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학우들이 경찰에 쫓기고 있습니다.”

대학 졸업을 앞두고 언론사에 갓 입사한 수습기자들이 시위현장에서 선배에게 보고할 때 실제로 저지르는 드문 실수다. 무엇이 실수일까? ‘학우’라는 표현이다. 그는 ‘객관적 관찰자’로서 쓰지 말아야 할 주관적 표현을 썼다. 공정성이 내용과 관련된 규범이라면 객관성은 형식과 관련된 규범이다. 설령 경찰에 쫓기는 학우들이 안쓰럽더라도 꼭 ‘학생’이라고 부르는 것, 이것이 객관성 규범이다. 객관성은 한마디로 ‘티 내지 않기’다.

물론 규범이 영구불변인 것은 아니다. 다분히 문화적이고, 상대적이며, 시대를 반영해 변해가기도 한다. 더욱이 저널리즘 규범은 실무적·마케팅적 필요에서 비롯된 것들도 많다. ‘문장을 짧게 써라’가 대표적이다. 객관성 규범은 주관적 보도가 넘쳐나는 현실에 대해 언론이 ‘사실’과 ‘의견’을 구분하는 것으로 해법을 찾은 결과다. 나아가 (더 많은 신문을 팔아먹으려고) 언론 스스로 객관적 관찰자라는 위상을 획득하기 위한 기획의 산물이기도 하다.

▲ 조선일보 3월6일치 ‘뉴스 & 뷰’
신문 1면은 사람으로 치면 얼굴이다. 사람 얼굴이 직립보행의 집적된 산물이듯이 신문 1면도 자연선택(도태)의 과정을 거치며 진화해왔다. 최근 10년 동안 나타난 두드러진 변화로는 기사 꼭지수가 줄어든 것을 꼽을 수 있다. 그러면서 단신기사가 거의 사라졌다. 대신 분석이나 해설기사가 1면으로 자주 진출하기 시작했다. 매체환경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신문이 정보보다는 분석을 중시하는 쪽으로 이미지를 잡아가고 있는 것이다.

며칠 전 <조선일보> 1면에 매우 급격한 변화가 나타났다. 지난 6일부터 매일 실리고 있는 ‘뉴스 & 뷰’가 그것이다. 제목은 ‘정보와 관점의 결합’을 암시한다. 조선일보는 “시니어 기자들이 쓰는 심층 분석과 해설”이라고 설명한다. 분석과 해설은 모든 신문들의 화두이니, 그것만으로 급격하다고 할 수는 없다. 문제는 실제 내용이다. “사회적 논의기구는 여야 정치권의 ‘무능’과 ‘비겁’이 어우러져 나온 산물이다”(6일치 ‘한나라 171석 버거웠나…’)를 보라.

이 문장은 기존 규범대로라면 “… 산물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같은 ‘전언’ 방식으로 가야 한다. 이뿐만이 아니다. “… 그래서 여당은 부담스러운 논전(論戰)을 사회적 논의기구에 맡기고 자신들은 그 뒤에 숨어 지켜보겠다는 결정을 내린 것이다.” 이 문장은 아예 ‘직접 인용’ 방식을 써야 했다. 물론 기존 규범에 비춰 그렇고, 규범은 변할 수 있다. 진화론적 관점에서 ‘자연(독자) 선택’을 받느냐 못 받느냐는 별개의 문제지만.

다만 나는 이 사설 같은 기사에서 인간의 언어적 혼란을 다룬 구약 창세기 바벨탑 이야기가 ‘주관적’으로 연상될 뿐이다. 언론이 소통의 장애물이 되는 건 무서운 재앙이다.

※ 이 글은 <한국방송대학보> 1532호 ‘미디어 바로보기’에도 실렸습니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