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윤수현 기자] 네이버·카카오 뉴스제휴평가위원회가 8개 지역언론에 콘텐츠제휴 지위를 부여한 것에 대해 “지역언론 생태계 이해도가 떨어진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명확한 기준 없이 전국을 9개 권역으로 나눈 것, 다른 유형의 언론인 방송·신문을 경쟁하게 한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지적이다. 콘텐츠제휴를 맺은 지역언론 사주가 포털 제휴를 무기로 수익성만 추구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포털 뉴스에 지역성이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은 제휴평가위는 전국을 9개 권역으로 나누고, 특별심사에서 최고점을 받은 지역언론(권역별 1개사)과 콘텐츠제휴를 맺기로 했다. 이번 심사에 통과한 매체는 8곳으로 강원도민일보(강원도), 국제신문(부산·울산·경남), 대전일보(대전·충남), 대구MBC(대구·경북), 전주MBC(전북), CJB청주방송(세종·충북), KBC광주방송(광주·전남), JIBS(제주) 등이다. 경기·인천 지역 언론사 중 신청 요건을 충족한 매체는 한 곳도 없었다.

지역신문 자료사진. 본 사진은 기사 본문과 관련 없습니다 (사진=미디어스)

김동원 전국언론노동조합 정책협력실장은 18일 <지역언론 포털 제휴 선정 결과와 지역언론 지원 방안 모색> 토론회에서 “다른 문화를 가진 부산·경남·울산, 많은 사람이 사는 경기·인천을 한 권역으로 엮은 것이 적절한지 따져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실장은 “단지 한 권역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는 이유로 콘텐츠제휴가 되는 것이 맞는가”라며 “언론노조는 기준점을 넘는 지역언론과 콘텐츠제휴를 맺어야 한다고 요구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제휴평가위의 지역언론 이해도가 떨어진다”고 말했다.

방송·신문을 한 번에 심사한 것이 문제로 꼽힌다. 김동원 실장은 “특별심사를 통과한 방송사가 이렇게 많을 줄은 몰랐다”며 “방송과 신문을 한 번에 심사한 것은 ‘다윗과 골리앗의 싸움’이었다. 동일한 심사기준을 적용해 특정 매체에 더 유리한 결과가 나올 수밖에 없었다”고 평가했다.

무엇보다 콘텐츠제휴 지위를 확보한 지역언론 사주가 포털 제휴를 무기로 수익성만 추구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특별심사에 통과한 매체 중 지역MBC를 제외한 6개 언론사는 기업·사주가 소유하고 있다. 김동원 실장은 “사주는 포털을 통해 얻은 영향력을 확인하려는 목적으로 각종 이벤트를 열고, 금전적·비금전적 이익을 얻을 수 있다”며 “각 지역의 권력이 콘텐츠제휴 언론사에 집중하게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이기동 대전충남 민주언론시민연합 대표는 “콘텐츠제휴 매체가 된 대전일보는 지역에서 유력 언론사지만, 현장 취재기자는 15명도 안 된다”며 “과연 콘텐츠제휴 언론사가 달라진 위상만큼의 역할을 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공적 책무를 다하기보다 수익 창출에 목을 맬 수 있다”고 했다.

김동원 실장은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특별심사에 통과한 언론사 노동자와 지역 시민사회단체가 견제 기구를 만들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김 실장은 “(콘텐츠 제휴라는) 평판자본은 권력이 될 것”이라며 “내부 견제와 감시 제도가 만들어져 편집독립성을 지켜나가는 것이 중요해졌다”고 말했다.

18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지역언론 포털 제휴 선정 결과와 지역언론 지원 방안 모색" 토론회 (사진=미디어스)

"지역언론 포털 입점 문턱 낮추고 퇴출 자유롭게 해야"

김동원 실장은 제휴평가위가 정기적으로 지역언론 심사를 진행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김 실장은 “이번 제휴심사가 일회성으로 끝나면 안 된다”며 “연 2회 실시하는 정기 입점 심사 때 지역언론 별도 심사를 진행해야 한다”고 했다. 또한 김 실장은 콘텐츠 중심의 심사 관행을 바꿔야 한다고 했다. 김 실장은 “언론사가 적절한 디지털 인력과 조직을 갖추고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 제휴평가위원인 김위근 퍼블리시 최고연구책임자는 지역언론 이해도가 높은 전문가가 제휴평가위에 참여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김 책임자는 “제휴평가위 내 지역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전문가들이 많지 않다”며 “네이버·카카오는 제휴평가위 결정을 그대로 따르기 때문에, 포털보다 제휴평가위가 변해야 한다”고 했다.

김명래 경인일보 기자는 “제휴평가위가 왜 권역을 9개로 나눴는지 아직도 이해하지 못하겠다”며 “경기·인천 지역 시민이 1500만 명에 달하는데, 콘텐츠제휴 언론사 1곳으로 모든 것을 커버할 수 있는가. 또한 기초자치단체를 취재 대상으로 하는 풀뿌리 언론과 광역단위 지역언론을 동일한 기준으로 평가할 수 있는가”라고 지적했다.

김명래 기자는 “언론 비판을 하는 사람은 많지만, 지역언론을 욕하는 사람은 없다”며 “지역언론을 보지 않기 때문이다. 지역언론은 잃어버린 수용자와 독자를 찾기 위해서라도 포털에 들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기자는 “지역언론 입점 문턱을 낮추고, 쉬운 퇴출 시스템을 만들면 된다”고 밝혔다.

이번 토론회는 언론노조가 주최하고 언론진흥재단이 후원했다. 사회자는 원용진 서강대 교수, 발제자는 김동원 정책협력실장이다. 김명래 경인일보 기자, 김위근 퍼블리시 최고연구책임자, 이기동 대전충남민언련 대표, 이서후 경남도민일보 기자가 토론자로 참여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