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근 선문대 언론광고학부 교수는 “곳간에서 인심난다”며 “종합편성채널사업(이후 종편)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안정적 투자의지가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 26일 디지털컨버전스포럼, 매일경제신문, MBN이 주최한 ‘한국 방송산업 발전전략 토론회’에서 발제자인 황 교수는 “종편 승인심사기준에서 허울 좋은 언론의 공공성과 여론의 다양성을 과도하게 요구하면 안 된다”며 “굶는 사람에게 공익을 요구하는 사회는 잘못된 것”이라고 강조했다.

▲ 지난 26일 진행된 ‘한국 방송산업 발전전략 토론회’모습 ⓒ권순택
또한 황 교수는 “여론다양성의 측면에서 안정적 경영기반을 가진 매체보다 그렇지 못한 매체들이 보도공정성이나 책임성에서 더욱 문제가 많다”며 “대자본의 독점적 운영으로 보도공정성을 위협하는 문제보다는 부실한 경영구조에서 나타나는 언론의 폐해가 더 커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대기업의 종편진출로 보도 공정성이 훼손되는 것보다 부실 경영으로 나타나는 언론의 폐해가 더 문제라는 주장이다. 이는 종합 진입에 있어 안정적 재정 지원이 가능한 대기업과 조중동 등 거대신문사에 국한해야 한다는 주장과 별반 다르지 않아 보인다.

또한 황 교수는 ‘채널연번제’의 도입을 주장하며 사실상 종편 채널을 앞자리로 배정할 가이드라인을 만들어야 한다고 발표해 종편 특혜 논란에 불을 지폈다.

황 교수는 종편 성공의 요인으로 정부 정책지원을 꼽으며 특정장르의 채널들을 한 번호대역에 집중 배치하는 ‘채널연번제’ 도입을 주장했다. 황 교수가 제시한 ‘채널연번제’란 사실상 종편채널을 현재 유료방송 채널 구성에서 시청률이 높은 5번에서 12번 사이에 배치하도록 정책화시켜야 한다는 주장이다.

▲ 황근 선문대 언론광고학부 교수 ⓒ권순택
황 교수는 “12번 이하의 낮은 번호대는 지상파방송, 종합편성, 자체 채널, 지역채널 등이 포함하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황 교수는 이어 “경쟁력 있는 채널의 확보하지 않는 한 시장에서 생존할 수 없다”며 “종편 승인 이전에 채널문제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토론회의 또 다른 발제자 윤석민 서울대 교수 역시 “50번대 이후의 종편과 보도전문채널은 미래가 없다”라고 황 교수의 주장을 거들었다.

이밖에 황 교수는 △종편채널에 대한 의무전송제도 한시적 운영, △지상파와 차등적인 규제 등을 방송통신위원회에 요구했다.

공익성 채널과 관련해 그는 “플랫폼 사업자들의 채널압박을 줄이기 위해 공공채널, 공익성 채널 제도의 재정비가 필요하다”면서 “공익채널에 대한 장르별 지정이 아닌 일정 비율 편성”으로의 정책전환을 요구했다.

종편 편성 규제에 대해서는 “상당히 느슨한 게 사실”이라며 “종편사업자가 보도를 제외한 장르에서 외국프로그램으로 가져다 쓰게 된다면 성공적으로 도입할 수 없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양질 콘텐츠 자체 제작을 요구하는 게 맞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