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는 고양이의 시선과 그 시선이 향한 곳에서 벌어지는 어떤 사건으로 시작된다. 그리고 자신의 집에서 뜻하지 않은 강간을 당하고 만 미셸(이자벨 위페르 분)이 등장한다. 하지만 피해자 미셸은 피가 흐르는 자신을 돌보는 대신, 사건이 벌어진 와중에 떨어져 깨진 그릇을 먼저 치운다. 그리고 경찰에 신고하는 대신 조용히 목욕으로 흔적을 지운다.

그녀가 강간을 당했다.

영화 <엘르> 스틸 이미지

한 여인의 강간 사건, 하지만 영화는 그리 간단치 않다. 한때 출판사를 경영했지만 시대적 트렌드에 맞춰 게임 회사 ceo가 된 여자, 그런 사회적 지위가 그녀로 하여금 자신에게 벌어진 일을 덮게 만들었을까? 명망이 치러야 할, 그러기에 어쩌면 더 깊숙한 상처가 될 수 있을 것 같다는 안타까움을 가지고 미셸을 따라가는데 뜻밖에도 패스트푸드점에서 그녀와 일면식도 없는 사람이 그녀에게 자신이 먹고 난 음식물 쓰레기를 쏟아붓는다. 하지만 미셸은 그런 일이 처음이 아니라는 듯 반응한다.

강간 사건으로 시작된 영화는 미셸이라는 인물의 가족사를 들추며 인간 존재의 그 모호함에 대한 질문으로 번져간다. 피해자였던 미셸은 그와는 반대로 게임 속 피해자인 여성에게 오르가즘의 절정을 보다 자극적으로 드러낼 것을 요구한다. 이웃에 이사 온 잘생긴 남의 남편을 훔쳐보며 자위를 즐기는가 하면, 가장 친한 친구의 남편과는 성적 파트너십을 유지해왔다. 그러면서 아들의 여자 친구에게 무조건 적대적이고, 이혼한 남편의 여자 친구에게 집적거린다. 자신의 강간 사실을 친지들에게 당당하게 밝히면서도 경찰의 도움을 절대적으로 거부한다.

패스트푸드점의 봉변은 알고 보니 한 마을에 사는 가족과 동물들을 몰살하다시피 한 그의 아버지의 범죄와 그의 조력자로 봉인된 10살 시절 사이코패스 딸이었던 미셸의 과거로 연결된다. 그 사건 가해자의 딸이었다는 이유만으로 아버지가 30년 만에 가석방 신청을 하자 다시 과거로 끌려들어가는 그녀, 하지만 이제 자신이 어렵게 일궈온 현실의 성취를 그것으로 인해 흔들리고 싶지 않다.

쉽게 그녀의 편이 될 수 없는 그녀

영화 <엘르> 스틸 이미지

편이라는 개념이 익숙한 우리에게 피해자이지만 동시에 한때는 사이코패스 조력자였을지도 모르며 그 과거로부터 떨어져 나온 현재 게임 판매에 눈이 멀어 성의 상품화에 전혀 아랑곳하지 않는 그녀, 동시에 그녀 자신의 성적 태도 역시 그다지 도덕적으로 보이지 않는 그 이율배반적인 행동들이 미셸의 강간을 희석시킨다. 그녀를 피해자의 편에 세워 두둔하자니 미셸이 보이는 행태들 역시 돌 맞을 짓, 딜레마다.

<엘르>는 노장 폴 베호벤 감독의 16번째 영화이다. 그의 작품이 늘 폭력과 섹스라는 화두를 피하지 않고 직진해왔듯이 <엘르> 역시 마찬가지다. 또한 그가 등장시킨 주인공은 <포스맨(1983)>이래 <원초적 본능(1992)>, <블랙북(2006)>, <트릭(2012)>의 그의 전작 속 주인공들처럼 쉽게 우리라 얼싸안기 쉽지 않은, 도덕적 질문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인물이다. 그녀 자신이 이미 어린 시절 피해자인지 가해자인지 모호한 사건의 트라우마를 가진 존재, 그리고 이제 그 과거를 애써 지운 채 냉혈한처럼 사업에 매진하며 스스로 도덕적이라 말할 수 없는 삶을 살고 있는 그녀에게 벌어진 범죄. 심지어 그 범죄자는 알고 보니 그녀 자신이 유혹한 대상이며 위기의 상황에서 종종 그녀에게 도움의 손길을 기꺼이 제공했던 인물. 과연 이런 부도덕한 대상과의 관계에서 부조리한 삶을 살아왔던 그녀는, 그런 그녀를 보는 관객은 어떤 선택을 해야 하는가?

결국 뫼비우스의 띠처럼 꼬이고 서로 엇물리며 얽힌 사건들을 통해 폴 베호벤 감독은 부조리한 인간 세상에서 그럼에도 인간으로서의 도덕과 그 방식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 있는 것이 아닌가 싶다.

어머니가 그 속셈과 결말이 뻔히 보이는 재혼을 선택했을 때 어머니를 죽이겠단 장담처럼 결국 동일한 결과를 맞이하고 만다. 모녀라는 형식적 경계에서 한 치도 넘어서지 않으려는 그녀를 도발이라도 하듯 끝까지 재혼이라는 해프닝을 벌이며 그녀의 부담이었던 어머니, 하지만 그 어머니의 병실에서조차 자신에게 딸로서 끝까지 한 치의 틈조차 허용하지 않고 냉정하고 힐난했던 어머니와의 관계를 되새기는 대신 원망과 tv에 집중했던 그녀는 이별 인사 한 마디 나누지 못하고 어머니를 보내다. 장례식조차 그녀의 식대로.

엘르를 통해 드러난 부조리한 가족사 혹은 인간사

하지만 이후 그녀는 어머니의 바람대로는 아니지만 그토록 어머니가 원했던 아버지를 찾아간다. 30년 만의 가석방에 실패한 아버지, 하지만 아버지는 마치 그녀가 자신에게 침을 뱉으러 올 것이라는 것을 알아차린 것처럼 스스로 생을 버린다. 어머니를 잃고, 그리고 아버지를 잃고 그녀의 표정은 달라지지 않는다. 이웃집 남자 앞에서 사실은 과거 사건의 피해자였을지도 모를 자신의 이야기를 털어놓았을 때처럼. 하지만 표정은 여전히 흔들리지 않지만 더는 자위로 혹은 불륜으로, 심지어 도발이나, 위악으로 자신을 달래던 미셸의 삶을 지속하지는 않는다.

어머니의 유골을 되는대로 뿌렸지만 그 어머니와 아버지의 죽음은 이제 미셸 자신의 삶에 뜻하지 않은 이정표가 된다. 돈으로 남편을 산다 퍼부었지만 결국 반추해보니 남자가 그리워 절친의 남자친구를, 이웃집 남편을, 그리고 강간범과의 정사를 허용했던 그녀의 삶 역시 그녀가 그리도 거역해왔던 부모 세대의 삶과 다르지 않았던 것이다. 그리고 아버지의 죽음 이후 비로소 그녀는 과거로부터 자유로워진 대신 어느덧 어머니가 되어 자식의 세대까지 책임져야 할 위치가 아들의 욕과 함께 절실하게 다가온다.

영화 <엘르> 포스터

언뜻 보면 지금까지 해왔던 방식대로 무표정하게 도발해가는 미셸, 그러나 자신을 채워왔던 그 부조리한 관계들을 하나둘씩 정리해 간다. 게임 성공 축하 파티에서 절친에게 그녀 남편의 섹스 파트너가 자기였음을 고백하는 방식으로.

과거 아버지 사건 이후, 자신을 세상 속에 10살짜리 사이코패스로 던져준 이래 미셸은 법의 도움을 거부했다. 그들은 늘 자신의 진실에 귀 기울여 준 대신, 자신들의 편의대로 그녀를 요리했기 때문이다. 그런 그녀가 경찰을 불렀다. 하지만 그녀가 부른 건 법의 도움이 아니라 어쩌면 30년 만에 법에 대한 복수이자 또 다른 결자해지일지도. 진실 대신 이슈를 원한 법에게 가장 적절한 먹이를 공급하며.

아버지 때처럼 똑같이 머리가 일그러져서 죽어나간 그녀의 강간범, 그는 그녀를 사랑으로 기억하고 싶었지만 미셸은 그의 강간을 용인할 수 없다. 자신이 친구 앞에서 불륜을 고백하듯, 하지만 보다 극단적인 방식으로 그의 범죄를 처단한다. 법의 도움 없이 살아온 그녀만의 재판이요, 판결이며, 범법자의 처리이고, 그는 아이러니하게도 법의 도움을 빈 당시 그녀를 기만했던 법을 기만한 복수이다. 열 살 사이코패스로 세상에 던져서 그 누구의 도움 없이 그러나 세상 속에 번듯하게 한자리 차지하며 견뎌냈던 미셸 식의 살아가는 방법이다. 그리고 그건 어쩌면 부조리한 현대사의 극단적 상징이기도 하다.

그리고 30년 전 아버지와 그녀가 그 사건으로 내내 꽁꽁 묶여있듯이 이제 그녀는 자신에게 욕을 퍼붓는 아들을 그렇게 자신의 곁에 묶는다. 태어나는 그 순간부터 젖을 양보했던, 그래서 늘 가정을 그리워하던 아들에게 가장의 지위를 선물하며 남보다도 못한 모자 관계를 청산한다. 얼굴색이 다른 아기와 어디로 튈지 모르는 며느리, 그리고 번듯한 차와 그럴듯한 직업적 전망, 그리고 미셸의 커다란 집, 그리고 이제 피를 나눈 어머니와 아들은 그에 더해 피의 공모자로 거듭난다. 무위도식하며 어머니의 재산에 기대어 철부지였던 아들이 받아든 가장이라는 혹은 아버지라는 선물의 대가는 10살 시절 그녀가 그랬듯이 가혹하다. 10살 무렵 미셸은 아버지가 저지른 종교라는 이름의 범죄 공모자가 되었고 이제 아들은 미셸이 재단한 성범죄의 공모자가 되었다. 이제 그는 가혹한 가족사의 승계자로 죄책감을 짊어지고, 그렇게 미셸 일가의 잔혹한 역사는 계승된다.

미디어를 통해 세상을 바라봅니다.
톺아보기 http://5252-jh.tistory.com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