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영방송 KBS가 끊임없이 논란거리를 제공하며 세간의 관심에서 멀어지지 않고 있다. 이번에는 영화 ‘인천상륙작전’ 홍보 문제이다. 그간 KBS에서 벌어졌던 여러 사안들과 비교했을 때 소재적인 측면에서 많이 색다르다. 하지만 근본적인 내용에선 별반 차이가 없다는 판단이다.

KBS가 영화 ‘인천상륙작전’ 홍보에 동원되기를 거부한 두 명의 기자를 징계에 회부했다. 전에는 이정현 녹취록 파문과 관련해 ‘왜 침묵하냐’고 항의했다고 징계하더니 이번에는 홍보 거부를 이유로 징계하겠다고 한다.

이미 알려졌듯이 KBS는 영화 ‘인천상륙작전’에 30억 원을 투자했고 ‘뉴스9’를 통해 세 차례나 보도를 하는 등 홍보를 할 만큼 했다. 차고 넘친다는 보도도 이어지고 있다. 게다가 홍보 거부에 대한 기자 징계가 알려져 파문이 불거진 3일에도 ‘뉴스9’는 자막으로 영화 ‘인천상륙작전’이 북미 상영관을 잡았다는 소식을 전했다.

7월 21일 KBS <뉴스9> 방송 화면 캡쳐

KBS의 영화 ‘인천상륙작전’ 논란에서는 두 개의 그림자가 하나로 모아져 생각할 거리를 제공한다. 이는 그동안 KBS가 줄기차게 보도해 온 대북 관련 뉴스의 흐름이 영화 투자 수익과 결합한 새로운 형태로 정리된다. 보도 일관성도 챙기고 영화 수익도 챙기는, KBS 입장에선 일종의 쾌거라고 평가할 만하다.

왜 하필 ‘인천상륙작전’이었는지는 KBS가 굳이 답할 필요가 없을 것 같다. KBS뉴스는 ‘대북전문뉴스’라는 별칭이 아깝지 않을 만큼 KBS뉴스에서 대북관련 소식은 그 무엇보다 우선했다. 하지만 긴장완화, 햇볕정책 등에 부합하는 보도가 얼마나 있었는지는 의문이다. 한쪽의 입맛에만 맞추려는 보도라고 말해봐야 입만 아픈 상황이다.

‘인천상륙작전’을 띄우기 위한 KBS 경영진의 안간힘에는 이해 가능한 이유가 있을 것이다. 투자에 따른 수익의 문제다. ‘인천상륙작전’ 뉴스 홍보라는 무리수를 둔 것도 이 때문일 것이다. 물론 뉴스의 사유화, 수신료 투자 등의 문제는 간과할 수 없는 사안이다.

현재 KBS 경영진은 수신료 인상을 포기했다고 봐도 무방하다. KBS 경영진으로서는 여소야대 상황에서 수신료 인상은 물 건너 간 것으로 판단했을 것이다. 야당을 설득하러 다녀야 하는데 좀처럼 해본 일이 아니기 때문에 생경하기도 할 것이다.

그래서 방향을 돌린 게 사업이요, 수익이라는 얘기가 KBS 내부에서는 널리 퍼져있다. 조직개편, 외주제작사 설립, 영화 투자까지 셀 수 있는 것은 많다. 수신료 인상이라는 걸어야 할 정도를 포기하니 스텝이 꼬여 난감해진 상황일 게 뻔하다. 문제는 수신료 인상이라는 중심을 포기하고 버틴다고 해서 재정 문제가 쉽게 해결되기는 어려울 것 같다는 점이다.

혹자는 모든 게 정치라고 했다. 이를 KBS에 적용해보면 KBS에게는 한쪽만을 위하는 게 정치였다. 한쪽만을 위한 공영방송에서 벗어날 탈출구를, 일단은 공영방송 구조개혁에서 찾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