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송창한 기자]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국일보, 매일경제, 한국경제, 헤럴드경제 등 7개 주요 언론사와 자회사·계열사가 지방자치단체와 공공기관에 많은 상을 주고, 관련 비용을 받고 있다는 실태조사 결과가 나왔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4일 지자체 243곳과 공공기관 307곳을 대상으로, 2014년 1월부터 2019년 8월까지 언론사와 민간단체가 시상하는 상의 수상 여부와 상을 받기 위해 해당 언론사와 민간단체에 지출한 돈에 대한 정보공개청구를 진행한 결과를 발표했다.

그 결과 지난 5년간 지차체 243곳 중 121곳, 공공기관 306곳 중 91곳이 총 1145건의 상을 언론사와 민간단체로부터 받았다. 같은 시기 광고비·홍보비 등의 명목으로 상을 준 언론사와 민간단체에는 약 93억원이 넘는 금액이 지출됐다.

지자체·공공기관과 언론사의 '돈 주고 상 받기' 실태 전수 조사 (그래프=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지자체는 언론사에게 345건 41.8억원, 민간단체에 284건 7.6억원을 지출했다. 공공기관은 언론사에 255건 22.3억원, 민간단체에 261건 21.4억원을 지출했다. 언론사는 지자체와 공공기관에 629건의 상을 주고 64억원의 돈을 받았고, 민간단체는 545건의 상을 주고 29억원의 돈을 받은 것이다. 경실련은 "다수의 지자체와 공공기관이 자료를 축소 공개하거나 공개하지 않아 실제 금액은 더욱 클 것으로 추정된다"고 덧붙였다.

특히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국일보, 매일경제, 한국경제, 헤럴드경제 등 7개 주요 언론사가 전체 시상 건수의 96%(648건), 받은 금액의 98%(약63억원)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아일보가 165건에 약 20억원, 중앙일보가 151건에 18억원, 조선일보가 104건에 10억원, 한국경제가 144건에 9억 6천만원, 매일경제가 49건에 4억 2천만원, 한국일보가 10건에 약 6천만원, 헤럴드경제가 27건에 약 3천 5백만원 등이다.

(표=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언론사가 지자체와 공공기관에 주는 시상식 개수는 총 166개였다. 166개 시상식 중 동아일보 계열 31개, 조선일보 계열 30개, 한국경제 계열 30개, 매일경제 계열 26개, 중앙일보 계열 25개 등 5개 주요언론사가 142개 시상식을 운영하고 있었다. 이들 시상식 명칭을 보면 '대한민국 대표브랜드 대상', '대한민국 가장 신뢰받는 CEO 대상', '한국의 영향력 있는 CEO' 등 '브랜드', '경영', 'CEO' 등이 들어간 비슷한 주제와 내용의 시상식이 즐비했다.

경실련은 이 같은 시상식이 지자체장의 '치적쌓기'와 언론사·민간단체의 '돈벌이'로 전락했다고 지적했다. 경실련은 "현직 지자체장이 재임 기간 받은 상은 자신의 치적을 알리고 선거에 활용할 수 있어 차기 선거에서 절대적으로 유리하게 작용할 수밖에 없다"며 "결국 지자체장은 개인의 치적을 쌓기 위해 지자체와 주민들에게 큰 도움이 되지 않는 불필요한 상을 받고 세금을 낭비할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했다.

이어 경실련은 "일부 언론사와 민간단체가 비슷비슷한 명칭과 특색 없는 내용으로 상을 남발하고 광고비, 홍보비, 심사비 등의 명목으로 과도한 비용을 받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며 "시정을 감시하고 올바른 정보와 국민에게 알 권리를 제공해야 할 언론이 상을 무기로 돈벌이에 혈안이 된다면 그 피해는 국민에게 돌아갈 수밖에 없다"고 했다.

정부부처가 언론사·민간단체의 돈벌이에 이용당하는 실태도 문제로 지적됐다. 경신련은 조사결과 산자부, 과기정통부, 고용노동부, 공정위, 금융위 등 다수의 정부 부처가 언론사와 민간단체의 시상식을 후원하고 있었다고 밝혔다. 정부 부처 시상식 후원명칭 사용은 정부의 권위가 돈벌이 수단으로 이용되는 결과를 낳는다는 지적이다.

이에 경실련은 국민권익위원회와 감사원에 전국 모든 지자체와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한 실태조사를 촉구했다.

경실련은 "지자체와 공공기관이 받을 만한 상을 받았는지, 세금을 제대로 사용했는지, 지자체장 개인 수상비용을 세금으로 지출한 것이 적정한지, 규정에 맞게 후원명칭 사용을 운영했는지 따지고 잘못은 바로잡아야 한다"면서 향후 권익위 실태조사 촉구 의견서 제출, 감사원 공익감사청구, 일부 지자체장에 대한 검찰고발, 관련 입법청원 등의 활동을 예고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