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 후배들과 장국영에 대해 이야기한 적이 있다. 그중 한 명이 TV프로그램에서 장국영의 유서를 본 것 같다는 말을 꺼냈다. 알고 있는 내용이었지만 유서 내용이 뭐였냐고 눙치며 물으니 후배는 ‘세상피곤이었던 거 같은데…’라고 말끝을 흐렸다. 내용에 큰 차이는 없지만 해시태그 같아서 현실웃음이 터졌다. 멀지 않은 미래에 해시태그 유언이 유행할 거 같기도 한데 2003년이라 생각하면 상당히 급진적인 상상력이다.

感情所困無心戀愛世(감정소곤무심연애세). 장국영 유서의 정확한 내용이다. 해석하자면 ‘마음이 피곤하여 더 이상 세상을 사랑할 수 없다’는 의미다. 누가 시켜서 유서를 쓰지도 않을 텐데 마지막 흔적에도 사랑과 세상에 대해 말하는 게 장국영답다.

영화 <아비정전>

왕가위 감독 경력의 하이라이트 장국영

청소년 시기의 나는 장국영을 조연배우로 기억했다. 처음 만난 작품인 <천녀유혼>, <영웅본색>의 탓이 컸다. 굳이 변명을 하자면 그럴 만한 이유는 충분했다. ‘처녀귀신’의 젖은 몸이나 몰래 훔쳐보던 찌질한 백면서생, ‘따거(兄)’들의 깊은 뜻을 모르고 설레발치다 일을 그르치는 철부지 초보경찰. 주변에 민폐만 끼치는 캐릭터인데 아시아를 대표하는 슈퍼스타가 맡았다는 게 지금도 약간 이질감이 들기는 한다.

하지만 현실의 장국영은 홍콩에서 가장 용감한 배우였다. 그의 성적 취향을 집요하게 파고드는 언론을 향해 “만일 어떤 사람이 나를 좋아하고 나도 그 상대방을 좋아한다면, 그 사람이 남자인지 여자인지 중요하지 않다”고 말한 에피소드는 지금도 회자된다. 당시의 홍콩은 물론이고, 2020년인 지금도 어느 나라에서나 쉽지 않은 일이다. 그리고 장국영은 퀴어무비인 <해피 투게더>를 찍고 영화제작 발표를 위해 연 기자회견에서는 함께 주연을 맡은 배우 양조위와 탱고를 춘다.

영화 <영웅본색>

실제로 장국영은 스태프와 지인들에게도 누구보다 친절한 인격자로 사랑을 받았다고 한다. <아비정전>, <동사서독>, <해피 투게더>까지 3편의 영화에 장국영을 주인공으로 캐스팅한 왕가위 감독은 그를 이렇게 기억한다.

“로맨틱한 사람이었거든요. 동시에 사려 깊고 늘 다른 사람을 챙기는 인물이기도 했습니다. 그 때문에 그가 자살했다는 소식에 우린 격한 반응을 보일 수밖에 없었어요. 그는 <아비정전>을 찍고 제가 최악의 위기에 직면했던 그때, 꿋꿋이 저를 지지해준 사람입니다. 그와 함께 일했던 기억은 제 경력의 하이라이트에 해당합니다.” (『왕가위』, 씨네21북스, 215p)

그러나 빛이 밝을수록 그림자도 짙다. 등장하는 동시에 주변이 환해진다던 장국영의 선한 밝음 뒤에는 늘 짙은 그늘이 드리워져 있던 거 같다. 지인들의 인터뷰에 따르면 부유한 집에서 막내아들로 자랐지만 너무 바쁜 아버지에게 사랑을 받지 못한 탓에 생긴 뿌리 깊은 애정 결핍. 유명세를 먹이로 삼은 언론의 무분별한 보도가 우울증 악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한다. 자유롭고 정직하고 단순한 삶을 살고자 했던 그에겐 떨치기 힘든 부담이지 않았을까.

영화 <패왕별희>

다른 빛깔로 타오르는 하나의 불꽃 장국영

我就是我 是颜色不一样的烟火
나는 그저 나일뿐 다른 빛깔로 타오르는 하나의 불꽃
天空海阔 要做最坚强的泡沫
하늘은 그 끝이 없고 바다는 드넓으니 가장 강력한 포말을 일으킬 거야
我喜欢我 让蔷薇开出一种结果
나 스스로를 사랑하고 한 송이 장미꽃을 피움으로 아름다운 결실을 맺을 거야
孤独的沙漠里 一样盛放的赤裸裸
고독한 사막에 만개한 한송이 꽃처럼 있는 그대로를 숨김없이 드러낼 거야

2000년 발표된 앨범 [大热] 수록곡이자 본인이 직접 노랫말을 쓴 곡 ‘아(我)’의 가사 일부다. 장국영의 작품을 접하면 접할수록 가사처럼 대체불가한 빛깔로 타오르는 배우라고 자연스레 인정할 수밖에 없었다. 대표작만 살펴봐도 강렬한 빛깔로 주변을 압도하는 타오르는 명배우 장국영의 진가를 확인할 수 있다.

유덕화는 동시대를 대표하는 톱스타였지만 <아비정전>에서만큼은 이름 없는 ‘경찰관’으로 출연한다. <동사서독>의 등장인물들은 모두 고비사막 같은 건조한 매력을 자랑하지만 서독 구양봉의 절대고독은 동사 황약사(양가휘), 북개 홍칠공(장학우). 훗날의 동방불패(임청하)를 가뿐히 압도한다. <해피 투게더>에서는 세상의 끝 아르헨티나까지 뻗치는 퇴폐적인 매력으로 양조위(아휘役)조차 지고지순한 순정파로 만든다. <패왕별희>에선 끝내 만인지적의 초패왕을 무릎 꿇리고 눈물을 떨어뜨리게 하는 전설의 우미인이 되었다.

BTV <영화당-장국영 추모 특집>에서 김중혁 작가는 요절 후 금세 잊히는 스타들 사이에서 유독 장국영의 추모가 꾸준한 이유에 대해 “우리 속의 아프고 약하고 작았던 마음들을 대변했는데 그 마음이 다치고 훼손된 거 같아서”라고 말했는데, 발 없는 새가 영원한 안식처로 날갯짓한 지 열여덟 해가 지나도 그리움의 농도가 쉽게 옅어지지 않는 이유도 사막에 핀 고독한 한송이 꽃을 지키지 못한 뒤늦은 후회 탓이기도 할 것이다. 2003년의 그날처럼 마스크가 세상을 뒤덮은 오늘. 다시 한 번 명복을 빈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