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윤수현 기자] 네이버의 ‘뉴스 댓글 이력 공개’ 시행 후 전체 댓글이 41.2%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정치 섹션 댓글 수가 큰 폭으로 하락했다. 한국언론진흥재단 연구팀은 “이용자가 댓글 작성에 부담을 느꼈기 때문”이라고 평가했다.

최근 네이버는 댓글 관련 정책을 강화하고 있다. 네이버는 2월 19일 “뉴스 댓글 작성자의 프로필과 활동 이력을 공개하겠다”고 선언했다. 네이버는 “악성 댓글과 다양한 어뷰징 시도들이 종종 발견되곤 한다”면서 “이용자의 댓글 이력을 공개하고 악성 댓글을 잡아내는 AI ‘클린봇’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댓글 이력 공개정책은 3월 19일 시행됐다. 또한 네이버는 선거 기간에 실시했던 ‘뉴스 댓글 본인확인제’를 잠정 유지하기로 했다.

네이버 댓글 수 추이 (사진=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은 네이버 댓글 정책 개편 후 이용자 추이를 분석하는 ‘정책리포트’를 발간했다. 언론재단은 네이버 댓글 개편 이전 일주일(3월 1일~7일)과 개편 이후 일주일(3월 19일~25일) 댓글을 조사했다.

댓글 정책 개편 후 전체적인 뉴스 댓글 수가 감소했다. 정책 개편 일주일 전 댓글 수는 590만 개다. 반면 일주일 후 댓글 수는 347만 개로 41.2% 하락했다. 언론재단은 “뉴스 댓글 이력제를 도입하고 닉네임을 공개하자 (이용자가) 댓글 다는 것에 대해 부담을 느껴 수가 줄었다는 여러 평가를 보여준다”고 밝혔다.

부문별 분석 결과 정치 분야 댓글 수가 큰 폭으로 감소했다. 개편 이전 하루평균 정치 댓글은 34만 개였는데, 개편 후 15만 개로 56.7% 감소했다. 사회 댓글은 31만 개에서 21만 개로 30.8% 줄었다. 언론재단은 “댓글 정책변화가 정치 관련 기사 댓글 작성에 부담을 가져왔다”고 해석했다.

언론재단은 네이버에게 ▲자세한 댓글 관련 통계 제공 ▲댓글 정책 관련 소통 강화 등을 요구했다. 언론재단은 “1인당 평균 댓글 수는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일부 기사의 댓글은 소수가 집중적으로 작성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면서 “소수의 의견이 전체를 대변하는 착각을 부여할 가능성이 여전히 있다. 댓글 이력 제공 공간에 해당 이용자가 1주일간 어느 정도의 댓글을 달았는지를 암시해 줄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언론재단은 “댓글이 상호작용적 공론장으로서 지금까지 존재해 온 것도 사실이며, 제대로 운영한다면 지금까지 지적된 문제점을 넘어 긍정적 기능을 할 가능성이 크다”면서 “문제점 해결을 위해 댓글을 폐쇄하거나 차단하는 것만이 완전한 해법은 아니다. 네이버가 스스로 밝혔듯이 향후 댓글 정책을 꾸준히 개선해 나갈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이용자, 학계, 사업자 등의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한 열린 소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