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최고의 드라마가 될 것으로 예측되는 <뿌리깊은 나무>의 작품성을 뒷받침하는 강력한 요인 중의 하나가 바로 정치다. 이 드라마에선 정치적 논쟁이 치열하게 펼쳐진다. 그것이 지적인 쾌감을 주기도 하고, 시청자의 공감도 불러일으킨다.

인기 있는 사극에서의 정치적 구도를 보면 당대 대중의 욕망이나 정치적 방향성을 읽을 수 있다. 대체로 사극을 통해서 정치가 그려지기 때문이다. 현대극은 현실정치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외압이 발생하기 쉽다. 그래서 사극이 정치적 표현의 창구 역할을 하게 된다. 우리 사극들이 옛날 이야기이면서도 요즘 이야기 같은 것은 그 때문이다.

특히 사극엔 나라를 경영하는 위인들의 이야기가 많이 나오는데, 나라를 경영하는 과정을 그리다보면 결국 정치적 표현을 하지 않을 도리가 없다. 바로 <뿌리깊은 나무>가 그렇다. 이 작품에선 조선의 창업공신인 정도전 계열의 정치관과, 조선을 안정시킨 태종의 정치관, 그리고 문물을 발전시킨 세종의 정치관이 그려진다.

그것이 몇백 년 전 옛날 이야기가 아니라 마치 요즘 이야기인 것처럼 생생하게 느껴진다. 작품 속에서 부딪히는 정치관이 바로 이 시대의 화두와 겹쳐지기 때문이다. 그것이 <뿌리깊은 나무>의 중대한 미덕이다.

1. 밀본의 정치관

<뿌리깊은 나무>에서 밀본은 정도전의 유지를 이은 결사체다. 그들은 정도전이 제시한 신권정치의 이상을 꿈꾸며 조선의 왕들과 대립한다. 그들은 '군주는 꽃과 같은 존재일 뿐, 진정한 본체는 보이지 않는 뿌리인 사대부들'이라고 주장한다. 그들이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는 군주가 독재를 행할 경우 그 폭주를 막을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들은 재상을 중심으로 하는 사대부들이 국왕을 견인해야 한다고 여긴다.

문제는 그들도 결국 기득권층이라는 데 있다. 그들이 주장하는 이상적인 체제는 결국 소수 엘리트들의 집단지도체제적 성격을 가진다. 이런 시스템에서 일반 백성은 배제될 수밖에 없다.

그런 방식으로 정치를 독점하는 엘리트집단에 대한 반발이 바로 이번 서울시장 선거에서 박원순 당선으로 나타났다. 안철수 열풍도 마찬가지다. 기존 정치세력이 정당구조를 독점하는 것에 국민들이 염증을 느끼고 있는 것이다. <뿌리깊은 나무>는 밀본을 통해 그 지점을 그리고 있다.

2. 태종의 정치관

밀본의 주장에 대해 태종은 '진정한 본체는 왕이다!'라고 맞선다. 아들인 세종이 세자 시절 마방진을 풀고 있을 때, 태종은 진을 모두 허물어버리고 중앙에 '1'만을 남겨둔다. 왕에게 권력이 집중되어야 세상이 안정된다는 생각이다.

그러기 위해서 물리력이 동원된다. 그의 생각에 반하는 무리들은 모두 처단 대상이 된다. 절대권력에 조금이라도 흠집을 낼 가능성이 있는 사람들도 처단된다. 아무도 왕에게 다른 의견을 말할 수 없는 공포정치다. 오로지 상명하복이 있을 뿐이다.

이것은 1차적으로 우리 개발연대의 독재정치를 떠올리게 한다. 태종이 조선 국초의 혼란을 잠재웠듯이, 한국의 독재권력도 혼란을 잠재웠다. 그리고 지나간 과거가 됐다. 극중에서 태종의 방식은 다시 부활할 수 없는 것으로 그려진다. 한국의 현실에서 독재권력도 마찬가지다. 이것은 요즘 사람들에게 공포를 느끼게 하는 이명박 정부에 대한 질타이기도 하다. 현 정부의 정치관이 시대착오적이라고 명토박는 것이다.

3. 세종의 정치관

세종은 서민의 편에 서려하고, 동시에 소통하려 한다. 그 두 가지를 상징하는 것이 바로 '한글'이다. 한글은 서민에게 스스로를 표현할 도구를 주는 것이고, 그러한 서민의 말을 듣겠다는 의지를 표현하는 것이기도 하다.

사대부들은 한자만을 중시하는데, 이는 상명하달의 정치를 뜻한다. 명나라와 사대부가 '상'이고 백성이 '하'다. 한자가 위에서 일방적으로 내려오는 것이라면, 한글은 위아래 사이를 자유롭게 흐르는 소통의 가교가 된다.

한글을 요즘으로 치면 SNS라고 할 수 있겠다. 이명박 정부는 '어린지'를 강조했는데, 여기서 영어는 <뿌리깊은 나무>에서의 한자와 같은 의미를 지닌다. 이렇게 이 드라마는 세종을 통해 현재를 말하고 있다.

극중에서 세종은 백성에게 부패한 수령을 고발할 권리를 주려 한다. 사대부와 태종은 반대한다. 상하의 기강이 무너진다는 이유에서다. 세종은 지방 사대부들이 백성들에게 직접 세금을 걷지 못하게 한다. 결국 수탈이 되니까. 밀본과 사대부들은 여기에도 반대한다. 국가의 근본이 흔들린다며. 세종은 이렇게 말한다.

'지랄들 하고는! 결국엔 자기들 기득권 지키려는 것이면서!'

바로 이 시대의 20~40 세대가 공감할 대사였다. 이 드라마는 국가의 진정한 근본이 무엇인지를 묻는다. 태종은 1인자가 근본이라고 했다. 밀본은 사대부라고 했다. 세종은 백성이 근본이라고 한다. 그 셋 중에 이 드라마가 내세우는 주인공은 세종이다.

앞에서 말했듯이 태종의 1인자론은 독재정권을 떠올리게 한다. 밀본의 사대부론은 1% 정치를 하는 한나라당 혹은 정당구조를 장악한 구 정치세력 전체를 떠올리게 한다. 그렇다면 세종은? 없다. 그래서 내년에 어떤 정치지형이 펼쳐질지 아무도 모른다. 확실한 건 이 시대가 세종을 열망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뿌리깊은 나무>는 그 지점을 정확히 포착해냈다. 좋은 작품은 이렇게 시대의 핵심을 읽어서 표현해낸다.

- <광개토태왕>이 그려주는 시대정신 -

시청률이 약 20%에 달하는 <광개토태왕>도 현재의 대중이 열망하는 것을 그려낸다. 이 작품에서 담덕과 그를 따르는 집단은 언제나 저자거리의 주막에서 모임을 갖는다. 방 안에 들어가는 것도 아니고 항상 마당에 둘러앉는다. 민중성과 개방성이다. 심지어 태자비가 되는 국상의 딸과 담덕이 처음 만나는 장소도 저자거리 주막이었다. 담덕의 친위무장인 여석개는 담덕이 황제가 된 이후에도 누더기 같은 옷을 입으며 탁 트인 주막에서 술을 마셨다.

반면에 담덕과 대립하는 귀족들은 국상을 중심으로 자기들끼리만 모여 주연을 가진다. 실제로 그랬을 리는 없다. 황족과 그 친위세력이 어떻게 주막에서 모임을 가진단 말인가? 하지만 사극은 이렇게 현 시대가 원하는 지도자의 상을 과거 인물을 통해 그려낸다. 그것이 시청자의 공감을 이끌어내는 것이다.

문화평론가, 블로그 http://ooljiana.tistory.com/를 운영하고 있다. 성룡과 퀸을 좋아했었고 영화감독을 잠시 꿈꿨었던 날라리다. 애국심이 과해서 가끔 불끈하다 욕을 바가지로 먹는 아픔이 있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