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불교조계종이 범불교계 차원의 ‘조선일보 구독 거부운동’을 전개하고 나섰다.

조선일보는 지난 9월21일자 1면 <동국대 이사장이 회주였던 월정사에 신씨 교수임용 때부터 국고 47억원 지원>과 같은 날 5면 <월정사 3년간 국고지원액, 전국 사찰중 최다>라는 기사에서 월정사 국고지원을 신정아씨 동국대 교수 임용과 연관 지어 의혹을 제기, 불교계의 거센 반발을 샀다. 조선일보는 월정사 보도와 관련해 지난 2일 ‘정정성 기사’를 내보내기도 했다.

조선일보 구독거부 운동은 사실 ‘유행이 좀 지난 운동 방식’이라는 게 대체적인 평가다. 지난 2000년을 전후해 언론시민단체를 중심으로 ‘안티조선’ 움직임이 광범위하게 전개된 적이 있지만 온전히 성공을 거두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정확한 평가와 당시의 ‘객관적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볼 필요는 있겠지만 ‘조선일보 구독거부’가 실질적으로 잘 이뤄지지 않았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었다.

이런 ‘유행 지난 운동방식’을 조계종이 몇 년이 지난 2007년, 다시 전개하고 있다. 그것도 범불교계 차원에서. 일회성 엄포용이 아니라는 분위기도 일정하게 감지된다. 조계종이 각 종단에 내려 보낸 지침 자체가 상당히 구체적이기 때문이다.

△사찰 입구에 구독 거부 현수막 내걸기 △사찰 방문객을 대상으로 한 홍보와 구독 거부 서명운동 전개 △사찰 소유 유관기관인 복지원과 어린이집 등에서도 구독 거부 △구독 거부 후 배달된 조선일보 집단 반송 △구독 거부 결과 총무원 보고 등이 그것이다.

물론 이 같은 ‘지침’만으로 과연 ‘거대 신문’ 조선일보와의 일전에서 성공할 수 있겠느냐는 회의적인 시각도 있다. 그리고 결국 조계종이 조선일보와 일정선에서 타협할 것이라는 분석도 한편에선 제기된다. 하지만 그건 ‘해석과 분석’의 영역이고 현재 조계종의 분위기는 강경하다.

지난 2000년 때와 한 가지 차이점이 있다면 일부를 제외하곤 언론시민단체의 움직임이 거의 포착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것이다. 특히 조계종의 조선일보 구독거부가 ‘변양균-신정아씨 파문’ 과정에서 나온 점이 강하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불교계가 자성할 부분이 있다면 자성해야 하지만 언론의 잘못된 보도에 대해서 시정을 요구하고 서명운동을 하는 것은 적어도 한국 사회에서 적지 않은 의미가 있다.

조계종의 ‘조선일보 구독거부 서명운동’을 관심 있게 지켜보는 이유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