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976년 첫 출간된 리처드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는 진화의 주체가 인간 개체나 종이 아니라 유전자라는 주장을 하여 센세이셔널한 파급을 일으켰다. 물론 리처드 도킨스는 이후 개체인 인간은 자유의지와 문명을 통해서 이런 유전자의 독재를 충분히 이겨낼 수 있다고 자신의 의견을 보완했다. 그렇다면 리처드 도킨스가 2019년 5월 6일 방송된 <장내 세균 혁명>을 봤으면 어땠을까, 세균을 또 다른 주체로 세우려 하지 않았을까?

현대인의 건강과 식습관에 관해 건전한 모색을 해오고 있는 <SBS 스페셜>이 이번에는 그 시선을 '장내 세균'으로 돌렸다.

장트러블이 일상이 된 현대인

SBS 스페셜 ‘장내 세균 혁명’ 편

63세 김진숙 씨는 잦은방귀와 트림에 설사를 달고 산다. 56세 이금 씨는 변비와 설사가 교대로 와서 고생 중이다. 지하철을 타고 가다가도 소식이 오면 내려서 화장실을 찾아들어가야 할 정도라 지하철역마다 화장실이 어디 있는지 훤하다. 38세 강용관 씨의 경우도 다르지 않다. 자가용으로 고속도로를 자주 이용하는 그는 혹시나 휴게소를 지나고 나서 신호가 올까봐 휴게소마다 미리 억지로라도 볼일을 보려고 애쓰는 형편이다. 그런데 이상하다. 그와 한집에 사는 그의 아내 이해일 씨는 그와 같은 음식을 먹고 사는데도 변비로 고생 중이다. 심하게는 2주일 동안 화장실을 못갈 정도로.

60대부터 30대까지 이들이 겪는 어려움은 아마도 현대인 대다수가 겪는, 불편함을 넘어선 고통일 것이다. 도대체 왜 세대를 막론하고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장트러블'을 겪고 있는 것일까?

인간의 몸, 그중에서도 장내에만 100조, 많게는 400조의 세균이 산다. 그 종류만도 수천 가지가 넘는 세균, 그 세균들은 서로 견제와 균형을 맞추며 우리의 장을 '운영'하고 있다. 우리 몸에 유익한 균들도 있지만, 반대로 위의 증상에서 보여지듯 방귀, 트림, 설사, 변비, 심하게는 복통, 궤양 등을 유발하는 유익하지 않은 균들도 있다. 결국 우리의 장은 세균들의 '왕좌의 게임', 그 전쟁터이다. 그래서 학계에서는 장을 그저 소화기관이 아닌 면역기관으로 보고 있다.

출연자들의 장내 세균을 분석해 봤다. 잦은방귀와 트림, 설사에 시달리는 김진숙 씨의 경우 이상 발효를 일으키는 퍼미큐티스 균이 많았다. 변비와 설사가 오락가락하는 이금 씨의 경우 병원성 균들, 대장균 그리고 특이하게도 이질균 등이 다른 균에 비해 활발했다. 강용관 씨의 경우 매일 밤 야식과 함께 먹는 알코올이 장내 세균들 사이의 균형을 무너뜨려 77%가 박테로이스균이 점령한 상태이다.

우리 몸의 주인은 세균?

SBS 스페셜 ‘장내 세균 혁명’ 편

즉 같은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이라도 누구는 설사를 하고, 다른 누구는 변비가 오는 이유가 바로 그들의 장내 세균총이 달라서이다. 하루에 50kg의 대변을 보는 코끼리, 엄마가 큰 일을 보자 아기 코끼리가 달려가 엄마의 똥을 먹는다. 초식동물의 경우 아직 장내에 미생물군이 미성숙한 아기들은 이렇게 엄마의 똥을 먹음으로써 엄마의 장내 미생물을 '계승'한다. 인간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무균 상태로 태어나는 아기는 엄마의 산도에 정예부대로 모여 있던 락토 바실라스 균 등 유산균 샤워를 시작으로 엄마의 모유를 통해 비피더스 유산균 등을 취하여 장내 미생물총을 형성해간다.

이렇게 엄마를 통해 건강한 유산균 중심으로 장내 미생물군을 형성한 아기들은 하지만 커가면서 각종 스트레스와 인스턴트식품, 불균형한 식습관에 음주 등을 통해 장내 세균총이 무너져 간다. 위 60대에서 30대까지의 사례에서 참가자들은 모두 육식을 매우 즐기며, 간식으로 밀가루 음식을 먹고, 야식으로 인스턴트 음식을 먹는데 술까지 한 잔 하는 식의 식생활 패턴을 가졌다.

SBS 스페셜 ‘장내 세균 혁명’ 편

결국 평생 동안 어떤 음식을 먹고 살아왔는가를 보여주는 것이 오늘날 나의 장내 세균총이다. 그런데 장내 세균총이 오늘날 다시 주목받는 이유는 현대인이 고질적으로 앓고 있는 '장트러블' 때문만이 아니다. 장내 세균은 뇌신경과 밀접하게 연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최근 연구 결과가 발표되며, 장내 세균의 새로운 역할에 주목하고 있다.

최근 일본에서는 치매와 장내 세균과의 관계를 연구하고 있는 중이다. 치매가 박테로이데스와 연관이 있다고 보고 있는 것이다. 미국 보스턴에서 연구 중인 한국인 박사 허준렬 교수 부부는 대부분 자폐아들이 위장 장애를 겪고 있는 것에서 착안하여, 엄마 쥐의 장내 세균인 절편 섬유상 세균이 새끼의 자폐 증상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우울증과 관련하여 주목받고 있는 '세로토닌'의 90% 이상을 장내 세균이 만든다. 그래서 오늘날 학계는 장을 '제 2의 뇌'로 주목하고 있는 중이다.

이처럼 장트러블을 넘어, 인간의 뇌를 관장하는 장내 세균들. 그렇다면 결국 '장 건강'을 관리하는 건 장트러블을 넘어 100세 시대 아이부터 노인까지 건강한 삶을 유지하는 것과도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것이다.

장 건강이 곧 뇌의 건강

SBS 스페셜 ‘장내 세균 혁명’ 편

그렇다면 장 건강은 어떻게 지킬 수 있을 것인가. 영양 성분이 관건이 된다. 즉 우리가 섭취하는 음식에는 사람이 소화할 수 있는 것과 세균이 좋아하는 것들이 있다는 것이다. 우리가 먹는 밥을 예로 들면 흰쌀로 지어진 밥은 사람이 소화시키지만, 현미밥의 경우 그 껍데기의 식이섬유는 사람이 먹을 수 없는 것, 미생물이 좋아하는 것. 즉 통곡류와 해조류 등이 미생물이 좋아하는 것들로 이런 것들을 많이 섭취해서 장을 건강하게 만들어야 한다. 만약 그렇지 않으면 먹을 것이 없어진 미생물들은 대장 점막을 자신의 먹이로 삼고, 그렇게 되면 점막이 약해져 그 틈 사이로 염증이 생기게 된다는 것이다.

다큐 초반, 12살부터 궤양성 대장염을 앓기 시작하여 19살이 된 환자는 결국 타인의 분변 미생물을 이식하여 장내 미생물의 균형을 맞추게 된다. 60대부터 30대까지 각종 '장트러블'로 고생하던 사람들도 프로바이오틱스와 프로바이틱스 등의 유익균을 일주일간 섭취하는 것만으로도 한층 상태가 호전되었다.

장, 세균을 통해 돌고 돌아온 길이지만, 결국 다큐가 도달한 곳은 인스턴트와 육식 위주의 편향적 식습관으로 오늘날 현대인들이 장은 물론 갖가지 신체적 이상 증상을 겪게 될 수 있다는 결론이다. 건강한 장, 건강한 뇌, 건강한 신체를 위해서는 우리 몸의 어쩌면 실제적 주인일 수 있는 세균들이 좋아하는 통곡물과 해조류, 그리고 각종 유산균이 구비된 건강한 식단이 중요하다는 '원칙적'인 증명이다.

미디어를 통해 세상을 바라봅니다.
톺아보기 http://5252-jh.tistory.com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