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 보트피플은 원래 살 곳을 찾아 배를 타고 바다를 떠도는 난민들을 일컫는 말이다. 그런데 영국에 또 다른 보트피플이 등장했다. 천정부지로 치솟는 집세를 감당하지 못하는 영국 청년들이 템즈강 일대에 보트를 ‘집’ 삼아 살기 시작하며 영국형 보트피플이 생겨난 것. 그런데 이 보트피플이 남의 나라 일이 아니게 되었다. 어떤 부동산 대책을 내놓아도 잡히지 않는 집값, 한 달에 2백만 원을 벌지 못하는 청년층이 70%를 상회하는 우리나라 현실에서 스스로 돈을 벌어 집을 마련한다는 건 이제 '언감생심'인 세상이 되었다. 과연 청년들은 어떤 선택을 해야 하나.

신혼여행만 4년째

MBC 스페셜 ‘2030 청춘 생존 2부, 요즘 것들 집을 버리고 세상을 찾다!’ 편

2016년 12월, 대학도 졸업하지 않은 채 결혼에 돌입한 전재민-김송희 부부는 신혼집을 얻는 대신, 그 돈으로 항공권을 사서 외국으로 떠났다. 그리고 어언 4년여, 이들은 어느새 '프로 여행 영상 제작자'가 되었다.

물론 처음부터 이렇게 오랫동안 신혼여행(?)을 할 생각은 아니었다. 여행 경비를 마련하기 위해 여행 영상을 만들기 시작했고, 그게 적게는 백만 원에서 많게는 천만 원까지 돈이 되기 시작하면서, 부부는 이제 천만 원 정도의 10kg이 넘는 방송장비를 짊어지고 경관이 좋은 세계 곳곳을 찾아다니는 프로 여행러가 되었다.

그리고 그 여행의 경험은 두 사람을 어느새 독자 초청 강연회의 저자로 만들어 주었다. <다르게 살아도 괜찮아, 오늘은 행복하니까!>의 저자 잼쏭 부부가 바로 전재민-김송희 부부다. 강연회에서 두 사람은 에베레스트 트레킹의 경험을 나눈다.

새벽 누구보다 먼저 에베레스트를 정복하기 위해 나섰던 두 사람. 하지만 그만 길을 잃고 말았다. 겨우 주변의 도움으로 정상을 정복했지만, 그 경험을 통해 두 사람은 천천히 가더라도 방향만 맞다면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게 되었다고 한다. '나만의, 우리만의 방향'에 집중하고 싶다는 두 사람. 이제 수익은 생겼지만 '평생 살아갈 공간'이라는 의미에서 집을 마련할 생각은 없다고 한다.

여행지에서 잠시 머무는 ‘그곳’이 어느덧 두 사람의 집이 된 지금, 인생이 곧 여행이 아니겠냐며 결국 인생이란 선택과 포기의 연속이라고 말한다. 이들은 평생 머무를 공간으로서의 집에 대한 집착을 내려놓고 자신들의 삶을 얻었다고 강조한다.

MBC 스페셜 ‘2030 청춘 생존 2부, 요즘 것들 집을 버리고 세상을 찾다!’ 편

고시원 대신 캠핑카

김동해 씨는 자신에게 온 택배를 받으러 차를 타고 가야 한다. 왜냐하면 그의 집은 택배 아저씨가 찾아갈 수 없는 '캠핑카'이기 때문이다. 지금은 경기도 구리시 왕숙천 천변 무료 주차장에 머무르고 있는 동해 씨. 하지만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지 그의 집은 떠날 준비가 되어있다.

동해 씨의 어릴 적 꿈은 뮤지션이었다. 하지만 꿈을 이루기 위해 올라온 서울의 현실은 월세를 내기도 빠듯한 삶이었다. 햇빛이 들지 않는 고시원살이가 지겨웠던 그는 보증금 4천만 원으로 중고 캠핑카를 마련했다. 그리고 현재 하고 있는 대리운전 일을 위해 보다 더 기동성이 있는 전동휠을 마련했다.

물론 자유로운 집을 마련했지만, 캠핑카 생활도 녹록지는 않다. 35도를 넘나드는 한여름, 밖의 실온보다 5~6도가 높은 캠핑카에서 여름을 나는 건 고역이었다. 기능이 떨어지는 냉장고 때문에 식재료가 잘 상해서 애를 먹는 것, 물탱크는 있지만 샤워 등을 할 곳이 마땅치 않은 것 등 나름 고충이 만만치 않다. 그래도 더위, 추위 등 자연적 환경을 피하는 곳이라는 집의 사전적 의미를 놓고 보면 엄연히 캠핑카는 덜 스위트해도 그의 '홈'이다.

햇빛이 들지 않은 고시원에 비하면 장족의 발전이라는 동해 씨. 어제처럼 살면 어제처럼밖에 살 수 없다고 써놓은 캠핑카 속 그의 좌우명처럼 그는 이 캠핑카를 고치로 삼아 탈피할 미래를 꿈꾼다.

서울에서 한 달 살이 70만 원이면, 수영장 딸린 집이

웹디자이너 조희정 씨는 사전적 정의 그대로 '디지털 노마드'족이다. 디지털 시스템 아래서 시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일한다는 디지털 노마드족에 걸맞게 조지아에서 서울에 있는 동료와 화상 회의를 통해 일을 진행한다.

조지아에서 생활한 지 어언 28일째, 희정 씨는 세계 여러 곳을 떠돌며 한 달 살기를 실행하고 있다. 조지아는 유럽과 같은 환경이지만 서울에서 장 한번 보면 8~10만 원 들 비용이 이곳에서는 한껏 장을 봐도 2만 2천원 정도, 한 달 40만 원이면 충분해 한 달 살기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입소문이 자자한 곳이다.

한때는 워커홀릭이었다. 그러나 경쟁적인 관계 속에서 자신이 소모되는 게 싫어 독립했다. 그리고 이제 모바일 웹 서비스를 개발하며 세계를 떠돌고 있다. 디지털을 기반으로 한 그녀의 직업이 그녀의 방랑을 가능케 한다. 한 달이 끝난 그녀가 다음에 선택한 곳은 독일, 그곳에서는 또 다른 한 달짜리 새집이 그녀를 기다리고, 그녀는 홀가분하게 가방 한 개 들고 또 다른 노마드로서의 삶을 떠난다.

쫓겨나는 대신 이동식 집을

농사를 짓고 싶던 청년이 있었다. 하지만 땅이 없던 그에게 농사란 꿈은 무모한 도전이었다. 임대했던 땅에서 쫓겨난 청년은 홧김에 세계로 떠났다. 유지황 씨를 비롯한 청년 3인방의 2년여에 걸친 무일푼 세계 농업체험은 그렇게 시작되었다. 그리고 그 결과물은 <파밍 보이즈>라는 다큐 영화로 제작까지 되었다.

MBC 스페셜 ‘2030 청춘 생존 2부, 요즘 것들 집을 버리고 세상을 찾다!’ 편

그로부터 7년, 지황 씨는 어떻게 살고 있을까? 그를 찾아 나선 제작진이 그를 만난 곳은 6평짜리 이동식 주택에서이다. 농사짓는 청년을 위한 이동식 주택. 입구에 작업복을 벗어 세탁할 세탁기에서부터 샤워실까지 이어지는, 비록 작지만 한 사람이 생활하기에 부족함이 없는 공간을 단돈 천만 원으로 지황 씨는 지었다.

왜 집을 지었을까? 세계를 떠돌면서 텐트에서 지내다 보니 아늑한 집이 가지고 싶었다고 한다. 처음엔 농촌에 많은 빈집을 이용해 보고자 생각도 했었다. 하지만 말이 빈집이지 외지에 사는 자녀가 주인인 집을 임대하기가 쉽지 않았고, 막상 살만하게 고치려면 2~3000 정도 비용이 드니 그것도 만만치 않았단다. 무엇보다 농촌에 정착하는 것도 잠시 쫓겨나는 경험을 했던 그는 집이라도 가지고 가야 하겠다는 생각에 자신과 같은 처지의 청년들을 위한 이동식 주거 공간을 마련하기로 마음을 먹었다고 한다.

비록 작은 집이지만 자신의 손으로 지은 집. 일 년에 전기세 등으로 20~30만 원 정도, 거기에 겨울에 난로를 때는 비용으로 5~6만 원, 더 이상 월세에 시달릴 염려가 없는 집. 그런 '타이니 하우스'들이, 그런 집을 짓고 살고픈 청년들이 남해군 두모마을에 모였다. 지자체와 이장님의 적극 지원 아래 폐교를 빌려 6개월 정도 기한을 정해 뜻을 맞는 사람들과 벌써 6채째 집을 짓고 있는 중이다. 첫 농사를 짓고 쫓겨난 지 어언 7년, 청년 지황 씨의 꿈은 이제 '청년 공동체'로 부풀어간다.

이철승 교수의 <불평등의 시대>에 따르면, 이른바 '386'이라 통칭되는 세대는 어느덧 우리 사회의 기득권이 되어 권력과 경제력을 독점하고 있다고 한다. 그리고 그 맞은편에 스스로의 힘으로는 벌어서 집 한 칸 마련하기 힘든 청년 세대가 있다.

<MBC 스페셜>은 말이 좋아 집을 버리고 세상을 찾았다고 하지만, 스스로 집을 얻을 수 없는 세대의 궁여지책 혹은 저마다의 각자도생을 보여준다. 서울에서는 생활하기가 버거워 세계를 떠도는 사람들, 집을 얻을 수 없어 차에서 생활하는 사람들, 그리고 쫓겨날 수 없어 달팽이처럼 가지고 다닐 수 있는 집을 짓는 청년들. 과연 이를 ‘요즘 것들’이 자신의 세상을 찾는 보편적 방식이라 말할 수 있을까? 이 땅에 정착하고 싶은 청년들을 '하우스 노마드'로 모는 세상, 세계에서 떠도는 청년 노마드들의 선택을 그저 세상에의 도전이라 퉁칠 수 있을까.

미디어를 통해 세상을 바라봅니다.
톺아보기 http://5252-jh.tistory.com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