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디어스
“참으로 믿기 어렵다. 애석하고 비통한 일이다.”
“전직 대통령에 대한 예우에 어긋남이 없도록 정중하게 모시라.”

덕수궁에 갔다. 기자질 8년, 그 무엇보다 애달픈 취재를 하기 위해.

서울광장 건너편 덕수궁 대한문 앞마당에 제공된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분향소. 경찰의 지속적인 견제에도 불구, 조문행사 준비자들과 조문객들은 영정사진을 잘 모시기 위한 천막을 쳤다. 그러나 주황색의 천막은 세워진 지 10분도 채 못가 의경들에 의해 철거됐다.

▲ ⓒ미디어스
고인에 대한 예우는 그렇게 시작됐다.

마당에 모여있던 시민 조문객들의 분향은 예정시각보다 40분이나 늦어져 오후 4시40분경부터 어렵사리 진행될 수 있었다. 천막의 보호도 없이 영정사진을 쓸쓸히 받치고 있는 너비 2, 3미터 정도의 초라한 탁자, 그리고 밀짚모자를 쓰고 환하게 미소짓는 사진 속 고인의 모습.

▲ ⓒ미디어스
외국인들도 지켜보고 있었고 영국 BBC 방송기자도 마이크를 잡고 있었다. 초라한 분향소를 그들이 직접 보고 이명박 정부와 한국 경찰이 공급하는 전직 대통령에 대한 예우란 어떤 건지 몸소 느끼고 바깥 세상에 고발해주길 바랐다.

한 여성 시민이 외쳤다. “동네 이장님 분향소도 아니고 정말 너무들 하네.”

▲ ⓒ미디어스
▲ ⓒ미디어스
시민들이 쏟아지는 눈물로 고인의 넋을 기리고 있을 무렵 경찰은 대한문 앞을 직사각형 대열로 봉쇄하기 시작했다. 5시20분경이었다. 늦게 도착한 조문객들은 경찰벽 안으로 진입할 수 없었다. 그리고 일부 의경들은 안에 있던 시민들을 몰카로 채증하듯 이따금씩 셔터를 눌러댔다.

밖에 있던 시민들이 들여보내달라고 항의하자 경찰은 더욱 단호하게 막았다. 비운의 대통령이 구슬프게 떠나가는 길조차 그들은 염치없고 치졸하게 배웅하고 있었던 것이다.

“마즈막 가시는 길 조문객 분향까지 막아내고 있는 MB야. 무엇이 그렇게 무서운가”

▲ ⓒ미디어스
어느 남성이 든 피켓은, “예우에 어긋남이 없도록 정중하게 모시라”라는 청와대 지침이 허언이었거나 경찰이 이명박 대통령의 발언을 무시했음을 정확히 대변했다.

시민들은 슬픔을 나누기에 앞서 분노의 눈물부터 흘려야만 했다.

한 중년 남성이 소리쳤다. “가시는 분한테 이러지 말고 가서 딴 사람이나 잡아!” 중년 여성도 외쳤다. “대통령 문상도 못하게 하는 나라. 이게 대한민국이냐?”

노 전 대통령을 ‘대통령’으로 인정하지 않으려 했던 수구언론에 대한 원한을 표출하는 시민들도 있었다. 조문객들 표정을 사진으로 담던 나를 네댓 명이 에워싸고 기자증을 요구하기도 했다. 조중동 기자로 오인했던 것이다. 안타까운 현실을 빚어낸 언론의 책임이 막중함을 통감하며 나 스스로 느끼는 오회의 눈물을 꾸물꾸물 집어삼켜야만 했다.

▲ ⓒ미디어스
비통함의 눈물로 절 올리는 조문객들의 모습 마디마디엔 현 정권을 향한 독기가 서려있었다. 주검이 되어 이 나라의 비뚤어진 정권을 고발할 수밖에 없었던, 남은 힘이라고는 그것밖에 없었던 노 전 대통령을 보내는 시민들의 가슴에선 지난 촛불시위 때보다 더한 무언가가 솟구쳐 오르고 있음을 절감할 수 있었다.

“오늘 같은 날도 이런 식으로 (봉쇄)해야 하나.” 전경차로 가득찬 동아일보 사옥 옆을 지나던 어느 여성이 동행인에게 건넨 말이다.

▲ ⓒ미디어스
비온 뒤 화사해진 토요일 오후의 거리. 서울광장과 청계천광장 등지에 닭장차 빼곡히 들어서고 경찰들이 전투태세로 늘어선 거리. 그 사이로 신문사들이 뿌린 호외지가 나뒹구는 거리. 시민들의 발걸음이 예사롭지 않은 서울 도심의 거리. 이 거리엔 예우가 없었고 사람 사는 냄새도 없었다.

취재를 마친 상태에서 이번처럼 찜찜했던 기억은 없다. 하늘은 갰으나 이 땅 위엔 먹구름과 악(惡)만이 존재했다.

덕수궁에서 종로1가로 돌아오는 길. 조선일보가 보였고 동아일보가 보였다. 그리고 편집국에 돌아와 창문 너머의 청와대를 봤다.

아침부터 차오르는 눈물을 매번 가까스로 삼켰다. 고인의 명복을 빌고 유족의 아픔을 진실로 함께 나누는 올바른 시민들이 목 놓아 우는 그 날이 올 때까지 참아둘 것이다.

▲ ⓒ미디어스

▲ ⓒ미디어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