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윤수현 기자] 조선일보가 코로나19 관련 사설에서 중국 혐오 표현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고 부정적 프레임을 강화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창현 국민대 언론정보학과 교수와 고동완 석사과정은 이달 한국언론정보학보에 게재한 <코로나19 발생 이후 중국 관련 신문 사설의 뉴스프레임 연구> 논문에서 조선일보와 한겨레의 코로나19-중국 관련 사설을 비교·분석했다.

조선일보, 한겨레 CI

조선일보·한겨레가 2020년 1월부터 지난해 5월까지 작성한 코로나19 사설 877건 중 중국과 관련된 사설은 171건(19%)이었다. 조선일보는 중국 관련 사설을 124건, 한겨레는 47건 작성했다. 조선일보의 중국 관련 사설이 한겨레보다 많은 것에 대해 연구팀은 “조선일보가 코로나19 확산 문제를 바라보는데 중국과 연관지어 해석하려 했음을 증명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조선일보 사설 중 중국인 입국금지를 요구하는 사설은 43건, 중국에 대한 불신을 주제로 하는 사설은 22건이다. 한국정부 책임론을 제기하는 사설은 총 58건이다. 구체적으로 정부 비판 사설 23건, 경제적 대응 비판 사설 19건, 사회적 대응 비판 사설 13건, 국제적 대응 비판 사설 3건 등이다.

연구팀은 “중국 불신은 조선일보에서 집중된 프레임”이라면서 “중국의 패권적 태도를 경계하면서 한국 정부가 미국과의 동맹 관계보다 중국과 외교관계에 신경을 쓰면 안 된다는 입장이다. 중국 비판론은 우한이라는 중국 지역명을 사용하면서 중국에 대해 낙인을 찍는 경향을 드러냈다”고 설명했다. 실제 조선일보는 코로나19 초기 ‘우한 폐렴’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조선일보는 코로나19 초기 중국 방문자 입국을 금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조선일보는 2020년 2월 사설 <중국 방문자도 감염, 환자 많은 中 5개 省은 입국 차단해야>에서 “방역의 제1원칙은 감염원의 유입 차단”이라면서 “뒷문을 활짝 열어놓고 방역 성공을 기대할 수는 없다. 무엇보다 중국 후베이성 이외 지역 감염이 심각해졌다”고 밝혔다. 반면 한겨레는 중국 방문자 입국금지에 과학적 근거나 실효성이 없다고 비판했다.

연구팀은 조선일보의 중국 책임론에 대해 “코로나19 확산 원인을 중국 쪽에 돌리는 프레임을 집중적으로 제기하는 것은 새로운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며 “자국 내 코로나19 확산의 원인을 외부에서만 찾을 수 없다. 이는 언론이 문제의 다양한 원인을 찾고,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장애물을 제공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한겨레는 상호 협력론을 강조한 사설을 다수 작성했다. 한겨레가 작성한 ‘협력 강화’ 주장 사설은 16건, 야당 비판 사설은 6건, 혐오 우려 사설은 6건이다. 이밖에 중국에 대한 불신을 표하는 사설과 중국인 입국 금지를 비판하는 사설은 각각 4건이다. 한겨레는 야당이 중국을 정쟁의 대상으로 삼는 것을 비판하고, 정부와 협력에 나서야 한다고 주문했다.

코로나19 확산 시기 중국 관련 사설의 프레임 비교 (사진=한국언론정보학보)

또한 조선일보는 코로나19 상황이 지속되면서 ‘중국 비판론’과 ‘정부 책임론’을 강화했고, 한겨레는 ‘혐오 우려’와 ‘협력 강화’ 프레임에 방점을 찍었다. 한겨레는 정부 책임론 프레임을 최대한 자제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조선일보와 한겨레의 프레임 대립은 지속되었다”며 “한겨레는 ‘혐오 우려’ 프레임을 제시하기는 했으나 조선일보가 내놓은 프레임을 비판하는 수준이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두 신문의 사설에 대해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기 위한 논의를 활성화하지 못하였고, 감염자나 특정계층과 지역에 대한 ‘혐오’를 완화하는 노력을 가시화하지 못한 한계를 드러냈다”고 분석했다.

연구팀은 “위기 상황에서도 여론 분열의 양상만 지속된다면 이를 치유하는 데 상당한 사회적 비용이 소요될 수밖에 없다”며 “신문사별로 특정한 프레임을 강조하고, 정작 프레임의 간극을 해소해나갈 수단은 마땅치 않다는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연구팀은 “언론이 이념적 사고를 코로나19 위기 국면에서도 그대로 반영하는 것은 문제”라면서 “특정 관점만을 인식하거나 다른 관점을 배척할 경우, 문제의 복합적 원인을 짚는 데 어려움이 생길 수 있다”고 강조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