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윤수현 기자] 국회 입법조사처가 법적으로 규정된 대선후보 TV토론회 중계 매체를 다양화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SNS·인터넷을 통한 대선후보 토론회를 실시해 시청자 참여도를 높여야 한다는 설명이다.

TV토론은 유권자가 지지 후보를 고를 때 주요한 정보 제공 통로로 꼽힌다. 특히 이번 대선은 코로나19 때문에 대면 선거운동이 어려워져 TV토론의 중요도가 높아졌다. 한국갤럽이 11일 발표한 ‘20대 대선 사후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46%는 투표 결정 과정에서 TV토론을 참고했다고 밝혔다. 공직선거법에 따르면 공영방송과 지상파 방송이 토론회를 중계할 수 있다.

2월 3일 오후 서울역 대합실에서 시민들이 대선후보 TV 토론을 시청하고 있다.(연합뉴스)

국회 입법조사처는 23일 발표한 <대선후보 TV토론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유튜브·인터넷을 통한 토론회 실시를 고려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입법조사처는 “매체 다양화에 따라 TV 외 매체 활용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며 “최근 선거에서 SNS나 인터넷을 통해 토론을 시청하는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이 경우 시청자들의 실시간 참여가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고 설명했다. 입법조사처는 “향후 네트워크 특성을 활용한 대선 토론 개선 방안도 논의해볼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이재명·윤석열·안철수·심상정·김동연 후보는 유튜브 채널 ‘삼프로TV’에 출연해 화제에 오른 바 있다. 후보들은 ‘삼프로TV’와 1시간 30분 동안 질의응답을 실시했다. 후보별 영상 조회 수는 이재명 711만 회, 윤석열 371만 회, 안철수 176만 회, 심상정 54만 회, 김동연 32만 회 순이다.

또한 입법조사처는 “TV토론에서 후보자 간 형평성이나 시간 배분 등 공정성이 강조되다 보니 형식이나 운영 방식이 기계적 중립성에 치우쳐 토론이 활성화되지 못한다는 지적도 있다”며 토론회 운영방식 개선에 나설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입법조사처는 “특정 후보에게 질문이 집중되거나 심도있는 정책 토론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며 “사회자 역할을 강화함으로써 토론의 집중도와 흥미를 높이고 후보의 자질과 정책검증을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미국과 프랑스는 TV토론에 대한 법적 규정을 두고 있지 않다. 미국의 대선후보 토론은 자유로운 방식으로 실시된다. 2020년의 경우 1차 토론회는 기자회견 방식으로 실시됐고, 2차 토론회는 주민 간담회 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이었으나 트럼프 전 대통령의 코로나19 확진으로 취소됐다. 입법조사처는 “(미국이 다양한 방식의 TV토론회를 실시하는 이유는) 시청자로 하여금 후보들의 다양한 태도와 의견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프랑스의 경우 방송사와 후보들이 협의해 TV토론 횟수, 시기, 참석자 등을 결정한다. 프랑스 시청각최고위원회가 토론 시간이 균등하게 배분됐는지 사후관리한다. 프랑스 유권자들은 TV토론을 중요시하고 있다. 2017년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43%는 “TV토론이 후보 선택에 영향을 미쳤다”고 밝혔다. 2017년 프랑스 대선 TV토론 시청률은 48%에 달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