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장에서 보지 못하는 건 아닌지 불안했던 <필로미나의 기적>이 용케 개봉했습니다. 이 영화는 아일랜드에서 일어났던 실화를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영국으로부터의 독립 직후에 경제사정이 좋지 않았던 아일랜드는 미혼모의 자녀를 해외로 수출했다고 합니다. <필로미나의 기적>의 주인공인 필로미나는 미혼모라는 이유로 아버지에 의해 강제로 한 수녀원에 보내졌습니다. 이 수녀원은 미혼모들을 가둔 채로 온갖 노역을 시키고 아이들은 하루에 단 한 시간만 보게 허락했습니다. 필로미나도 앤소니를 낳아 길렀으나 머지않아 입양을 보내게 됐습니다. 그로부터 50년 동안 비밀로 간직하고 있다가 아들을 찾아 나섭니다.

​필로미나를 도와서 앤소니의 행방을 쫓는 이는 BBC 기자 출신이자 정부관료로 지냈던 마틴 식스미스입니다. 그 또한 실존인물로서 <필로미나의 기적>의 원작인 책을 썼으며 불의를 참지 못하는 성격의 소유자로 묘사됩니다. 영화에서는 두 사람이 동행하면서 앤소니를 찾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았던 모양입니다. 각색 단계에서 붙여진 것 같은데, 이것이 <필로미나의 기적>을 더 매력적인 영화로 탄생시켰습니다.

필로미나는 당연히 픽션이라고 여겨질 만큼 순진무구하고 노홍철을 능가하는 초긍정주의의 할머니입니다. ​수녀원에서 그 고초를 겪었으며 아들까지 잃었는데도 수녀들을 "악마"라고 지칭하는 딸을 나무랍니다. 뿐만 아니라 친절하게 아들을 찾도록 협조했으며 과거에도 착한 수녀가 있었다는 걸 주지시키는 것도 잊지 않습니다. 게다가 여전히 순정만화 같은 소설을 읽으면서 기뻐하고, 섹스에 대해서는 가감 없이 자신의 황홀했던 감정을 표현하는 것도 머뭇거리지 않는 순수하고 맑은 심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필로미나의 기적>이라는 제목은 필로미나 자체가 기적이라는 걸 의미한다고 봐도 무방할 지경입니다.

반면 마틴은 전형적인 엘리트 코스를 밟은 ​이성적이고 냉소적인 인물입니다. 특히 종교에 대해서는 회의적이라서 "Fxxking Catholic"이라는 노골적인 저주도 마다하지 않습니다. 필로미나가 섹스에 매료됐던 자신을 표현하면서도 그걸 즐겼던 자신에게 죄가 있다고 말했을 때, 마틴은 "신은 왜 인간에게 성욕을 주고 섹스를 불경한 것으로 취급하지? 참지 못하고 괴로워하는 걸 보고 즐기나?"라고 불만을 제기하기도 합니다. 이렇게 서로 달라 보이는 두 사람의 배합은 <필로미나의 기적>에게 있어 신의 한 수입니다.

<필로미나의 기적>은 잃어버린 아들을 찾는 엄마의 드라마틱한 영화라곤 할 수 없습니다. 반전에 반전을 거듭하면서 그보다는 사실 조금 어두운 분위기를 가지는 데다가 시종일관 묵직한 질문을 품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필로미나의 기적>은 관람하기에 꽤 즐거운 편입니다. 그 원천이 바로 필로미나와 마틴 커플입니다. 두 사람은 서로 계속해서 조금은 충돌하는 것 같으면서도, 그런 대립관계를 전제로 한 재치 있는 대사를 주고받으면서 영화를 유머러스하게 이끌고 갑니다. 스티븐 프리어스의 연출과 더불어 스티브 쿠건이 참여한 각색이 참 잘됐다고 느낀 것도 두 캐릭터의 조화에 있었습니다.

언뜻 보면 <필로미나의 기적>이 반종교적인 영화로 읽힐 수도 있습니다. 마틴은 카톨릭에게 욕설을 내뱉고, 필로미나의 아이를 입양시킨 곳이 다름 아닌 수녀원이며, 미혼모라는 이유로 숱한 여성들을 인간 이하의 취급을 했던 것 등에서 종교에 반감을 가질 여지가 다분한 건 사실입니다. 하지만 스티븐 프리어스의 신중하고 중립적인 연출에다가 필로미나와 마틴의 관계로 인해 <필로미나의 기적>은 오히려 친종교에 더 가깝습니다. 대신 무엇이 진짜 종교적인 것인지에 대해서는 진지하게 생각하길 권합니다.

스티븐 프리어스의 연출이 정말 인상적인 이 영화는, <노아>의 리뷰에서 말했던 것처럼 오만과 독선에 사로잡혀 인간성을 배격하는 종교라면 과연 어떤 가치를 가지는지 질문합니다. 이와 더불어 마틴을 필두로 한 무신론자 내지는 냉소적인 사람에게는 종교의 진의를 제대로 가늠할 수 있도록 배려하고 있습니다. 이 두 부류를 사실상 동일선상에 놓은 스티븐 프리어스는 줄곧 편향적인 관점으로 연출하지 않고 있습니다. 적절한 비유일지 모르겠지만 <필로미나의 기적>을 보는 건 현명과 지혜의 열매가 든 부드러운 쉬폰 케이크를 먹는 것 같은 기분입니다. 허세 부리고 싶은 건 아니고, 그만큼 연출이 유연하고 온화합니다.

두 부류의 인물 사이에 위치한 필로미나는 이름 그대로 성녀에 다름 아닙니다. 다소 허무맹랑하고 비현실적으로 보여도 전혀 이상할 게 없을 인물인데, 주디 덴치의 엄청난 연기력이 그런 부정적 시각을 충분히 상쇄하고 있습니다. <노아>와 마찬가지로 <필로미나의 기적>과 같은 영화라면 마틴 못지않게 종교에 대해 지독한 편견을 가진 저도 감히 불만을 토하진 못하겠습니다. 계속 이렇게 얘기한다고 해서 무슨 종교영화로 받아들이지는 않으시길 바랍니다. <필로미나의 기적>은 종교가 아니라 인간에 대한 영화고, 자신의 실수를 반성하면서 속죄하고 사소한 것에 감사하는 삶을 살아온 한 숭고한 여성에 대한 영화입니다.

★★★★

덧) 개인적으로 필로미나의 행동에 동의하진 않습니다. 그래도 가장 이상적인 결말인 것 같긴 합니다.

영화가 삶의 전부이며 운이 좋아 유럽여행기 두 권을 출판했다. 하지만 작가라는 호칭은 질색이다. 그보다는 좋아하고 관심 있는 모든 분야에 대해 주절거리는 수다쟁이가 더 잘 어울린다.
*블로그 : http://blog.naver.com/nofeetbird/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