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윤수현 기자] 한국언론진흥재단 ‘2021 저널리즘 주간’ 기조연설자로 나선 손석희 JTBC 전 앵커가 좋은 저널리즘을 구분하는 방법으로 '정치·경제적 이해관계에 대한 배반'을 주목하라고 말했다. 언론 역시 사업을 일환이기 때문에 정치·경제 권력에서 자유로울 수 없지만 선택의 순간이 왔을 때 정치·경제 이해관계에서 벗어나 보도하는 언론을 주목해야 한다는 것이다.

손석희 전 앵커는 28일 열린 ‘2021 저널리즘 주간-다시 저널리즘’ 컨퍼런스에서 “탈진실 시대에도 정론의 언론은 필요하고, 정론의 언론은 스스로 살아남을 수 있는 길을 찾아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2021 저널리즘 주간-다시 저널리즘’ 컨퍼런스에서 기조발제 중인 손석희 JTBC 전 앵커 (사진=한국언론진흥재단 유튜브)

손석희 전 앵커는 “정론의 언론을 선택하기 위해선 어떤 기준이 필요한가”라는 질문에 ‘이해관계를 떠날 수 있는 용기’라고 답했다. 손 전 앵커는 “언론이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선 장사를 해야 하고, 나 역시 거기서 벗어날 수 없다”며 “다만 때로는 용감하게 정치·경제적 이해관계를 떨쳐낼 수 있는 용기를 가진 언론이 있다. 그걸 잘 지켜본다면 좋은 저널리즘이 무엇인지 찾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손석희 전 앵커는 정론의 기준으로 '탈정파성'과 ‘어젠더 키핑’을 꼽았다. 손 전 앵커는 “매스미디어가 대중에게 영향을 끼칠 수 있는 환경 자체가 줄어들고 있다”며 “언론은 게이트키퍼 역할을 하고 있지만, 이제는 구경거리가 된 고궁의 문지기 역할이 된 것 같다. 언론은 불신·적대적 상대가 됐다”고 지적했다.

또한 손석희 전 앵커는 “저널리즘을 위해서 운동할 수 있지만, 운동을 위해 저널리즘을 하면 안 된다”며 “저널리즘 자체가 정치화되고, 정치·경제권력과 한 몸이 되는 건 옳지 않다. 저널리즘은 사익을 위해 운동하면 안 된다”고 비판했다.

‘어젠더 키핑’은 언론이 스스로 옳다고 여기는 주제에 대해 끊임없이 취재하는 것을 뜻한다. 손석희 전 앵커는 “어젠더를 정하고, 사회를 설득하는 건 언론의 중요한 기능”이라며 “또한 언론은 어젠더를 지켜냐가야 한다. 시간이 지나면 어젠더에 대한 감성이 사라지기 마련인데, 언론이 없다면 논리의 영역마저 사라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언론, 기득권 지키기 위해 지배적 시스템 지키려 해"

손석희 전 앵커는 기존 언론이 기득권이 됐다고 비판했다. 손 전 앵커는 “우리가 처한 언론환경은 험하다”며 “언론이 스스로 기득권이 됐다. 언론은 자신의 기득권을 지키기 위해 지배적 시스템이 된 현 사회구조를 지키려고 한다”고 분석했다. 손 전 앵커는 “사회구조가 깨지면 자신들의 생존이 어렵기 때문”이라며 “결국 이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선 저널리즘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손석희 전 앵커는 언론의 존재 이유를 ‘민주주의’와 ‘인본주의’라고 설명했다. 손 전 앵커는 “민주주의와 인본주의는 언론의 존재 목적이며, 이를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며 “그러기 위해선 언론인 스스로 문제의식을 가져야 한다. 문제의식이 있어야 문제를 제기할 수 있고, 그래야 문제가 해결된다”고 했다.

손석희 전 앵커는 “저널리즘의 원칙을 한 단어로 말해달라”는 질문에 “의문”이라고 답했다. 손 전 앵커는 “언론인은 끊임없이 의문을 갖고 있어야 한다”며 “의문이 있으면 무엇이든 답이 나오기 마련이다. 언론의 ‘좋은 편향’은 ‘좋은 의문’에서 출발한다”고 강조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