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전혁수 기자] 아시아경제가 내년 주52시간 근무제를 도입하기에 앞서서 실제 근무시간을 확인한다는 명목으로 구성원들의 '위치정보'를 인증하는 시스템을 도입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구성원의 개인정보인 위치정보를 근태 관리에 활용하려는 시도로 언론자유와 노동존중을 역행하는 시도라는 비판이 제기된다.

▲아시아경제 CI.

아시아경제 구성원들에 따르면 단체협상 과정에서 아시아경제 사측은 구성원들에게 다음 달부터 통합 인사관리 솔루션을 시범운영하자고 제안했다. 모 업체에서 개발한 인사관리 시스템으로 출퇴근 기록 관리, 스케줄 관리, 휴가 관리, 급여정산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아시아경제가 구성원들에게 제안한 것은 '출퇴근 기록' 시스템이다. 문제는 이 시스템이 구성원들의 위치정보를 노출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는 점이다.

해당 업체 홈페이지는 출퇴근 기록 시스템 소개에서 "최적의 근태관리 시스템"이라며 'GPS' 방식, '와이파이' 방식이 있다고 소개하고 있다. GPS 방식에 대해 "근무지의 위치 좌표와 반경 설정으로 출퇴근 장소를 제한할 수 있다"며 "여러 지점 들의 출퇴근 장소를 방문없이 설정해 빠른 도입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와이파이' 방식은 "근무지의 와이파이 IP 주소를 등록해 해당 근무지의 와이파이에 연결 시에만 출퇴근이 가능하다"며 "GPS 신호가 약한 사업장에서는 와이파이를 사용해보라"고 권유하고 있다.

또한 '본인 기기 식별 및 GPS 조작 방지'를 통해 "직원의 부정 출퇴근을 차단한다"고 소개했다. 출퇴근 알림도 실시간으로 사측에 전달된다. 해당 업체는 "출퇴근기록기는 직원의 출퇴근을 관리자에게 실시간으로 전송한다"며 "직원의 출근, 퇴근, 지각, 초과근무 알림을 받아 근무지에 있지 않더라도 직원들의 근무 현황을 바로 파악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원들의 위치정보 제공은 자칫 과도한 개인정보 침해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오정훈 전국언론노동조합 위원장은 "근로시간을 측정하겠다는 것을 막을 수는 없겠지만 위치정보는 개인정보이고 개인의 정보를 회사가 활용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구성원의 동의를 받지 않고 도입해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오 위원장은 "특히 구성원 전체의 관계를 볼 때 조직은 신의성실의 원칙에 따라 운영이 돼야 하는데, 위치정보까지 파악해 출퇴근을 관리하려고 하는 것은 과하다고 생각한다"고 지적했다.

안진걸 민생경제연구소 소장은 "자사 기자를 믿지 못하면 누구를 믿겠다는 것이냐"며 "기자는 외부로는 기사, 내부로는 정보 및 활동보고로 승부하는 직업인데, 왜 자사 기자들을 믿지 못해 언론자유와 노동존중 시대를 역행하는 행태를 보이는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하지만 해당 업체 관계자는 “직원들의 위치를 절대 추적하지 않으며 모든 GPS 정보는 근무지 반경 내에 있는지 확인 후 바로 폐기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개인 정보에 민감한 다수의 금융, 제약, R&D, IT 등 다양한 업종의 대기업들도 내부적으로 절차를 밟아 무리 없이 전사 도입 후, 근무 시간을 잘 관리하고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