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도우리 객원기자] 언론사 페이지들이 ‘혐짤(혐오스러운 이미지)’로 도배되고 있다. 성체 훼손 사진, 가짜 태아 사진 등 연이은 워마드 발 게시물 보도 때문이다. 이미지뿐 아니라 고 노회찬 전 의원 조롱 발언, 남아 성희롱 등 워마드를 성토하는 뉴스의 헤드라인과 기사 본문에 워마드의 ‘증오 발언’이 범람하고 있다. 이러한 양상은 일베에 대해서도 비슷하다.

한편 ‘진보 언론들은 워마드를 소극적으로 보도한다’거나 ‘워마드의 실태를 미화하지 말고 최대한 알려야 한다’는 등 언론의 워마드 보도 방식에 대한 논쟁도 일고 있다.

워마드는 명백히 보도 가치가 있다. 워마드가 ‘여성우월주의’를 내세우며 전시하는 반사회적이고 자극적인 언행은 화제성과 희소성, 공익성을 충족한다. 하지만 최근 워마드 관련 단신 보도들은 워마드의 자극적인 이미지와 새로운 은어를 전시하는 역할에 그치고 있다. 여기에 이런 기사들을 서로 베끼거나, 어뷰징 기사를 생산함으로써 ‘혐짤’을 확산시키고 있다. 가짜로 밝혀진 태아 훼손 사진처럼 게시물에 대한 팩트체크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다. 기자들을 두고 ‘이 정도면 사실상 워마드 회원’이라는 조롱까지 나오는 이유다.

그런데 언론은 워마드 회원과 다른 점이 있다. 워마드 보도로 높은 조회 수를 얻으면서, 적당한 충고와 성토의 말로 ‘정의와 도덕성’까지 얻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는 사이 언론들의 워마드 보도들은 불필요한 분노를 자극하며 공론장에 해악을 끼치고 있다. 공적인 관심사에서 비롯된 공분과 달리 ‘즉물적인 분노’는 문제의 본질을 흩뜨리고 공동체 불신을 조장하기 때문이다. 특히 담뱃갑의 흡연 경고용 혐오 이미지가 별 효과가 없던 것처럼, 점점 사람들이 혐오 이미지와 조롱에 무감각해지는 결과를 낳고 있다.

워마드에 대한 심층 보도들도 워마드에 대한 타자화, 악마화 수준에 머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워마드를 ’개인의 일탈’로 치부하고 적당히 전문가의 견해를 덧붙이며 대중들의 불안을 땜질하는 식이다. ‘일베 대 워마드’, ‘워마드 대 페미’라는 구도로 일부 커뮤니티들끼리의 문제로 구분짓는 것도 마찬가지다. ‘워마드의 기원’이나 ‘그들은 대체 누구인가’를 운운하며 메갈리아를 언급해도, 정작 근본적 문제인 여성 혐오의 사회적·구조적 원인에 대해 진단한 보도는 찾기 힘들다. ‘남성 혐오’라는 잘못된 용어 사용으로 전문성 결여를 드러내는 경우도 잦다. 오히려 ‘워마드 탄생 논란 일지’처럼 워마드에게 ‘존재감’과 ‘실체’를 부여하고 있다.

워마드 이슈에 대한 ‘진보언론 대 워마드’, ‘페미니즘 정치공작’이라는 프레임도 마찬가지다. 진영마다 입맛에 맞게 워마드 이슈를 이용하고 있는 모양새다. 정작 워마드의 명분에 치명적인 성 소수자, 장애인 비하 문제 고발에는 소극적인 것이 이를 방증한다. 무엇보다 이러한 프레임 설정은 원래부터 성평등 문제에 관심이 있었다는 것을 전제한다. 하지만 워마드 이슈 때마다 그동안 언론에서 문제 삼지 않았던, 더 심한 수준의 일베 게시물이 발굴되는 것만 봐도 모든 언론에 크고 작든 책임이 있다. 결국 언론들이 서로를 탓하며 책임을 전가하는 것은, 언론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자기 투사’에 불과하다.

뉴스는 ‘재미’가 없다. 그런데도 사람들이 뉴스를 보는 이유는 공적 목소리라는 ‘가치’ 때문이다. 이 마저도 잃게 되면 정말 언론의 위기다. 워마드가 도발하는 감정에 휩쓸리지 말고, 언론의 전문성을 살려야 한다.

우선 ‘남성 혐오’란 개념부터 제대로 잡자. 남성이 기득권인 가부장 사회에서 약자를 향한 감정인 혐오(misogyny)는 남성에게 성립하지 않는다. 적극적으로 인정할 것은 인정하고, 불필요한 자극적 도발은 적당히 차단한 뒤 생산적 논의로 이끌 여론 형성을 도모해야 한다. ‘아무리 그래도 이건 심했다’라거나 ‘이렇게까지 하는 것은 부당하다’며 호소하는 수준에 그치는 보도와 사설은 지양해야 한다. 언론은 워마드의 영향을 그대로 흡수하고, 변화되기를 기다리는 ‘소극적인 곳’은 아니지 않은가.

무엇보다 언론들이 스스로 썼듯, ‘혐오는 그저 혐오만 낳을 뿐’이다. 워마드의 반사회성, 비도덕성 게시물에 ‘적극적인 소극성’을 발휘해야 한다. 워마드 관련 보도에 혐오 이미지와 발언을 되도록 싣지 않거나 간접적으로 표현하고, 낙태나 임금 차별 등 성 평등 의제에 대해 더 성숙한 논의를 제시하는 방식으로 대응해야 한다. 그래야 ‘언론들이 실상은 성 평등 의제에 무관심하다’는 혐의를 벗고, 궁극적으로 워마드의 자극적인 주목 경쟁이 먹히지 않을 것이다. 무엇보다 “우리는 더 나은 논쟁을 할 권리가 있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