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윤수현 기자] 국내 콘텐츠산업의 지역 간 불균형이 심각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콘텐츠산업의 매출액과 사업체, 종사자의 상당수가 서울과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이다.

최경환 민주평화당 의원은 7일 이 같은 내용의 보도자료를 내고 “콘텐츠산업이 균형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중장기적인 지역 콘텐츠산업 지원정책이 수립되는 체계를 만들어 가야 한다”고 밝혔다.

▲최경환 민주평화당 의원 (사진=연합뉴스)

최경환 의원이 한국콘텐츠진흥원 제공받은 자료에 따르면 콘텐츠산업의 매출액은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연평균 7.5%의 성장률을 보였다. 수도권 콘텐츠 기업의 매출액은 2016년 91조 7000억 원으로 전체 매출액의 87%를 차지했다. 하지만 비수도권지역 기업의 매출액은 13조6300억 원으로 13%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콘텐츠산업의 사업체 수와 종사자 수 역시 지역별로 큰 차이가 있었다. 수도권의 콘텐츠산업 사업체 수는 2014년 5만9184개에서 2016년 6만140개로 매년 증가세를 보였다. 반면 비수도권의 콘텐츠 사업체 수는 2014년 4만6257개에서 2016년 4만5651개(43.2%)로 감소했다. 종사자 수는 수도권에서 45만여 명에 달했지만, 비수도권에선 14만 5천여 명인 것으로 조사됐다.

최경환 의원은 “지역은 중앙에서 추진하는 공모사업에 대한 의존도가 높지만 선정이 불확실하기 때문에 지속성 있는 중장기 계획수립이 어려운 실정”이라면서 “공모사업 대부분이 단기 프로젝트 위주의 사업이어서 자금지원, 기술지원, 기업지원서비스, 마케팅 지원 등 기업육성을 위한 생태계 조성이 어려운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최경환 의원은 “수도권에 편중된 콘텐츠산업 발전은 지역콘텐츠산업 자생력을 저해하며 지역균형 발전의 위험 요소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면서 “인력확보, 지역을 고려한 차별화된 지원정책, 지속가능한 콘텐츠 개발 등 끊임없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