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윤수현 기자] 가짜뉴스로 불리는 허위조작정보 확산과 관련해 응답자 다수가 “신문·방송 등 기성 언론사 책임"이라고 밝혔다. 허위조작정보 해결책으로 언론사의 허위조작정보 판별, 포털·SNS의 선제적 삭제 등이 중요 과제로 꼽혔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은 10일 허위조작정보 확산과 관련한 여론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5점 척도 기준으로 진행됐다. 5점에 가까울수록 동의율이 높은 것이며 평균은 3점이다. “허위정보·가짜뉴스 문제 책임이 어디에 있는가”라는 질문에 ‘부정확한 정보를 SNS에 올리는 정치인 등 유명인의 책임이 크다’는 3.96점, ‘뉴스를 생산하는 언론사의 책임이 크다’와 ‘정보를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인터넷 사이트의 책임이 크다’는 각각 3.92점으로 조사됐다.

이외에 ‘이용자 책임’ 3.89점, ‘페이스북·트위터 등 SNS 책임’ 3.77점, ‘언론의 비판을 가짜뉴스라고 공격하는 정치인들 책임’ 3.66점, ‘포털 책임’ 3.64점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 언론사는 가짜뉴스 문제와 상관이 없다’는 응답은 가장 낮은 2.37점이었다. 허위조작정보와 언론사가 관련이 있다고 생각하는 응답자가 다수인 것이다.

한국언론진흥재단 허위조작정보 여론조사 관련

허위조작정보 해결책과 관련해 ‘언론사가 가짜뉴스를 판별해 보도해야 한다’는 4.1점이었다. 이어 ‘포털이 가짜뉴스를 즉각 차단하거나 삭제해야 한다’ 3.92점, ‘SNS, 유튜브가 가짜뉴스를 차단·삭제해야 한다’ 3.91점, ‘미디어 이용자가 가짜뉴스를 식별할 수 있도록 교육해야 한다’ 3.84점, ‘정치인 등 유명인이 가짜뉴스를 판별하여 공개해야 한다’ 3.64점이다. ‘정부가 가짜뉴스를 판별하고 규제해야 한다’는 3.63점으로 가장 낮았다.

전반적인 언론 신뢰도는 저조했다. 신뢰도 조사결과 “뉴스 미디어는 정확하다”는 19%, “뉴스미디어는 공정하다”는 19.6%, “뉴스 미디어는 신뢰받을 만하다”는 18.7%였다. 신문·방송 등 전통 미디어를 이용하는 응답자의 신뢰도가 이용 경험이 없는 응답자보다 소폭 높았다.

유튜브를 허위조작정보 노출 경로라고 생각하는 응답자는 70.6%에 달했다. 이어 개인방송 65.8%, 소셜미디어 62.0%, 블로그·인터넷 카페 62.9% 순으로 조사됐다. 전통 미디어의 경우 종합편성채널은 44.9%로 다소 높았다. 이어 보수 성향 신문 40.7%, 진보 성향 신문 31.4%, 지상파방송은 30.2%다.

또한 정치 성향에 따라 허위조작정보 노출경로 비중은 달라졌다. 진보 성향 응답자 중 보수 성향 종이신문을 허위조작정보 유통 경로라고 응답하는 비율이 높았고, 보수 성향 응답자는 진보 성향 종이신문을 주된 경로로 꼽았다. 언론재단은 “뉴스 이용자들이 특정 정보를 가짜뉴스로 인식하는 데에 정치적 성향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조사는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7월 24일부터 7월 29일까지 6일간 온라인으로 진행했다. 자세한 내용은 한국언론진흥재단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