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윤수현 기자] 사이버폭력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됐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청소년의 사이버폭력 경험률은 성인의 2배에 달했으며 사이버폭력을 경험한 청소년·성인 10명 중 1명은 ‘자해·자살 충동’을 느꼈다. 디지털 성범죄 목격률은 12.1%였다. 응답자 대다수는 디지털성범죄에 대한 중벌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방송통신위원회와 지능정보사회진흥원이 청소년·성인 1만 6500명 대상으로 실시한 '2021 사이버폭력 실태조사' 결과 청소년과 성인의 사이버폭력 경험률은 각각 29.2%, 15.7%였다. 청소년의 가해 경험률은 5.8%, 피해 경험률은 15.1%다. 가해와 피해를 동시에 경험했다는 응답은 8.3%다. 성인의 경우 가해 경험률 2.9%, 피해 경험률 8.7%, 가해·피해 경험률 4.2%다. 방통위는 “청소년과 성인 모두 가해 경험자 대부분이 피해를 동시에 경험했다”고 설명했다.

(사진=픽사베이)

사이버폭력 경로는 문자·SNS 메시지, SNS, 온라인 게임, 커뮤니티·동호회, 이메일, 개인 홈페이지 순으로 조사됐다. 청소년 사이버폭력 유형으로는 언어폭력·명예훼손 등이 거론됐다. 반면 성인은 명예훼손·스토킹·사이버 성폭력 등 다양한 유형의 사이버폭력을 경험했다.

성인 사이버폭력 피해자는 우울·불안 및 스트레스(38.8%), 복수심(37.6%), 인간관계의 어려움(34.5%), 불면·두통·복통(33.9%) 등을 경험했다. ‘자해·자살 충동을 느낀다’는 청소년·성인 피해자는 각각 12.5%, 11.0%다.

디지털 성범죄를 목격한 청소년은 9.3%, 성인은 14.9%다. ‘중벌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디지털성범죄 유형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청소년 81.2%, 성인 74.5%가 ‘불법 영상물 유포’를 꼽았다. ‘지인 능욕’ 중벌 필요성은 청소년 72.7%·성인 67.9%, ‘몰카’ 중벌 필요성은 청소년 68.6%·성인 64.8%다. ‘디지털 성착취’ 중벌 필요성은 청소년 56.6%, 성인 59.5%다.

성별·장애·종교 등이 다르다는 이유로 차별적 표현을 하는 ‘디지털 혐오’ 현상이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청소년의 20.8%, 성인의 12.0%가 인터넷 공간에서 ‘디지털 혐오 표현’ 현상을 경험했다고 밝혔다. 성인은 정치·종교·성소수자에 대한 디지털 혐오 표현을 주로 경험했지만, 청소년은 신체·외모·장애·국적·인종·지역 등 다양한 혐오표현을 접했다.

디지털혐오 관련 실태조사 결과 (사진=방송통신위원회)

청소년 사이버폭력 가해자에게 가해 이유를 물은 결과 복수심 36.8%, 장난 26.2%, 상대가 싫어서 24.5%, 친구들과 어울리기 위해 17.1%, 의견이 달라서 15.6% 등으로 조사됐다. 성인 사이버폭력 가해자의 동기는 상대방이 싫어서 32.7%, 의견이 달라서 26.9%, 복수심 25.1% 등이다.

청소년 사이버폭력 가해 대상의 40.4%는 ‘친한 친구’, 39.5%는 ‘전혀 모르는 사람’이다. 성인 가해 대상은 친한 친구 25.8%, 선후배 14.1%, 모르는 사람 13.5%, 연예인·운동선수 13.2%, 동료 12.2%, 얼굴만 아는 사람 10.9%다.

사이버폭력 예방 교육을 받은 청소년은 89.5%에 달하지만 성인은 9.6%에 그쳤다. 사이버폭력의 법적 처벌 가능성을 인지한 청소년은 33.7%, 성인은 21.1%다. 방통위는 “사이버폭력 예방 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됐다”며 “실태조사 결과를 반영해 사이버폭력에 대한 인식 제고를 위한 대상별 맞춤형 디지털윤리 교육을 확대 추진하겠다. 특히 성인 대상의 사이버폭력 예방 교육 콘텐츠를 다양화하는 등 홍보를 확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