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TN은 개국 당시 한참 동안 연합뉴스 사옥에서 세를 살았다. 회사가 존폐를 걱정해야 할 만큼 위험한 상황 속에서, 구성원들이 지혜를 모으고 백방을 뛰어다니며 YTN 타워에 들어오게 됐다. 몇 년에 걸쳐서 판매권을 확보했고 그 뒤에 온전하게 매입을 했다. '언론사가 부동산을 가져야 하냐, 마냐' 논란 이전에, YTN타워는 그 자체로 YTN 역사의 한 부분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를 매각할 때는 정말 신중을 기해야 한다. 현 경영진이 이에 대한 고민이 있었는지 모르겠다" (노종면 YTN 해직기자)

'서울 남대문 YTN타워 매각 추진'에 대한 노종면 YTN 해직기자의 일갈이다. YTN은 지난 9일 사내 공지를 통해 "부채를 안고 가기보다 현 시점에서 사옥을 매각해 무차입 경영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YTN은 매각 이유로 늘어난 부채로 인한 경영 악화를 꼽았지만 내부 구성원들의 반응은 차갑다. YTN의 결정은 YTN의 역사성에 대한 고민이 부족한 것이라는 평가와 함께 경영 악화를 단기적으로 막기 위한 '미봉책'이라는 비판도 낳고 있다.

▲ 서울 남대문로 YTN타워 ⓒ미디어스

YTN 성장과 함께 했던 YTN 타워

YTN은 1995년 3월 개국했다. 2000년 4월에는 남산 서울타워를 인수하며 그 규모를 확대했고 2004년 3월 서울 남대문 YTN 타워 사옥으로 이전했다. 이전하기 전까지는 연합뉴스 사옥에 세를 들어 있었다. YTN 타워는 YTN이 보도전문채널로 성장하는데 기반이 된 자산이자 YTN역사라고 평할 수 있다. YTN 타워가 '상징'하는 의미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다는 것에 구성원들은 내심 아쉬움을 표했다.

YTN 타워로 사옥 이전을 할 당시 노조위원장이었던 우장균 YTN 해직기자는 "YTN타워는 IMF가 끝나고 나서 당시 대우가 지었던 오피스텔이었다. 방송용 건물은 아니었다"며 "사측 간부들은 (사옥 이전에 대해) 주저했지만, 사원들은 연합뉴스에 세들어 사는 것이 온당치 않다는 판단을 했었다"고 회상했다.

우장균 기자는 "사옥 이전 결정을 하는데 있어서 조합원과 노조가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고 할 수 있다. 테이프 커팅에 참여했던 2003년이 기억난다"며 "이곳으로 이전해 온 이후 계속적으로 흑자를 냈다. YTN이 초창기 어려움을 극복하고 넘버원 보도채널로서 흑자 구조를 만든 시기가 이 남대문 사옥에서였다"고 말했다.

노종면 YTN 해직기자도 "YTN은 우리나라의 최초 보도채널이라는 상징이 있다. 그것이 자리 잡아가는 과정 속에서 YTN타워의 역사가 켜켜이 쌓여 왔다"며 "YTN타워는 YTN 역사의 한 부분이며 이를 매각할 때는 정말 신중을 기해야 한다. 현 경영진이 이에 대한 고민이 있었는지는 모르겠다"고 말했다.

불어나는 부채, 누가 책임지나

YTN 사옥 매각과 관련해 사측은 1천억 원에 달하는 부채와 내년 3월 이주하게 될 상암동 사옥으로 인해 늘어날 비용 등을 주 요인으로 꼽았다.

(단위 : 백만 원)
기간 2013/1/1~6/30 2012 2011 2010
자본총계 174,656 176,204 173,531 163,602
유동부채 68,930 88,238 89,695 47,984
비유동부채 113,051 81,353 76,313 105,701
부채총계 181,981 169,592 166,008 153,685
▲ 14일 공시된 YTN 반기 보고서에 따르면, 6월 말 YTN의 부채총계는 1819억 8천백만 원이다. 꾸준히 부채총계가 늘고 있는 모습이다. (전자공시시스템)

실제 YTN의 부채는 늘고 있다. 14일에 공시된 YTN 반기 보고서에 따르면, 6월 말 YTN의 부채총계는 1819억 8천 백만 원이다. 자본총계는 1746억 5천 6백만 원이다. 부채총계가 2012년에 비해 123억 8천 9백만 원 늘었다. 부채비율은 104.1%로 2012년(96.2%)에 비해 7.9%P 상승했다.

늘어난 부채 문제에 대해 구성원들은 위기감을 드러내고 있다. 사전적으로 대비하지 못했던 책임은 회피하고 발생한 일에 대해 사후적, 단기적 해결책으로 사옥 매각 문제를 내놓았다는 것이다.

노 기자는 "만약 사옥을 팔아야만 한다면, 그만큼의 부채와 빚을 만든 사장과 경영진들이 책임을 져야 하는 게 우선 아닌가"라며 "적자 상태를 모면하기 위한 '꼼수'라는 생각이 든다. (사옥 이전 등으로 인한) 비용을 감당하는 게 나은지, 아니면 매각을 하는 것인지, 매각을 한다면 사옥을 우선적으로 매각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이 없다. 부채를 만든 사람에 대한 책임을 묻지 않으면서 무차입경영을 위해 매각을 논의한다는 것은 매우 지엽적 판단"이라고 말했다.

임장혁 언론노조 YTN지부 공추위원장도 "부채가 꾸준히 늘었다. 어떤 이유에서 부채가 는 것인지 따져 물을 것"이라며 "오늘(14일) 반기 보고서를 살펴보면 YTN이 적자의 상당부분을 임대수입으로 메우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옥 매각을 하게 되면 임대수입마저 사라지는 타격을 입게 될까 우려를 갖고 있다"고 말했다.

YTN 한 기자도 "내부 구성원들은 '회사 사정이 매우 급하구나'라는 위기감이 고조돼 있다"며 "얼마나 급했으면 임대수익을 포기하고 매각을 결정할까 싶다"고 꼬집었다.

이 기자는 "사측은 매번 경영상의 큰 문제가 없다고 말해왔다"며 "경영진의 판단에 따라 매각을 결정할 수도 있지만 사원들과 소통이 되는 상태가 전혀 아니다보니 사측의 결정이 불안을 키우는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내부 문제부터 해결해야"

현재 매각의 방식은 정해지지 않았다. 김승재 YTN 홍보팀장은 14일 <미디어스>와의 전화 통화에서 "매각은 논의 단계일 뿐 구체적인 방식은 정해지지 않았다. 방침만 정해진 것"이라며 "추후 매각 방식과 관련한 전반적인 논의가 진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매각 논의 이전에 내부에서 불거진 문제들을 해결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첨예하게 대립돼 있는 노사 갈등 해소와 보도의 공정성이 전제되지 않는 한 경영의 문제는 지속될 것이라는 뜻이다.

노종면 YTN 해직기자는 "배석규 사장이 사내 권력을 쥔 이후, YTN에는 웨더채널이 신설되는 변화가 있었다"며 "그러나 '웨더채널'로 무엇이 달라졌는지 알 수 없다. 시스템을 마음대로 바꾸고 마음에 들지 않는 사람을 한직으로 보내고 징계를 내렸다. '돌발영상'과 같은 YTN의 핵심 프로그램을 망가뜨리면서 외형 확장을 시도하지만 이는 주객이 전도된 것"이라고 비판했다.

우장균 YTN 해직기자는 "매각의 배경이 된 경영 악화에 대한 이유로, 배석규 사장은 외부 환경의 변화를 꼽아 왔다"면서 "그러나 이는 대표이사로서 할 말은 아닌 것 같다. 노와 사가 한마음 한뜻으로 공정방송을 해야 함에도, '민간인 사찰'을 통해 사장이 된 배석규 사장과 그를 따르는 간부들이 정권의 눈치를 보고 있기 때문에 국민의 신뢰를 잃게 된 것이다. 지난 5년의 모습이 쌓이고 쌓여 경영에 반영된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