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윤수현 기자] 조선일보가 일본 경제보복 국면에서 왜곡 보도를 한다는 비판이 나오는 가운데, 조선자유언론수호투쟁위원회가 조선일보 규탄 기자회견을 열었다. 조선투위는 1975년 유신 반대·언론자유 투쟁을 하다가 강제해직된 조선일보 기자들이 결성한 단체다. 코리아나호텔은 최근 자사 앞에서 조선일보 집회가 이어지자 ‘조선일보사’ 현판을 제거했다.

1일 조선자유언론수호투쟁위원회는 서울 코리아나호텔 앞에서 <조선일보 반민족 친일행위를 규탄한다> 기자회견을 열었다. 조선투위는 최근 조선일보가 일본 수출규제문제를 보도하면서 노골적인 친일 행태를 드러내고 있다고 지적했다.

▲1일 코리아나호텔 앞에서 열린 <조선일보 반민족 친일행위를 규탄한다> 기자회견 (사진=미디어스)

조선투위는 “최근 조선일보 일본어판은 ‘일본의 한국투자 1년 새 –40%, 요즘 한국 기업과 접촉도 꺼려’를 ‘한국은 무슨 낯짝으로 일본의 투자를 기대하나’로 제목을 바꿨다”면서 “조선일보는 일본에 강제로 끌려가 고통을 당한 우리 강제징용피해자를 일본의 가해와 착취에 대한 나쁜 어감을 줄이기 위해 ‘징용공’으로 표현했다. 일제 강점의 시대를 합법적인 통치의 시대로 읽히게 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조선투위는 “조선일보는 문제를 일으킨 것은 대법원의 강제징용 배상 판결과 이를 방치한 정부에 있다면서 거듭 비판을 이어간다”며 “조선일보의 일방적인 친일 논조는 나라에 큰 피해를 주는, 조국에 대한 배신행위로서 이 신문의 국적이 어디인지 거듭 묻게 한다”고 했다.

한겨레신문 부사장을 지낸 임재경 씨는 조선일보 평기자의 자성을 촉구했다. 임재경 씨는 “물론 현재 조선일보 기사의 방향은 발행인과 편집인, 주필이 정했을 것”이라면서 “하지만 신문을 만드는 사람도 책임이 있다. 조선투위와 동아투위는 평기자들이 들고일어난 것이다. 조선일보 종사자는 그 점을 깊이 새겨야 한다”고 지적했다.

▲성한표 전 논설주간과 이부영 이사장 (사진=미디어스)

성한표 조선투위 위원장(전 한겨레신문 논설주간)은 “우리가 강제해직을 당했을 때는 20대 중에서 30대 초중반의 나이였다. 이제 70대~80대에 이르는 노령기에 있다”면서 “당시 조선일보 사주와 기자의 대오각성을 기대했다. 하지만 현재 조선일보로 대표되는 주류언론의 부작용이 악화됐다”고 규탄했다.

한편 코리아나호텔은 지난달 30일 건물에 붙어있는 황금색 ‘조선일보사’ 현판을 제거했다. 최근 코리아나호텔 앞에서 조선일보 반대 집회가 이어지자 조선일보 현판을 내린 것이다. 코리아나호텔 관계자는 “호텔과 조선일보는 관련이 없다. 호텔 앞에서 집회가 열리니 직원들이 힘들다”면서 “조선일보 관련 집회면 호텔 뒤에 있는 조선일보 사옥에서 하는 것이 맞다고 본다”고 밝혔다.

코리아나호텔은 조선일보의 특수관계사다. 코리아나호텔 사장인 방용훈 씨는 조선일보 방상훈 대표이사의 동생이다. 또 코리아나호텔 5층에는 조선일보 사무실이 있다. 코리아나호텔 관계자는 “5층 사무실에는 직원 1명만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위는 코리아나호텔에 걸린 기존 조선일보사 현판. 아래는 7월 30일 제거된 조선일보사 현판 (사진=미디어스)

이부영 자유언론실천재단 이사장은 “조선일보사라는 현판이 제거됐다”면서 “조선일보 스스로 신문의 존립 가치가 없다는 걸 알고 간판을 내린 것 같다”고 꼬집었다. 이부영 이사장은 “코리아나 호텔은 65년 한일협정 후 조선일보가 일본의 차관을 얻어 지은 건물”이라면서 “(조선일보가) 친일을 해서 돈을 번 것이다. 조선일보가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신문이라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코리아나호텔은 1965년 일본의 한일기본조약에 따른 차관으로 지어졌다. 고 방우영 조선일보 명예회장은 회고록 ‘나는 아침이 두려웠다’에서 “박정희 대통령이 뜻밖의 제안을 해왔다. 호텔을 지으면 어떻겠냐는 것이었다. 박 대통령은 ‘일본에서 들여오는 민간차관 중 일부를 할당해주겠다’며 호텔 건축을 강력히 권유했다”고 밝혔다. 방우영 회장은 “정부의 지급보증으로 일본에서 400만달러 민간차관을 들여와 코리아나 호텔을 짓게 됐다”고 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