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직 MBC PD였던 최승호 감독이 만든 <자백>은 전형적인 사회 고발 영화이다. 지난 2013년 유우성 간첩조작사건에서 시작된 영화는 70년대 있었던 간첩조작사건으로 끝을 맺는다. 서울시 공무원 간첩조작사건 취재를 영화화했다는 대강의 정보만 알고 극장을 찾은 관객이라면 다소 놀랄 만한 전개이지만, 유우성을 간첩으로 몰았던 국정원을 다룰 때도, 수많은 재일교포들을 간첩으로 몰아세우던 당시 중앙정보부를 추적할 때도 영화의 톤은 비교적 균일하다.

보통 간첩처럼 민감한 사회 소재, 특히 국정원과 같은 국가 권력 심장부의 비리를 파헤치는 사회 고발 영화는 그 자체로 ‘꼭’ 봐야하는 영화로 간주되곤 한다. 대표적인 예로 세월호 사건을 다룬 <다이빙벨>, <나쁜 나라>가 그랬다. 평소 사회 문제에 관심이 많거나 세월호 진상 규명운동에 동참하는 이들은 자신의 SNS계정을 통해서 이들 영화를 ‘꼭’ 봐야하는 영화로 적극적으로 홍보하곤 했다. 그리고 이 영화들은 만 명만 넘어도 성공이라는 독립영화계에서 50,296명(<다이빙벨>), 21,436(<나쁜 나라>)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을 기록하며 흥행에도 성공했다.

영화 <자백> 스틸 이미지

상영관이 많지 않았다는 아쉬움도 있지만 안타깝게도 이 영화들은 평소 독립영화를 즐겨보거나 세월호 진상 규명에 공감하는 이들만 관람했던 한계에 부딪친다. <자백> 또한 상영관이 그리 많지 않기 때문에, 이 영화에 특별히 관심 있는 사람들만 일부러 <자백> 상영관을 찾아 관람하는 일종의 ‘그들만의 영화’로 간주되기도 했다.

그런데 <자백>은 개봉 2주차 기준, 100개에도 훨씬 미치지 못하는 77개 상영관(23일,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에서 무려 9만 명을 기록하는 폭발적인 흥행세를 이어간다. 개봉 첫 주 300만을 기록했다는 등의 뉴스만 접한 대다수의 네티즌들은 고작 ‘9만 명’의 숫자에 환호하는 것이 어리둥절할 수도 있겠지만, 전국 대부분의 상영관을 독점하다시피하는 대기업 계열 투자배급사에서 만든 상업영화들과 달리, <자백>처럼 적은 스크린수에서 관객을 만날 수 있는 다양성 영화가 개봉 2주차 만에 ‘9만’을 기록했다는 것은 엄청난 일이다.

영화 <자백> 공식 포스터

상영관 열세에도 불구 <자백>이 개봉 2주차 9만 명의 관객을 동원한 것은, 이 영화가 국정원의 간첩조작사건을 폭로한 고발 영화이기 때문이다. 예전 최승호 감독이 MBC PD로 재직하면서 <PD수첩>을 만들 당시에는 굳이 극장까지 가지 않아도 이런 사건의 이면을 TV를 통해 알 수 있었지만, 언론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작금의 상황에서는 그럴 수 없다. 그나마 지난 22일 고 백남기 농민 사망사건의 진실을 추적한 SBS <그것이 알고 싶다>가 지상파 시사고발 프로그램으로서 유일하게 제 역할을 해내는 프로그램으로 평가받지만, <그것이 알고 싶다>도 <자백>처럼 대놓고 국가 권력기관의 비리를 폭로하지는 못한다.

그런데 제 역할을 다하지 못하는 언론에 염증을 느낀 시민들이 사회고발 영화로서 그 기능을 충실히 하는 <자백>을 통해 그 목마름을 해소하기 위해 극장에 찾는다는 이유만으로 <자백>의 흥행에 관해 논할 수 있을까? TV 프로그램를 보는 것과 다르게, 극장에서 영화를 관람하는 데는 시간과 돈이라는 적지 않은 기회비용을 감수해야 하기 때문에 관객들의 선택은 깐깐해질 수밖에 없다. 특히 웬만한 상업 영화처럼 지천에 널려있는 멀티플렉스 상영관 아무데서나 볼 수 없는 <자백>과 같은 경우에는 상영관을 찾아가는 데 있어 더 많은 추가 비용과 시간이 들어간다.

그리고 최승호 감독이 추적한 '서울시 공무원 간첩 조작 사건'은 인터넷 대안매체 '뉴스타파' 홈페이지 혹은 SNS 계정을 통해서도 볼 수 있다. 그럼에도 9만의 관객들이 기꺼이 쉽게 볼 수 없는 영화 <자백>을 선택했고, 영화에 대한 찬사를 아끼지 않는다. 물론 관객들이 이구동성으로 <자백>에 호평을 아끼지 않는 것은, 요즘 같은 시대 이런 무서운(?) 영화를 만들어낸 최승호 감독에 대한 응원 메시지의 개념도 크다.

영화 <자백> 스틸 이미지

그러나 <자백>은 응원, 격려 차원이 아니라 다큐멘터리 영화로서 완성도와 작품성만 놓고 봐도 굉장히 잘 만든 영화이다. 영화가 다루고 있는 소재의 특성상 보기 힘든 장면과 내용들이 종종 나오긴 하지만, 여러 가지 증거를 토대로 한 인과관계 파악을 통해 감독이 관객들에게 던지고 싶은 메시지를 일관성 있게 전달한다. 설령 평소 감독과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는 관객들조차 영화적으로 설득시키는 힘은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에서는 흔하게 경험할 수 없는 체험이다.

<자백>이 최근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 중에서 수작으로 평가받는 이유는 분명 영화계 안팎으로 엄청난 논란을 불러일으킬 민감한 소재와 주제를 능수능란하게 다룬 방식에 있었다. 이는 오랜 세월 시사고발 프로그램을 제작해왔던 최승호 감독의 깊은 내공에서 비롯된 원숙함이다. 그래서 누군가는 시사고발 방송 프로그램을 보는 것 같고, 영화적인 접근방식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자백>의 완성도를 평가절하하기도 한다.

하지만 그들에게 묻고 싶다. 사회고발 혹은 그 확장선상의 액티비즘 다큐멘터리를 표방한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 중에서 <자백>만큼 차분하고 논리적인 방식으로 할 말 다하고, 문제의 핵심에 정확히 총구를 겨누는 영화가 있는가 말이다. 물론 아직 극장 개봉은 안 했지만, 박배일 감독의 <깨어난 침묵>, 김일란, 박혁상 감독의 <공동정범> 또한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중에서 예외적으로 완성도와 문제의식을 명확히 갖춘 훌륭한 영화이지만 감독의 내레이션이 곁든 <자백>과는 판이한 전개방식을 보여주기 때문에, 이들 중에서 어떤 영화가 최고인지 우열을 가릴 수 없고 가려서도 안 될 일이다.

영화 <자백> 스틸 이미지

그러나 문제의식은 투철하지만, 갈팡질팡하거나 혹은 감정에 호소하는 오류에 빠져 결국 변죽만 울리거나 아니면 도대체 무슨 말을 하려고 하는지 알 수 없고 오직 관객의 판단에 모든 것을 맡겨버리는 듯한 무책임한 영화들도 많다. 반면 관객들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도 확실하고, 장면과 장면 사이 극적인 긴장감 조성과 함께 탄식과 분노가 절로 나오게 하는 <자백>의 연출과 구성은 영화적으로도 높은 평가를 받아 마땅하다.

<자백>이 담은 내용은 영화가 아닌 다른 매체로 봐도 충격과 분노, 탄식을 자아내는 사건임에 틀림없다. 그럼에도 영화를 보는 그 순간 관객들을 적극적으로 몰입시키는 <자백>의 탁월한 스토리텔링과 매혹적인 장면 구성은 오래도록 잊혀지지 않을 강한 인상을 남긴다. 영화가 가져야할 요소들이 고루 갖춰진 이 영화 <자백>. 감히 올해 최고의 한국영화라 말하고 싶다.

연예계와 대중 미디어를 통해 세상을 보고자합니다. 너돌양의 세상전망대 http://neodol.tistory.com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