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정상은 ‘9월 평양공동선언’을 통해 금강산 이산가족 면회소를 개소하고, 이를 위해 면회소 시설을 조속히 복구하기로 하였다. 이로써 이산가족 상봉의 정례화, 그 물꼬가 터졌다. 그에 앞서 8월 20일에서 26일에는, 2015년 10월 이후 무려 2년 10개월 만에 이산가족 상봉이 이루어졌다. 남북 정상의 상시적 이산가족 상봉에 대한 선언, 그에 앞서 열린 이산가족 상봉 행사. 이렇게 모처럼 남북 이산가족의 오랜 숙원이 정치적 해빙에 발맞추어 풀려나갈 조짐이 보이고 있다.

이런 즈음에 EBS <다큐 시선>은 왜 우리가 이산가족 상봉을 서둘러야 하는가에 대해, 지금까지와는 다른 각도에서 접근해 들어간다. 바로 ‘2%의 기적’이라 일컬어지는 상봉 가족들의 또 다른 아픔을 통해서다.

조속한 이산가족 상봉이 필요한 이유

EBS 1TV <다큐 시선> ‘70년의 기다림’ 편

강화도 북서부에 있는 섬, 교동도. 이곳은 북으로부터 불과 2~3km 떨어진 섬이다. 갓난아기의 엄마는 시체들이 즐비한 북에서 도망해, 수심이 낮은 때 배도 없이 이 섬 저 섬을 건너 이곳으로 왔다. 배를 타면 10분이면 북에 닿는 곳이다. 그 '조금' 떨어진 이곳으로 '잠깐' 피신해온 것이 70년 세월이 되었다. 가족과 함께 피란 온 소년은 고향집에 숨겨둔 놋그릇을 가져오겠다며 다니러 간 어머니와 누님을 그때 이후로 보지 못했다. 그렇게 가족들과 헤어진, 고향을 지척에 두고도 가지 못하는 사람들이 교동도에 남겨져 있다.

고향이 그리워 북으로 창을 내고, 그곳으로 머리를 두고 잠들어도 영 꿈에서조차 만나지 못하는 어머니. 그 어머니가 그리워 다 큰 아들은 여전히 술만 마시면 어머니를 부르며 일곱 살 아이처럼 뒹군다. 하지만, 이제 낼 모레 팔십을 바라보는 아들이 할 수 있는 일이라곤 고향이 바라보이는 망향대에 올라서는 일뿐이다.

이렇게 잠깐인 줄 알았던 세월이 70여 년 흐르는 동안 이산가족 1세대들은 세상을 많이 떠났다. 이번 이산가족 상봉자로 정해졌던 사람들은 93명, 하지만 그중 4명이 고령의 나이로 고향의 가족들을 만나지 못하고 말았다. 7월말 기준 생존해 있는 이산가족들은 5만 6000여 명, 그런데 이들 중 85% 이상이 70대가 넘는 고령이다. 현재 한 회에 90~100명에 이르는 이산가족 상봉 인원수. 이 인원대로 추산한다면 600회 가까이 이산가족 상봉이 이루어져야 남은 생존자들이 가족들을 만날 수 있을 것이다. 과연 그 시간을 고령의 생존자들이 견딜 수 있을까? 그러기에 이분들이 생존해 계시는 동안 고향의 가족들을 만날 수 있도록 '조속히' 이산가족 상봉이 이루어져야 한다.

2%의 기적, 그 후유증

EBS 1TV <다큐 시선> ‘70년의 기다림’ 편

보통 이산가족 상봉을 ‘2%의 기적’이라 한다. 신청한 사람들 중 2%에 해당하는 사람들만이 상봉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이 '기적'을 이룬 사람들은 여한이 없을까? 하지만 막상 다시 찾아본 상봉 가족들에게는 뜻밖에 후유증이 심각했다.

누님은 원산 방직공장에 돈을 벌러 떠났다. 그리고는 삼팔선이 막혔다. 칠월 칠석이 생일이던 누님, 어머님은 늘 ‘살아만 있으라’ 정한수를 떠놓고 빌었다. 그 누님이 돈 벌러 떠나던 때 황보우영 씨(69)는 어머니 등에 업힌 갓난쟁이였다. 당연히 어머니의 기억을 통해서만 전해진 누님. 그런 누님을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통해 만났다. 기억도 없던 누님. 하지만 그렇게 누님을 만나고 돌아와 황보우영 씨는 살이 몇 kg이나 빠졌다. 찰나와 같은 만남의 아쉬움이, 다시 볼 수 없다는 그리움이, 누님에 대한 걱정과 함께 황보우영 씨를 우울증에 빠져들도록 했다.

그해 스무 살 새 신부였던 이순규 할머니(87). 겨우 7개월 남짓의 결혼 생활, 남편은 몇 달간만이라던 말이 무색하게 돌아오지 않았다. 이순규 할머니의 뱃속엔 당시 3개월의 아이가 자라고 있었고, 아이는 기특하게도 7살 무렵 ‘왜 아버지는 오시지 않냐’는 질문 한번을 끝으로 아버지를 묻지 않은 채 이제 칠순을 바라보는 나이가 되었다. 제사도 지냈다. 한 켤레의 구두로만 남은 남편과 아버지의 추억. 그런데 기적처럼 북쪽의 아버지 오인세 씨의 생존 소식이 전해졌다. 그리고 며칠간의 만남, 돌아온 아들은 헤어 나올 길 없는 후유증으로 고통을 받는다. 한번도 보지 않았던 아버지, 그 아버지를 자신만의 생각으로 그렸던 아들은 막상 눈앞에서 만난 쪼그라든 노인인 아버지의 모습에 충격을 받았다. 40년간 그리워했던 마음은 '화병'처럼 돌아왔다.

EBS 1TV <다큐 시선> ‘70년의 기다림’ 편

남들이 다 부러워하는 기적의 시간을 가진 이산가족 상봉자들. 하지만 그 결과는 기적처럼 행복하지 않았다. 안부조차 제대로 물을 수 없는 행사 시간들, 그 시간을 꿈처럼 겪어낸 가족들은 대비하지 못한 만남의 후유증을 앓는다. 불면증, 무력감, 건강 악화, 우울증 등 상봉 후 후유증을 앓는 가족들이 24%에 달한다. 상봉 후 ‘기쁘지 않다’는 답을 한 가족들도 39%에 달한다. 그 이유는 자신은 그래도 남한에서 편하게 사는데 고생하며 사는 것 같은 모습에, 안부조차 제대로 물을 수 없었던 짧은 만남 때문에, 그리고 무엇보다 다시 만날 수 없다는 생이별의 아픔이 상봉 가족들을 다시 고통 속에 빠뜨린다.

이에 대해 전문가는 그저 이벤트성 행사를 넘어, 사전에 상실감 등 후유증에 대한 교육이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 하지만 교육만으로 다시 생이별의 아픔을 감내할 수 있을까? 결국 답은 하나다. ‘정치적’ 목적으로 치러졌던 이산가족 상봉, 이제 1세대 상봉자들이 거의 세상을 떠나는 현실에서 더는 미루지 말고 '인도적' 차원에서의 이산가족 상봉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며칠의 만남이 아니라, 보고 싶으면 언제라도 만날 수 있는, 따뜻한 밥 한 끼를 함께 나누어 먹을 수 있는 그런 상시적인 만남이 시급하다. 그러기에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는 더 늦기 전에 구체화되어야 한다.

미디어를 통해 세상을 바라봅니다.
톺아보기 http://5252-jh.tistory.com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