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어머니는 종종 당신의 어머님과 아버님, 그리고 형제들에 대해 말씀하신다. 그분들과 함께한 시절은 어머니의 삶에서 아주 오래 전, 하지만 어제인 듯 그분들과 함께 지낸 시간을 기억해낸다. 치매는 아니지만, 그 순간마다 어머니는 지금의 80 넘은 할머니가 아니라, 그 시절 어머니와 아버지 그늘에서 살던 딸이 된 듯하다. 하지만 그런 어머니를 난 쉽게 이해하지 못한다. 지금의 외로움에 대한 반작용인 듯해서 '도대체 언제 적인데'라며 짜증을 내기도 한다. 지금의 시절을 기꺼이 살아내지 못하는 노인네에 대한 아쉬움이 앞서는 거다. 아마 노인분들과 가까이 접하는 사람들이라면 누구나 느끼는 복잡한 감정이리라.

바로 그 '복잡함'에 대해 이해를 구하는 다큐가 있다. 바로 7월 8일 방영된 <SBS 스페셜- 미스터리한 나의 어머니 황정례>이다.

오늘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쉽게 잊어버리고,
잊어야 할 것은 정작 잊지 못하는 짐처럼 무겁게 지고 있는 것은 아닌지.
- 이종민, <망각은 저주인가? 축복인가?> 中

전북대학교 이종민 교수는 매일 촌에서 출퇴근을 한다. 그가 현재 사는 곳은 그의 늙은 어머님이 사시는 곳이다. 여러 형제 중 막내, 하지만 어머니 황정례 씨가 치매 판정을 받자 그는 기꺼이 어머니를 모시기로 했다. 형수님도 아내도 아니고, 주 이틀 형의 도움을 받으며. '치매' 걸린 어머님 곁엔 그래도 자식이 낫지 않겠냐고. 그래서 어머니가 사는 집 옆에 새로이 머물 곳을 지었다. 언제나처럼 끼니때가 되면 밥을 하고 상이 차려진다. 단지 예전에 어머니가 하시던 것을 이젠 막내아들인 이종민 교수가 할 뿐. 어머니의 공간, 어머니의 삶에 아들이 들어앉았다.

콩새가 된 어머니

SBS 스페셜 ‘미스터리한 나의 어머니 황정례’ 편

그의 어머니 황정례 씨는 올해 아흔두 살이다. 하지만 누가 물어보면 그만 자신의 연세를 잊은 채 일흔여덟이라 답하신다. 늘 도돌이표처럼 되돌아가는 시간, 그 일흔여덟에는 무엇이 있을까? '치매'에 걸린 어머니는 현재의 시간 대신 어머니가 머물고 싶은 시간 속으로 어머니의 기억을 끌고 간다. 그곳에는 어머니가 애지중지하는 '파란 대문'을 훔쳐간 도둑놈이 있고, 분홍 모시치마를 입고 옛사랑을 만난 새댁이 있다. 다큐는 치매를 빌어, 어머니의 사라져가는 역사를 복기한다.

어머니 황정례 씨는 말끝마다 자신이 이제는 그만 '콩새'가 됐다고 말씀하신다. 어머니가 말씀하는 콩새는 '밥새'의 반대말이다. 이제 더는 밥도 할 줄 몰라 아들이 밥을 해야 하는 처지를 어머니는 그러게 빗대어 말씀하신다.

하지만, 그런 '콩새' 어머니가 아들이 차를 타고 출근하자마자 바빠지신다. 뒤주에서 쌀을 잔뜩 꺼내 언제 무기력하게 앉아계셨냐는 듯 썩썩 씻어 밥솥에 밥을 안치신다. 거기까지는 일사천리였던 밥하기. 그런데 노련한 밥새 황정례 씨의 발목을 첨단의 전기밥솥이 잡는다. 이리 저리 눌러봐도 좀처럼 취사 코스로 가지 않는 밥솥, 설사 취사 코스로 간다 하더라도 예전 가마솥밥을 하던 기억을 가진 어머님은 취사 시간을 맞추지 못한다. 결국 한 솥 가득 설어버린 밥은 도저히 사람이 먹을 수 없어 기르는 개 차지가 된다. 하지만 개조차 맨날 쌓이는 설은 밥을 외면해 버린다.

물론 어머니의 이 위험한 도발을 막기 위해 뒤주에 자물쇠를 채워도 보았다. 하지만 열중을 넘어 집착을 보인 어머니가 병이 나시겠다 싶어 결국 뒤주에 채운 자물쇠를 버렸다. 그래서 어머니는 아들이 집을 떠나자마다 매번 밥과의 전쟁을 벌이신다. 평생 그렇게 밥을 하며 살아왔던 일상의 기억 속을 헤집어 내신다.

어머니의, 아니 황정례의 잃어버린 역사를 찾아서

SBS 스페셜 ‘미스터리한 나의 어머니 황정례’ 편

'치매'는 노령화 사회의 가장 큰 부담 중 하나다. 기억을 잃어가는 걸 떠나서, 많은 후유증들이 노인 본인은 물론 부양가족들의 삶을 피폐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하지만 치매의 케어에 따라 예후에 많은 차이가 있다는 걸 연구는 밝힌다. 삶의 근거지를 잃은 도시의 치매 노인들이 증상이 심각하게 악화되는 사례가 많은 반면, 시골에서 자신의 삶의 테두리를 벗어나지 않은 노인들의 경우 약간의 기억상실 정도로 '치매'를 약하게 앓게 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다큐의 황정례 씨는 매번 자신의 나이도 기억하지 못하고, 아들이 없는 사이 대책 없이 설은 밥을 해대지만, 일상을 벗어나지 않은 황정례 씨의 치매는 그저 '일상의 해프닝'으로 침잠된다. 대신 아들은 그리 오랜 시간이 남지 않은 어머니의 '미스터리한 역사'를 기록하고자 한다.

어머니는 매번 마루 끝에 앉아 대문 참을 노려본다. 그러며 당신이 애지중지하는 파란 대문을 도둑놈이 훔쳐갔다며 끌탕을 하신다. '파란 대문을 훔쳐간 도둑놈'을 추적했다. 장본인은 '파랗다'라고도 할 수 없는 낡은 철대문을 멀끔한 나무 대문으로 바꿔달은 사람, 치매에 걸린 어머니와 살림을 합치면서 아들이 바꿔 단 것이다. 하지만 어머니에겐 그 새 대문으로의 교환이 그저 '도둑질'로 기억될 뿐이다. 아들은 헤아려 본다. 아마도 그 교환이 '도둑질'이 된 착각의 기억 속에는 어머니가 살아낸 가장 찬란했던 시절이 있으리라고. 공무원이셨던 아버지의 월급을 차곡차곡 모아 파란 철대문을 다셨던, 그 '살림을 일구던 찬란한 시절'의 기억을 아마도 어머니는 '도둑맞았다' 생각하시는 게 아닐까라고.

SBS 스페셜 ‘미스터리한 나의 어머니 황정례’ 편

그렇게 다큐는 어머니 황정례 씨의 치매의 기억을 더듬는다. 그러다 보니 자식들이 지금껏 아버지와 단란하게 일가를 꾸리며 살았다고 기억한 어머니의 입에서 '공방'이란 단어가 툭 튀어 나온다. 열여덟 친정아버지의 대번의 결정으로 산골마을로 시집을 오게 된 어머니. 새댁이 된 어머니는 남편을 거부하였다.

첫사랑을 물어도 그런 건 없다 하시던 어머님이 이미자의 '섬마을 선생님'을 읊조리며 술술 흘러나온 이야기. 어머니의 물동이를 기꺼이 날라주던 동갑내기 동네 총각과 당연히 결혼하리라 생각했던 어머니에게 얼굴 한번 보지도 못한 산골마을 남정네와의 결혼은 청천벽력이었고, 그건 남편을 거부하는 몇 년의 세월로 이어졌다. 시집까지 찾아왔던 그 동갑내기 첫사랑을 다시 만나던 날 입었던 옷까지 기억하는 어머니의 묘한 기억력. 그렇게 어머니의 치매는 어머니를 '어머니'로 살아낸 시절 이전의 꽃다운 황정례의 역사를 소환한다.

아들이 찾아가보니 동네에서 제일 가난한 축에 속했다던 집도, 주정뱅이 아버지도, 이제 어머니의 기억에선 그럴 듯한 장사치에, 번듯했던 집에 대한 기억으로 왜곡되었지만, 어머니에게 그 시절은 누군가의 아내와 엄마 이전의 꿈같던 시절이다. 초등학교도 못나와 아버지에 비해 배움이 짧았다고 자식들에게 기억되었던 분이 아니라, 어릴 적 서당에서 천자문은 물론 고문진보까지 떼시고 시집와서 동네 여성들에게 글자를 가르쳐줄 정도로 열정이 넘치던 분이 계신다. 지금도 한자 책으로 하루 종일 소일을 하실 정도이다. 아들을 대학 교수를 만들 만큼, 아니 그 이상의 배움의 열정을 가진 황정례라는 인물의 ‘재발견’이다.

SBS 스페셜 ‘미스터리한 나의 어머니 황정례’ 편

하지만 어머니는 아직도 열여덟이란 나이를 안타깝게 읊조리시듯, 그 꽃다운 시절에 가난한 집안의 입을 줄이고자 산골마을로 시집보내졌다. 그리고 결국 '공방'의 시절을 넘어 일곱 자식을 낳아 기르는 어머니가 되었다. 그리고 매번 어머니가 자신의 나이를 일흔 여덟이라 말씀하시는 그 시절에 남편을 먼저 보냈다. 미웠다지만, 그래도 남편보다 오래 사는 자신이 면구스러워 매번 아흔두 살의 나이를 일흔 여덟로 착각하는 어머니.

황정례 씨만이 아니라, 많은 치매 노인들의 얼토당토않은 기억 속에는 이렇게 장구한 개인의 역사가 숨어있는 것이 아닐까. 치매 어머니의 기억 속을 더듬는 아들 이종민 교수의 <미스터리한 나의 어머니 황정례>를 통해 다큐는 치매를, 노년을 재발견하고자 한다.

미디어를 통해 세상을 바라봅니다.
톺아보기 http://5252-jh.tistory.com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