.

과연 인간을 이렇게까지 몰아붙이며 일을 시키는 관행과 적폐에 대한 대안은 없을까? <그것이 알고 싶다>는 대형 광고회사 덴츠에서 하루 20시간씩 일하다 '자살'을 한 다카하시 미츠리로부터 시작된 문제의식이 <과로사 방지법>(2014)으로 이어진 일본에서 그 해답을 찾고자 한다.

그렇게 <그것이 알고 싶다>가 '법'을 통해 최악의 노동 현실을 돌파하려 했다면, 다음 날 방영된 <SBS 스페셜- 회사를 바꾼 괴짜 사장>은 사용자의 의식 혹은 태세 전환으로서 '일터 민주주의'를 제시한다.

일터 민주주의의 선두주자, 괴짜 사장님들

‘회사를 바꾼 괴짜 사장’ 편

프랜차이즈 업주의 갑질이 사회적 지탄의 대상이 되고 법정 구속까지 가는 요즈음, 그 정반대의 사장님들을 <SBS 스페셜>이 다룬다. 그 첫 번째 인물은 직원에 의해 '사장' 자리에서 쫓겨나 동거숙서가식(東家宿西家食)하며 오늘은 북유럽으로 어제는 중국으로 다니는 여행사 사장님 신창연 대표다.

톡톡 튀는 아이디어로 불황의 여행업계에서 해마다 매출 실적을 경신한 회사의 사장이었던 신창연 대표. 직원들을 위한 갖가지 복지 제도를 마련하다 2013년 80%의 지지를 얻지 못하면 사장 자리를 내놓겠다는 과욕을 부렸고, 단 한 명이 부족해 사장 자리에서 잘리는 처지가 되었다.

처음 투표 결과를 받아들고 잠시 '멘붕'에 빠지기도 했다는 그. 하지만 곧 진정한 회사 내 민주주의를 위해 기꺼이 자리를 내놓았고 이후 그의 삶은 180도 바뀌어 지금은 세계를 오가며 자유롭게 살고 있는 중이다. 무엇보다 놀라운 것은 그렇게 사주가 사라진 회사는 성장을 거듭했고, 그의 후임 사장 역시 지금은 사장 자리에서 물러나 영업 본부장으로 현직을 이어나가는 등 사장 자리와 사장이 없어도 자율적으로 자신의 일을 즐기는 기업 문화를 정착시켜냈단 점이다.

신창연 대표만 괴짜가 아니다. 한때 몇 개의 요식업소를 운영하던 갑이었던 사장님은 이제 수유동 작은 일식당의 '해피님'이 되어 있다. 커다란 식당대신 사람 몇 명만 들어가도 꽉 차는 작은 식당. 수많은 직원 대신 이 식당을 열던 그 시절부터 함께하던 직원들, 화장실 청소부터 온갖 허드렛일은 '해피님'이 도맡아 하고 식당의 대소사는 모두 직원회의를 거쳐 결정되는 이곳은 '해피님'이 원하던 진짜 일터이다. 이곳엔 알바 대신 이익금을 나눠받는 직원이 있고, 언젠가 더 좋은 조건을 찾아 떠나는 직원 대신 이곳에 뼈를 묻을 각오가 되어있는 주인들이 있다.

‘회사를 바꾼 괴짜 사장’ 편

한 술 더 떠서 일주일에 4일만 근무하는 직장도 있다. 돈을 주면 무제한으로 부려먹는 것이 관행이 된 대한민국에서 불금을 가정에서 보내게 하는 직장, 오후 6시만 되면 뒤도 안 돌아 보고 모든 직원이 회사를 비우는 직장, 그래서 아내의 말을 듣고 남편의 인도로 사내 커플이 증가하는 직장. 그렇게 주 4일 근무한 이래 아이러니하게도 실적이 비약적 발전을 해낸 직장 역시 그 결단은 사장님에게서 비롯됐다.

밤거리를 빛내는 건물의 불빛, 그 불빛을 보고 직장인들은 '상사의 눈치로 인한 불가피한 태업'이라고 자조한다. 즉 그 시간까지 할 일이 있어서가 아니라, 할 일이 없어도 자리를 지켜야 하는 관행이 늦은 퇴근과 그로 인한 피로의 축적, 업무 효율의 저하를 낳는다는 것을 직장인들은 알고 있다. 하지만 최근 '창의성'과 '기발한 아이디어'가 화두가 되고 있는 산업 생태계에서 과연 이러한 전근대적 업무 관행이 우리 산업을 계속 승승장구하게 할 것인가. 다큐가 찾아간 미국 IT업계 신생 기업의 자유로운 사내 문화는 제시하고 있는 바가 크다.

결국 <회사를 바꾼 괴짜 사장>이 내세운 것은 '갑'의 변화이다. 다큐의 마지막에 제시한, 30년 동안 이끌었던 회사를 퇴임하는 회장님. ‘퇴임하는 회장님’이라는, 우리 사회에서는 이율배반으로 들리는 이 정의를 실천하는 회장님을 통해 회사는 새로운 전통을 일궈나간다. <그것이 알고 싶다>가 말하고자 한 것도 그것이다. 법과 제도가 있더라도 그것을 운용하는 사람들이 여전히 인간을 돈을 주면 무제한 부리는 대상으로 간주한다면, 과로사와 과로 자살은 피할 수 없는 일이라는 것이다.

과로사처럼 과로 자살 역시 '산재'로 인정하는 사회적 경각심도 필요하지만, 일을 하다하다 자신이 도피할 곳은 죽음 밖에 없다는 절박한 상황으로 몰고 가는 '과로 사회' 그 자체에 대한 법적 방지와 인식의 제고가 전제되어야 한다. 그리고 그 '해법’의 하나로 <SBS 스페셜>의 괴짜 사장님들이 제시된다.

미디어를 통해 세상을 바라봅니다.
톺아보기 http://5252-jh.tistory.com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