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사는 희망연대노동조합 LG유플러스 비정규직지부 조합원들은 2014년 3월 노조 결성 이후 ‘진짜사장 직접고용’을 요구하며 투쟁해왔다. 노조가 끈질기게 싸워온 결과, LG유플러스는 지난 9월 드디어 정규직화 방안을 내놨다. ‘부분자회사’다. 전국 72개 홈서비스센터에서 일하는 노동자는 2600여명인데 이중 1300명만 자회사로 고용하고, 나머지 1300명은 하청업체 소속으로 남기겠다는 것이다. 천하제일의 어용노조라도 수용할 수 없는 황당무계한 방안이다. 그래서 우리 노조는 10월 15일 서울 용산구 한강대로32 소재의 LG유플러스 본사 앞에서 노숙농성을 시작했다. 매일 같은 메뉴의 도시락을 꾸역꾸역 삼켜낸다. 춥고 시끄럽고, 매연도 심하다. 잠이 오질 않는다. 억울하다. 그래서 쓴다. / 글쓴이 주

⑤편 <“원청을 갈아치우는 투쟁을 합시다”>를 잇습니다.

1. 어디로 가야하죠 아저씨

농성장과 가장 가까운 화장실이 닫혔다. 급할 때면 뛰어가던, 경비 선생님께 꼬박꼬박 “고맙습니다” 인사하며 썼던 곳인데… LG유플러스 본사 맞은편의 금영그룹 빌딩 출입문에는 “LGU+빌딩 화장실을 이용하세요”라는 문구가 적힌 안내문이 붙었다.

▲사진=희망연대노동조합

애석하게도(?) 당연하게도(?) 우리는 LG유플러스 빌딩에 출입을 못한다. 저 양반들은 진작 셔터를 내렸다. 그런데 참 이상한 게 LG는 LG작업복 입은 사람들만 출입을 막는다. 이제는 몇 백 미터를 걸어야 한다. 화장실은 농성장에서는 보이지 않는 곳에 있다. 조합원들이 길을 잃지 않게 몇 번이고 열심히 설명한다.

생각해보니 지난 한 달 동안은 문제가 없었는데 갑자기 안내문이 붙었다. 착각하셨나보다. 우리 조합원들의 작업조끼와 작업복 가슴팍과 등짝에 붙은 LG 로고를 보고 LG 직원인줄 아셨나보다. 이 글을 빌어 오해를 풀어드리겠다.

선생님, 우리는 매일매일 LG유플러스 고객을 만나며 LG유플러스 상품과 서비스를 다루는 노동자들입니다. 그런데 소속은 하청업체입니다. 하청업체는 우리 월급 뜯어가고 퇴직금 뜯어가고요, 국민연금도 안 내주고 건강보험료도 안 내줍니다. LG는 매년 하청업체를 갈아치우는데요, 우리는 매년 해고당하고 매년 신입사원이 됩니다.

이대로는 못 살겠어서 저 앞 길바닥에서 33일째 노숙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선생님, 보는 눈은 정확하십니다. 우리가 LG유플러스 노동자임을 인정하지 않는 사람이 세상에 딱 한 명 있는데요, 그게 LG유플러스입니다. 다음에는 정규직 사원증 목에 걸고 찾아오겠습니다.

2. “뭐요? 진짜에요? LG가 그렇다고요?”

간접고용 비정규직 사업장의 특성에 대해 이야기해야 할 때가 있다. 그럴 때마다 거의 기계같이 멘트가 튀어나온다. 어제(11월 15일)도 그런 자리가 있었다. 서울지방노동위원회 조정회의였고 나는 ‘간접고용 노동자의 노동실태와 노조 할 권리’에 대해 이야기했다.

“임금체불과 퇴직금 먹튀 같은 구시대적인 사건이 밥먹듯이 발생합니다. 심지어 국민연금과 건강보험료를 임금에서는 공제하고 국가에 납부하지 않는 쓰레기 같은 하청업체도 많습니다. 이게 끝이 아닙니다. LG는 매년 업체를 교체하는데요, 근속이 제로가 되고 우리 조합원들은 모두 신입사원이 됩니다. 단체협약도 사라지고 파업권도 없어집니다. 남들은 2년에 한번 체결하는 단협을, 우리는 일 년에 두 번 체결해야 합니다.”

이런 이야기를 듣던 공익위원 중 한 분이 이렇게 반응했다. “LG유플러스가 진짜 그렇다고요? 근속 승계 않고 임단협도 승계 안 한다고요? 아직도 그런 식으로 사업을 한다고요?” 노동전문가들도 혀를 찬다.

“믿기 어려우시겠지만 사실입니다.” 그리고 위원님들에게 한마디 더 올린다.

LG유플러스와 하청업체들의 기상천외하고 황당무계한 갑질 착취 시리즈는 무궁무진합니다. 버튼만 눌러주세요. 열 시간은 쉬지 않고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21일 오전 11시 2차 회의 때 뵙겠습니다.

▲사진=희망연대노동조합

3. 우리도 버스 타고 싶다

저녁만 되면 우울해진다. 우리는 매일 퇴근시간에 맞춰 여의도 트윈타워에 간다. 5시 반부터 피켓을 들고 선전전을 하는데 LG 직원들의 퇴근행렬을 보게 된다. 5시 반이 되면 모범택시가 줄을 선다. 그리고 이 택시들은 바로바로 사람을 태워 그곳을 떠난다. 그 옆에는 퇴근버스가 줄지어 직원들을 기다리는데, LG 직원들은 안전요원의 지도에 따라 버스에 오른다.

우리도 통근버스 타고 싶다. 5시 40분부터 짐 챙겨서 6시 정각에 퇴근하고 싶다. 퇴근길에 마음 푹 놓고 이어폰 끼고 동영상 보고 싶다. 가족들과 저녁밥을 먹고 싶다. 혼밥이라도 근사하게 하고 싶다.

그런데 빌어먹을 기본급이 163만5천원밖에 안 되기 때문에 밤이고 주말이고 일을 해야 한다. 우리는 상품별로 포인트를 적립한 것을 월급으로 받는다. 300만원을 벌려면 포인트의 노예가 되어야 한다. 입사 조건이 ‘자차 운행’이기 때문에 마이너스 인생, 야근 인생이다. 이래서 우리 조합원들의 꿈에 통근버스는 등장도 않는다.

4. 우리도 LG 가족이다

TV를 보다가 아이가 묻는다. “아빠 회사 광고 한다.” 아버지는 대답을 못한다. 밤 늦게까지, 주말에도 일을 해서 200만원 남짓 버는데 이번 달도 노조 파업 때문에 40만~50만원 임금손실이 생긴다. 학원비는 어쩌나. 우리 조합원들은 이렇게 산다.

▲사진=희망연대노동조합

“고객도 LG 가족입니다.” 이런 광고를 볼 때마다 가슴이 턱 막힌다. 용산 트럼프 타워 옆, 한강대로32에 있는 으리으리한 LG유플러스 빌딩. 이 빌딩은 우리 조합원들이 6개월 동안 파업을 하고 노숙농성을 하고 고공농성을 하던 2015년 2월 27일 준공됐다. 명색이 재벌인데 가장 밑바닥에서 자신에게 돈을 벌어다준 노동자에게는 화장실 한칸 내어주지 않는다. 고객에게는 핫팩을 아낌없이 나눠주면서, 추위에 옥상과 전주에 오르는 노동자에게는 안전장비조차 제대로 주지 않는다. 고객도 가족이라는 광고 내보내기 전에 가슴에 손을 얹고 되돌아보라. LG유플러스의 가족은 누구인가.

5. 모르면 배워라

하도급 구조 개선한다고? 정규직화한다고? 그런데 부분자회사 같은 이상한 안을 가지고 나왔나? 잘 모르겠으면 배우고 연구하고 대화해라. LG유플러스와 LG그룹 경영진과 실무자들이 참고할 만한 정규직화 모델들이 굉장히 많다.

먼저 딜라이브 사례다. 케이블방송 딜라이브는 2016년부터 상시지속업무를 하는 하도급업체 노동자들을 원청으로 직접고용하고 있다. 단계적 직접고용 모델이다. 다음은 120다산콜재단. 원래 다산콜은 민간위탁 방식이었는데 2017년 5월부로 서울시 재단이 됐다. 노조 할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업무 양도양수 방식을 택했다. 다음은 경희대다. 여기는 2017년 용역업체 소속이던 청소‧경비노동자를 산학협력단 자회사를 통해 정규직화했다. 그리고 며칠 전 자회사를 청산하고 경희대가 직접고용하기로 노사합의에 이르렀다. 삼성전자서비스는 서비스센터 노동자 8천여명에 내년 1월부로 직접고용하기로 했다. 단계적 아니라 단번에.

LG유플러스 위에 뜬 저 달은 왜 또 반쪽인가. 그래도 달은 차오른다. 가자.

⑦편에 이어집니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