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윤수현 기자] 국민의힘 전·현직 원내대표가 ‘공영방송이 문재인 정부의 나팔수 역할을 했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보수 인사들로 구성된 ‘공영언론미래비전100년위원회’는 공영언론과 전국언론노동조합을 비난하는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는 윤석열 당선자가 취임 후 공영방송을 장악할 수 있다는 우려로 이어지고 있다.

민주언론시민연합이 19일 윤석열 정부의 언론·미디어정책 방향을 짚어보고 시민사회단체·언론단체의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새 정부에 바란다-언론 공공성과 시민 미디어기본권 강화를 위하여> 토론회를 개최했다.

민주언론시민연합이 19일 개최한 <새 정부에 바란다-언론 공공성과 시민 미디어기본권 강화를 위하여> 토론회 (사진=민주언론시민연합 유튜브 화면 갈무리)

토론자인 박영흠 협성대 교수는 시민들이 공영방송 사유화 저지에 동참할 것인지 우려스럽다고 밝혔다. 박 교수는 “새 정부가 퇴행적 미디어 정책을 관철시키려고 할 때, 저항하는 시민사회 동력이 과거보다 떨어질 것”이라면서 “전통적인 언론에 대한 효능감이 떨어졌고 기자 집단에 대한 혐오가 커지면서 환영하는 분위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고 전했다. 박 교수는 “퇴행적 시도에 저항하는 동력을 어떻게 조직할 것인지 고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동찬 언론개혁시민연대 정책위원장은 “급조된 시민단체에 대한 걱정이 있는데, 이런 시도에 대해 반대하는 시민들이 더 많을 것”이라며 “이런 의견을 모아나가는 데 힘을 써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김 위원장은 “공영방송 구성원들도 정부가 자신들을 장악할 것이라는 우려를 갖고 무조건 대립하기보다, 왜 시민들에게 만족과 공공성을 경험시키지 못했는지 논의를 아래로부터 시작해야 한다”며 “정치적 대결 구도로 환원시켜 ‘장악’, ‘탄압’ 이야기를 하면 동력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발제자인 채영길 한국외대 교수(민언련 공동대표)는 “시민을 비롯해 여타 시민단체들이 언론·미디어 공공성 회복 관련 문제를 제기하는 데 소극적이거나 관심을 보여주지 않는다”며 “이는 언론·미디어 이슈가 단순히 어렵거나 그들의 삶과 관련이 없어서가 아니다. 근본적인 균열이 발생하고 있는 불안한 징후”라고 설명했다. 채 교수는 “시민들이 언론과 미디어 정책에 보여주고 있는 (무관심한) 태도의 원인은 무엇인지 비판적으로 점검해야 한다”고 밝혔다.

윤창현 전국언론노동조합 위원장은 “진영논리에 의존한 언론·미디어 개혁은 진전을 이뤄내기 어렵다”며 “시민의 미디어 기본권을 강화하자는 주장은 동의하지만, 시민이 누구인지 정의하는 건 어려운 문제다. 이 부분을 먼저 정리해야 운동의 지향점을 정할 수 있다”고 했다.

김성순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민변) 미디어언론위원장은 “핵심은 시민 공감대 형성”이라면서 “언론·미디어 제도개선에 대한 사회적 협의를 만들면 정부가 좋은 정책을 만드는 것에 압박을 가할 수 있다”고 했다. 김 위원장은 언론사가 내부 변화를 모색해야 할 때라고 지적했다. 김 위원장은 “일반 시민이 언론에 느끼는 문제는 정파성이 아니라 상업성”이라면서 “언론은 경제적 이유 때문에 선정적 기사를 쓰고 사회적 갈등을 확대재생산하고 있다. 변화가 필요하다”고 했다.

심영섭 경희사이버대 겸임교수는 “언론정책을 시민에게 설명하는 건 어렵고, 시민들 역시 언론정책을 ‘그들만의 이야기’로 치부하는 특징이 있다”며 “결국 연대가 필요하고, 언론·미디어 정책을 같이 만들어가는 과정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심 이사는 “네거티브가 아니라 긍정적인 방향으로 정책 방향을 생산해야 한다”며 “미디어혁신위원회가 어떻게 법과 제도를 개혁해야 하는지 방향이 나와야 한다”고 말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