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윤수현 기자]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선거 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유권자 10명 중 7명은 ‘포털 뉴스’에서 선거 정보를 확인한다고 밝혔다. 종이신문을 이용해 정보를 얻는다는 응답은 5.8%에 불과했다. 언론재단은 지난해 11월 22일부터 26일까지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선거보도·선거토론 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언론재단이 9일 발표한 '유권자가 바라보는 선거보도' 보고서에 따르면, 선거 정보 유통경로 조사(중복 응답)에서 ‘포털 뉴스’가 72.0%로 가장 높았다. 텔레비전(59.2%)·구글·네이버 검색(47.5%)·유튜브(35.9%)가 30%를 넘었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실시한 선거정보 유통경로 조사

이어 인터넷 언론사 홈페이지 23.5%, 카카오톡 17.6%, 라디오 15.4%, 페이스북 12.7% 순이다. 종이신문이 5.8%로 가장 낮았다. 언론재단은 “텔레비전을 제외하면, 디지털 플랫폼이 선거 정보 이용의 중심축”이라고 했다.

연령대별 유통경로를 조사한 결과, 고연령층일수록 텔레비전을 통해 선거정보를 접한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60대 이상 응답자 78.1%가 “텔레비전을 이용한다”고 답했다. 20대~30대의 텔레비전 이용률은 45.1%다. 포털 사이트 이용률은 모든 연령층에서 60%를 넘었다.

디지털 플랫폼 정보 신뢰도는 네이버 34.1%, 다음 27.9%, 구글 23.2%, 유튜브 17.6%, 카카오톡 10.5%, 페이스북 9.6% 순이다. 언론재단은 “언론사가 생산하는 뉴스가 차지하는 비중이 큰 플랫폼보다 소셜 콘텐츠가 많은 플랫폼에서 신뢰도가 상대적으로 낮다”고 설명했다.

선거토론에 대한 긍정평가가 높았다. 선거토론 시청 경험이 있는 응답자 중 82.6%는 “후보별 장단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78.2%는 “어떤 후보에게 투표할지 결정하는 데 도움을 줬다”고 밝혔다. “투표에 참여할 것인지 결정하는데 도움을 줬다”는 응답은 72.5%다.

언론재단은 “선거 여론조사보다는 선거토론이 투표 결정에 더 도움을 준다”고 밝혔다. 선거 여론조사 보도를 본 경험이 있는 이용자 중 “후보 결정에 도움을 줬다”·“투표 참여 결정에 도움을 줬다”고 밝힌 비율은 각각 41.1%, 39.1%였다.

선거보도는 신속성·현장성 등 형식적 측면에서 긍정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저널리즘 품질과 관련해선 부정적인 평가가 많았다. “선거보도가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한다”는 응답은 66.5%, “현장감있게 보도한다”는 53.3%, “선거과정을 이해하기 쉽게 보도한다”는 50.3%다. 반면 “선거보도는 논란이 되는 사안을 공정하게 보도하지 않는다”는 74.2%, “선거보도는 사실을 정확하게 보도하지 않는다”는 67.3%, “선거보도는 신뢰할만하지 않다”는 58.6%의 응답률을 나타냈다.

‘어떤 보도가 공정한 보도인가’라는 질문에 “팩트와 의견을 제시하되, 상반된 의견을 함께 제시”라는 응답이 44.8%로 가장 높았다. 이어 “팩트만 보도하고 의견은 제시하지 않는 보도” 36.0%, “팩트와 의견을 제시하되, 올바른 의견만 제시” 19.2% 순이다. 이에 대해 언론재단은 “공정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언론은 의견이나 입장을 균형있게 보도해야 한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언론인, 선거 관련 허위정보·가짜뉴스 유포 책임 있다"

허위정보·가짜뉴스에 대한 책임 소재를 물은 결과, 유튜버·1인 미디어가 55.2%로 가장 높았다. 이어 언론인 52.2%, 음해세력 44.8%, 선거캠프 인사 및 정치인 27.8%, 선거 후보자 18.1% 순이다. 허위정보·가짜뉴스를 막기 위해 팩트체크가 필요하다고 밝힌 응답자는 91.4%에 달했다.

언론재단은 선거보도 항목별 보도량과 중요도에 대해 물었다. ‘여론조사 보도’에 대해선 90.2%가 “언론이 많이 보도한다”고 했다. “중요하게 보도해야 한다”는 응답률은 55.7%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실시한 정책적 이슈 중요도 조사 결과

‘후보자의 공약이나 정책적 입장’을 중요하게 보도해야 한다는 응답률은 94.6%였다. “공약·정책보도가 많다”는 응답은 55.6%에 그쳤다. 언론재단은 “유권자들은 언론이 중요도에 비해 경마식 보도를 많이 하고 있다고 느낀다”며 “정책과 관련된 실체적 보도는 적게 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책적 이슈 중요도를 물은 결과, 경제 정책이 88.1%로 가장 높았다. 이어 부동산 정책 87.7%, 부정부패 및 비리 척결 87.0%, 코로나19 극복 79.1%, 외교 정책 78.3%, 소득 및 자산 격차 해소 76.3%, 국민갈등 해소 71.2%, 교육 정책 69.6%, 식량 및 에너지 수급 정책 68.5% 순이다. 인구정책(63.5%), 한반도 정책(62.6%), 기후 변화 대응책(58.6%) 정책 중요도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