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윤수현 기자] 해고노동자의 상징이었던 김진숙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지도위원이 37년 만에 HJ중공업(옛 한진중공업)에 복직한다. 한겨레는 김 지도위원의 복직은 노동권을 요구하는 시민들이 함께 일군 성취라면서 “대선후보들은 이번 복직의 의미를 깊이 생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향신문은 이번 복직을 계기로 한국이 노동존중 사회로 한 단계 올라서야 한다고 밝혔다.

1981년 대한조선공사에 입사한 김진숙 지도위원은 1986년 노동조합 활동을 했다는 이유로 대공분실에 끌려가 고문을 받았고, 이후 해고됐다. 김 지도위원은 37년간 사측에 복직을 요구했고, 민주화운동보상심의위원회와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역시 복직을 권고했다. 하지만 사측은 이에 응하지 않았다. 그러는 사이 한진중공업이 동부건설에 인수됐고, 23일 노사는 김 지도위원 복직에 합의했다. 김 지도위원은 25일 복직 후 곧바로 명예퇴직한다.

김진숙 민주노총 지도위원 (사진=연합뉴스)

이와 관련해 한겨레는 24일 사설 <김진숙 37년 만의 복직, 일하는 사람의 희망 되길>에서 “해고된 뒤 복직의 간절함을 붙들고 보냈던 길고 험한 시간을 생각하면 25일 한나절은 말 그대로 찰나”라면서 “김 지도위원은 더는 해고노동자가 아니다. 현실의 법정은 그를 일터에서 내쫓은 행위가 정당했다고 판결했으나, 역사의 법정은 ‘부당해고’로 바로잡아 기록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겨레는 “그의 복직은 일하는 사람이 마땅한 대접을 받기 바라는 사회 구성원들이 함께 일군 성취인 셈”이라면서 “김 지도위원이 겪어온 시간은 지금도 일하는 사람들에게 도돌이표 찍힌 악보처럼 돌아온다.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플랫폼 노동자를 비롯해 해고조차 될 수 없는 ‘무늬만 자영업자’들이 폭발적으로 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겨레는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됐지만, 기업의 무신경 속에 노동자들이 죽거나 다치는 일이 끊이지 않고 있다”고 했다.

한겨레는 대선후보들이 김진숙 지도위원 복직의 의미를 되새겨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겨레는 “대통령 선거에서는 노동 관련 공약이 실종되다시피 했다”며 “심지어 노동자들의 일과 삶을 지금보다 취약하게 만드는 공약을 서슴없이 내세우는 후보가 지지율 선두를 다툰다. 대선 후보들은 부디 복직의 의미를 깊이 생각해보기 바란다”고 밝혔다.

경향신문은 사설 <‘37년 해고자’ 김진숙의 복직, 사필귀정이다>에서 “HJ중공업은 새 출발을 하는 마당에 오래된 갈등 현안을 풀고 가는 게 낫다는 판단에 따라 김 위원을 복직시키기로 한 것으로 노동계는 해석한다”며 “사측이 부당해고를 인정하고 복직을 허용한 것은 당연하다. 그 당연한 일을 하는 데 37년이나 걸린 것이 우리 노사의 현실”이라고 썼다.

경향신문은 “노동 환경이 개선됐다지만 노조 조직률은 아직도 15%를 넘지 못한다”며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여전히 차별에 시달리고 있다. 김용균법과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되고 있음에도 산업재해 사망자는 끊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경향신문은 “이번 대선에서도 경제 성장을 약속하는 목소리에 노동 공약은 뒷전으로 밀리고 있다”며 “김 위원이 겪은 노동자의 아픔이 되풀이돼선 안 된다. 김 위원의 복직은 노동존중 사회로 한 단계 올라서는 계기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선후보들은 김진숙 지도위원 복직에 대해 환영 입장을 밝혔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는 트위터에서 “해고노동자 김진숙님이 37년 만에 복직하신다”며 “복직을 축하드리며, 결단해 준 노사에도 고맙다”고 했다. 심상정 정의당 대선후보는 페이스북에서 “일제강점기보다 길었던 37년의 피눈물 나는 복직투쟁이 드디어 결실을 맺었다”고 밝혔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