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필립 정수장학회 이사장과 이진숙 MBC 기획홍보본부장의 '자산 매각 모의'가 정치권의 '태풍의 눈'으로 떠오른 가운데, 500여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정수장학회 사회환원 공동대책위원회는 18일 오후 2시 서울시 중구 프란치스코 교육회관에서 '장물 정수장학회 자산 매각 모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에 대한 긴급 토론회를 열었다.

▲ 정수장학회 해체와 독립언론 부산일보 쟁취를 위한 공동대책위원회가 개최한 긴급 토론회 '장물 정수장학회 자산 매각 모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이 18일 오후 2시 서울시 중구 프란치스코교육회관에서 열렸다.ⓒ미디어스

이강택 전국언론노조 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정수장학회는 일반 장물이 아니라, 국가 권력이 개입된 '특수 장물'"이라며 "정수장학회는 장학회로 위장한 '언론장악지주회사'와 다르지 않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이 위원장은 "4.19혁명의 기폭제가 된 故 김주열 열사의 사진을 신문에 실었던 것이 부산일보였고, 3.15부정선거 항의 시위를 현장 중계한 것이 부산 MBC 였다"면서 "故 김지태씨가 가지고 있던 두 언론사에 박정희가 민주주의의 열망을 막기 위해 눈독을 들였고, 결국 부일장학회를 강탈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위원장은 "따라서 이 정수장학회 문제를 단순히 재산 환원 측면에서 바라보기보다 언론의 독립성과 편집성을 어떻게 담보할 수 있는가를 고민하는 것이 본질적인 문제 의식일 것"이라며 "이를 위해서는 언론사의 지배, 소유구조의 개혁이 뒷받침돼야 하며, 사장 선임과 관련해서는 인사 청문회도 생각해봐야 한다. 뿐만 아니라 '사장추천제' '편집국장 선출제' 등을 도입해 사내에서도 민주성을 대폭적으로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토론회의 패널이었던 정영하 언론노조 MBC본부장은 김재철 MBC 사장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와 함께 제도 개선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정 본부장은 "이번 대화록 공개로 인해 김재철 사장은 '사기 브로커로 전락'했다"면서 "김재철 사장이 MBC 주식 매각을 통해 노리는 것은 70%에 달하는 방문진의 주식을 궁극적으로 58%로 낮춰, 현재 방문진이 가진 사장 해임 권한을 무력화시키려는 것"이라고 밝혔다. 정 본부장은 또 "물론 완벽한 것은 아니지만 방문진 체제는 공정성을 담보하는 데 일정 부분 역할을 해왔다"며 "하지만 현재의 여당 추천 인사 6명, 야당 추천 인사 3명의 구조는 개선돼야 할 지점이 있다"고 강조했다.

발제를 맡은 최진봉 성공회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최필립 이사장과 이진숙 MBC 본부장의 공모는 대선과 관련해 정치적인 효과의 극대화를 노린 이벤트성 기자회견을 계획한 것으로, 특정후보에 대한 간접 선거지원에 다름 아니다"고 밝혔다.

최 교수는 "MBC 경영진은 MBC 노조를 무력화 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민영화 추진에 매달리고 있다"면서 "MBC 민영화시도는 결국 강력한 통제력을 지닌 자본에 종속되겠다는 것이기에 MBC의 민영화 추진은 방송의 공공성과 공영성 확보를 위해 철회 돼야 한다"고 비판했다.

현재 정치권과 시민사회가 요구하고 있는 '정수장학회의 사회 환원'에 관한 구체적인 논의도 이어졌다. 패널로 참여한 박래부 새언론포럼 회장은 "공적인 논의체제가 필요하지만 그 이전에 고 김지태씨 유족들에게 (정수장학회를) 돌려주는 게 중요하다"며 "먼저 유족에게 돌려주고 다음 단계로 장학회가 가진 공적 중요성을 고려해 시민사회와 언론계가 참여해야 한다"고 밝혔다.

반면 플로어에 있던 박석운 민주언론시민연합 공동대표는 "비영리 공익 법인으로 되돌리는 게 핵심이며 이 과정에 유족, 부산지역사회, 언론계, 교육계 등이 참여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이강택 언론노조 위원장은 "정수장학회 사회 환원 논의가 시급하다지만 그보다 최필립 이사장의 퇴진 문제를 강하게 압박하는 게 우선"이라며 "(사회환원을 위해서는) 노동자의 경영권 참여와 같은 지배구조개선의 문제와 노동조합의 역할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 등을 더욱 고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